야마가타가 구상한 새로운 질서의 주요한 축 중 하나인 천황숭배는 신토의 신의 탄생에 기원하는 일본 문화의 바탕으로서, 일본 정신에 내재한, 고대로부터의 의무로 나타난다. 이것은 빌헬름 시대의 독일의 고딕적고안만큼이나 각색된 사실이다. 낭만주의적인 중세 독일의 성처럼 과거에서 요소를 빌려온 것이며, 메이지 시대에 진화된 천황숭배는 야마가타의 징집제 군대만큼이나 근대적인 산물이다. 그 이전에는 일본에서 결코최고의 신으로 천황을 숭배하지 않았다. 에도시대 말기까지 천황은 교토에 거주하며, 문화를 육성해왔고, 일본 관습과 정신의 영적 보호자였다.
당시 신토는 국가 종교나 국가적 우상이 아니었고, 일본 탄생의 신들, 다산, 자연의 축복, 절기의 축제, 애니미즘적 의례의 집합이었다.
고치대 - P65
군대의 최고통수권자이자 신으로서 추앙받는 황제라는 생각은 일본 전통에서 크게 벗어나는 것이었다. 그가 종족의 아버지라는 생각 - 국가적
‘종족‘이라는 바로 그 생각은 19세기 중반 미토학의 국수적 교리와섞인 근대 독일풍의 인종국가론과 유사하다. 문명개화에 대한 야마가타의 권위주의적인 대응을 단순히 근대화 또는 서구화를 막기 위한 것으로만 보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그 역시 아이디어를 서양에서 빌려왔다. 그런데 그 아이디어들이 우연히도 매우 비자유주의적인 것들이었다. 그가구상한 교육을 통해 만들어진 일본의 모습은 후쿠자와의 이상과는 거리가 있었다. 일본의 군대식 훈련은 막사에서만이 아니라 학교에서도 이루어졌으며, 회의하는 개인주의자들이 아니라 스스로 생각하는 능력이 약화되도록 잘 훈련된 순응주의자들을 양성하였다. - P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