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의 진화
약 8500만 년 전에 ‘영장류’라는 새로운 포유류 계통이 진화했다.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영장류 계통에서 일어난 아주 중요한 발전 중 하나이자 현생 인류의 탄생으로 이어진 사건이 약 440만 년 전에 일어났다. 그것은 바로 네 발이 아니라 두 발로 걷거나 달릴 수 있는 능력인 두발 보행이었다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두발 보행은 에너지 효율적 방식으로 먼 거리를 빨리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주었고, 시야를 넓혀 포식 동물과 먹이를 잘 발견하게 했으며, 해로운 햇빛을 받는 몸의 표면적을 줄였고, 손을 자유롭게 했다. 보행의 노동에서 해방된 손은 초기의 조상에게 먹이를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쉽게 옮길 수 있게 했을 뿐만 아니라, 그 뒤에 도구 제작과 사용의 진화를 위한 생태적 지위를 제공했다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고생물학 기록에서 약 250만 년 전에 조야한 도구가 처음 나타나기까지는 그러고 나서도 약 200만 년에 걸친 진화가 더 필요했다. 최초의 조야한 도구는 올도완 석기(올두바이 석기라고도 함)인데..... 이 도구는 250만 년 전부터 150만 년 전까지 살았던 호모속의 첫 번째 집단인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손재주 좋은 사람’이란 뜻)가 만들었다.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180만 년 전에 ....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라는 성공적인 갈래로 진화하여 아프리카를 벗어나 아시아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자바 섬과 중국에서 180만 년 전의 화석이 발견되었다(Tattersall, 2000). ‘ - < 진화심리학, 데이비드버스 지음, 이충호 옮김 >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