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에 비유하면, 두 번째 분리가 어떻게 세계화의 영향을 그렇게 철저히 변모시켰는지 설명하기 좋다. 두 개의 축구팀 감독이 앉아 선수 교환을 상의하는 장면을 떠올려보자. 거래가 성사되어 각자 쓸모가 적은 선수를 내주고 쓸모있는 선수를 얻는다면, 두 팀 모두에 이득일 것이다.
이제 전혀 다른 방식의 거래를 생각해보자. 최강팀의 감독이 주중에는 자신의 팀을 훈련시키다가 주말에는 약팀을 훈련시킨다고 치자. 그러면 틀림없이 약팀의 전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리그의 경쟁력도 전반적으로 높아질 것이다. 하지만 최강팀의 감독은 자신의 전문지식을 한 팀 대신 두 팀에 전수함으로써 수당을 두둑이 챙겼을지 몰라도 그 최강팀이 이 거래에서 이득을 본다는 보장은 눈곱만큼도 없다.
세계화도 모름지기 이와 비슷하다. 1차 세계화는 선수 교환으로 생각할 수 있다. 해외이전 지역에 있는 기업을 약팀으로 보면, 2차 세계화는 약팀 훈련시키기와 비슷하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1990년대 거래비용이 내려간 방식으로 대면접촉비용이 급격히 내려갈 경우, 3단계 제약조건을 요약해서 설명한 그래프(〈그림 3〉)를 보면 세 번째 분리가 가능하다는 사실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다. 대면접촉비용의 급락은 두 가지 기술의 개발에 달려 있다. 첫 번째는 ‘머리로 하는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해 국경을 넘는 사람을 위한 기술이다. ‘텔레프레즌스telepresence’∫로 알려진 그 기술을 활용하면, 해외 공장으로 가지 않고도 현장에서 회의하는 효과를 거의 그대로 낼 수 있다. 공상과학 소설에나 나오는 이야기가 아니다. 아직 비싸서 그렇지 지금도 존재하는 기술이다. 두 번째는 손으로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멀리 이동해야 하는 사람을 위한 기술이다. ‘텔레로보틱스telerobotics’∬라 부르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한 장소에 있는 사람이 다른 장소에서 과업을 수행하는 로봇을 조작할 수 있다. 이 기술 역시 현재 존재하지만, 아직 비쌀 뿐만 아니라 로봇이 그리 유연하지도 못하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이 두 가지 기술을 통해 노동자는 다른 나라에 가지 않고도 자기 나라에서 서비스 과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한 ‘가상 이민virtual immigration’ 또는 ‘국가 간 텔레커뮤팅telecommuting∫’은 국가 간에 직접 경쟁하는 업무의 범위를 크게 넓혀줄 것이다. 부자 나라에서는 보잘것없거나 전문적인 과업을, 가난한 나라의 일반 노동자나 전문가가 (원격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많아질 것이다. 나아가 부자 나라 전문가는 자신의 재능을 더 폭넓은 분야에서 써먹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 엔지니어는 도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있는 정교한 일본제 로봇을 수리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러한 새로운 경쟁/기회 속에서 승리하는 사람도 있을 테고, 무언가 더 할 일을 찾아야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세계화의 세 번째 분리는 한 나라의 노동자가 다른 나라에 물리적 존재가 현장에 있어야 하는 서비스를 포함해 각종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뜻일 것이다. 혹은 분리라는 단어를 활용한다면, 세계화의 세 번째 분리는 노동자와 노동 서비스가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일일 것이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