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남자는 아내와 자식에게 다른 영장류에게서는 유례를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많은 것을 투자한다. 다른 영장류의 경우, 수컷이 암컷에게 자원을 나누어주는 일이 드물기 때문에 암컷은 순전히 자기 힘에 의존해 먹이를 구해야 한다(Smuts, 1995)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지편향이 존재하는 이유는 설계의 오류 때문이 아니라 진화적 적응 때문이다.

˝내리막 착각은 더 광범위한 지각과 인지 편향 이론인 오류 관리 이론error management theory, EMT의 논리를 잘 설명해준다. 오류 관리 이론에 따르면, 불확실한 조건에서 저지른 오류의 비용에 불균형이 존재한다면, 선택은 비용이 적은 쪽의 오류를 저지르도록 하는 ‘적응적 편향’을 선호한다(Buss & Haselton, 2000; Haselton & Nettle, 2006). 뱀이나 거미를 만났을 때 우리가 경계하는 쪽으로 오류를 저지르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시각 지각적 적응은 수직 거리를 평가할 때 오류를 저지르도록 설계되었는데, 이것은 높은 곳의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발달한 적응이다.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살의 진화이론

자신의 포괄 적합도에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이 급격히 떨어졌을 때 자살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이런 조건에서는 차라리 자신이 사라지는 편이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하는 데 더 유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자신의 가족에게 부담을 지운다면, 자신이 살아남는 것은 친족의 생식뿐만 아니라 자신의 적합도에도 손해를 끼칠 수 있다.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비록 남자는 모든 연령대에서 여자보다 자살 비율이 높지만, 인생의 두 시기─짝짓기 경쟁이 가장 치열할 때(대략 15~30세)와 늙었을 때(70세 이상)─에 남녀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20대 중반의 남자는 같은 연령대의 여자보다 자살 비율이 6배 이상 높고, 70세 이상에서는 남자의 자살 비율이 여자보다 7배 이상 높다(Kruger & Nesse, 2006). 진화한 자살 적응 가설은 이러한 패턴이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라시나의 ‘절멸의 인류사‘에서는 청소 동물 가설이 더 유력하다고 제시된다. 이에 비해 데이비드 버스는 사냥 가설이 더 유력하다고 한다. 청소 동물 가설은 초기 인류에 사냥 가설은 후기 인류에 적용되는 것 아닐까?

인류의 진화에서 큰 논란이 되는 주제 하나는 우리 조상이 음식물을 어떻게 구했느냐 하는 것이다. 기본 가설이 두 가지 있는데, 하나는 사냥 가설이고, 다른 하나는 채집 가설이다. 모든 증거들은 남자는 사냥을 하고 여자는 채집을 했음을 알려주는데, 아마도 때로는 청소 동물처럼 음식물을 구하기도 했을 것이다.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의 뇌는 빈 서판이 아니다. 다윈은 종의 기원에서 이미 추측하고 있었다.


찰스 다윈은 두려움의 기능을 다음 문장으로 간결하게 표현했다. “경험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어린이의 두려움은 옛날 야만적인 시절에……실제로 존재했던 위험이 유전된 효과가……아닐까 하고 의심할 수 있지 않을까?”(Darwin, 1877, pp. 285-294)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