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과 축제 그리고 민족적 정신

취미 부족을 나타내는 또 하나의 사실은 명절이 없어져감이다. 물론 거기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것이다. 그 명절이란 본래 대개 종교적 의미를 가지는 것인데 지금은 그 옛날의 그 유치했던 종교가 없어지니 그 행사도 자연히 없어지는 것이다. 또 근래 신구 문화의 바뀜으로 옛것이 모두 깨지니 그것도 원인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그러나 다른 나라에서 보면 본래의 종교적 의미가 없어져도 차차 예술화되어 남게도 되고 신구 풍속이 갈려도 새 형식으로 계속하게 된다. 원래 민족은 신화 없어서는 못 살고 명절 없으면 안 된다.

명절은 일종의 정신적 소성(蘇盛)이다. 묵은 시름, 묵은 찌끼, 묵은 빚, 묵은 때를 확 떨어버리고, 한번 남녀노소·빈부귀천·재둔선악(才鈍善惡)의 모든 구별, 모든 차별을 다 없애고 맨사람으로 돌아가 ‘한’이 되어, 펼 대로 펴고, 놀 대로 놀고, 즐길 대로 즐기고, 흥분할 대로 기껏 흥분해보자는 것이다. 사람은 이것이 없이는 못 산다. 그래서 5월 수리요, 8월 가위요, 크리스마스 저녁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그것이 차차 없어지는 편이다. 여기도 물론 가난이 큰 원인이기는 하나, 생각해보면 그보다 더 깊은 원인이 있다. 따져 말하기는 어려우나 민족적 생명의 썰물 때인가? 옛 기록에 나타난 것으로 보면 우리 민족이 결코 바탕이 비관적이거나 몰취미가 되어서 그런 것은 아니다. 다만 생활이 밑금에까지 내려갔기 때문이다. - < 뜻으로 본 한국역사, 함석헌 지음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뜻의 실재와 뜻의 희망

본래 성경은 현실세계를 설명하자는 과학이 아니고 뜻의 세계를 말하자는 것이다. 다만 설명의 자료로 이 현실계를 빌렸을 뿐이다. 마치 시인이 자기 속의 느낌을 나타내기 위하여 풍월을 그 자료로 쓰는 것과 마찬가지다.

“꽃이 웃는다. 새가 운다” 하는 것은 그 현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뜻을 말한 것이다. 웃고 운 것은 시인 자신이지 꽃이나 새가 아니다. 그와 마찬가지로 현상계로 하면, 무한히 변천해갈 것이지, 종말이란 것이 있을 리 없다. 그러나 뜻으로 할 때에는 뜻은 반드시 이루어지는 시간이 있다는 말이다. - <뜻으로 본 한국역사>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667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역사과학과 도덕적 목적

인생은 목적운동이다. 그 사상이야 유물적이건 유심적이건 사람인 다음에는 무슨 목적을 실현하려 움직이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그리고 그것은 늘 도덕적인 것이다. 그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그 목적을 도덕적으로, 값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만은 다름이 없다. 이것은 사실이다. 이 사실을 부인하는 것은 과학적이 아니다. 정말 과학적인 태도는 인간에게는 과학 이상의 것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일이다. 사람은 다른 동물과 같이 과학의 대상도 되지만 또 그것만이 아니다. 그 이상 되는 것이 있다. 그것이 가치의 세계다. 값을 과학으로는 헤아리지 못한다. 뜻으로만 안다. - <뜻으로 본 한국역사>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3667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우치전!!


궁중에서 예언과 천문을 담당하는 신하가 나와서 간했다.
 
“두 사람은 보통 사람을 가리키고 한 사람은 폐하를 가리키는 것이옵니다.”
 
그 말에 놀란 왕이 봉투를 열어보았다. 봉투 속의 글은 간단했다.
 
거문고 갑을 쏴라!
 
왕은 궁으로 돌아와 지체 없이 거문고 갑을 쏘아버렸다. 거문고 갑 안에서는 비명이 흘러나왔다. 선혜 왕비와 궁에서 향을 피우며 불교 행사를 진행하는 스님이 함께 들어 있었다. 알고 보니 왕비와 스님이 사랑에 빠졌고 왕을 죽이기 위해 흉계를 꾸몄던 것이다. 왕은 신비로운 힘이 자신을 지켜준 것에 감사하기 위해 매년 첫 돼지날, 쥐날, 말날에 찰밥을 만들어 까마귀에 바치게 했다. 봉투를 건네 준 연못은 ‘서출지’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 < 하룻밤에 읽는 한국 고대사, 이문영 지음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라, 고난의 5세기

458년, 42년간이나 왕위를 지켰던 눌지가 세상을 떠났다. 신라는 고구려의 영향으로부터 신라를 벗어나게 한 이 위대한 왕을 마립간이라 불렀다.

눌지 마립간이 맺은 신라와 백제의 화친은 진흥왕 (재위 540~576)의 배반이 있기까지 120년 이상 지속되었다. 왜적의 침입은 더욱 심해졌지만 백제와 화친으로 안정을 찾은 신라는 왜적 격퇴에 전력을 기울일 수 있었다.

500년, 소지 마립간(재위 479~500) 때의 침공을 끝으로 왜적의 침공은 더 이상 기록에 나타나지 않는다. 5세기가 끝났다. - < 하룻밤에 읽는 한국 고대사, 이문영 지음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