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슬라,아슬라
고구려는 여전히 신라를 한수 아래의 속국처럼 생각하고 있었다. 고구려 장수는 남의 영토임에도 그곳에 들어가 사냥을 즐기곤 했다. 신라 하슬라 성주 삼직은 그런 고구려 장수를 잡아 죽이고 말았다 450년. 반 고구려 정서가 표면화한 것이다. - < 하룻밤에 읽는 한국 고대사, 이문영 지음 > 중에서
아슬라(阿瑟羅)
인문지리지명
강원도 강릉 지역의 옛 지명.
확대하기축소하기프린트URL의견제시
트위터페이스북
의견제시항목명아슬라이메일올바른 형식의 이메일을 입력해 주세요.의견
10자 이상 상세히 작성해 주세요.
첨부파일
파일선택

이칭하서라(河西良), 하슬라(何瑟羅)분야인문지리유형지명성격고지명소재지강원도 강릉시시대고대-삼국-신라성격고지명소재지강원도 강릉시
 정의
강원도 강릉 지역의 옛 지명.
키워드
하서정
내용
본래 예국(濊國)의 고도로서, 한무제(漢武帝)가 한사군(漢四郡)을 설치할 때 임둔군(臨屯郡)을 두었던 곳이다.
고구려 때에는 하서라(河西良, 또는 何瑟羅)라고 하였다가, 신라의 영토가 된 뒤 512년(지증왕 13)아슬라주가 되어 처음으로 관리가 파견되어 통치하였다. 523년(법흥왕 10)에는 이곳에 군사령부인 하서정(河西停)이 설치되어 군사기능을 강화하였다.
선덕여왕 때 주를 소경(小京)으로 승격시켜 정복지역의 유공자를 이주시켜 그들의 정치세력을 견제시켰다. 658년(태종무열왕 5) 다시 아슬라주로 바꾸고 도독(都督)을 두어 진수(鎭守)하게 하여 군사력을 강화함으로써 삼국통일에 대비시켰다. 757년(경덕왕 16)명주(溟州)로 이름을 바꾸었고, 1995년강릉시와 명주군이 통합되어 새로운 강릉시가 되었다.
아슬라라는 지명은 ‘큰 바다’ 또는 ‘아름다운 자연의 기운(氣運)’ 등을 뜻하는데, 이는 이곳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에서 유래한다. 신라시대에 말갈족과 국경을 접한 지역으로, 국경분쟁이 잦았던 곳이다. 이곳은 영동지방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영서지방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서 예로부터 중요한 곳이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아슬라(阿瑟羅))]
아슬라(阿瑟羅)
인문지리지명
강원도 강릉 지역의 옛 지명.
이칭 하서라(河西良), 하슬라(何瑟羅)분야인문지리유형지명성격고지명소재지강원도 강릉시시대고대-삼국-신라성격고지명소재지강원도 강릉시
 정의
강원도 강릉 지역의 옛 지명.
키워드
하서정
내용
본래 예국(濊國)의 고도로서, 한무제(漢武帝)가 한사군(漢四郡)을 설치할 때 임둔군(臨屯郡)을 두었던 곳이다.
고구려 때에는 하서라(河西良, 또는 何瑟羅)라고 하였다가, 신라의 영토가 된 뒤 512년(지증왕 13)아슬라주가 되어 처음으로 관리가 파견되어 통치하였다. 523년(법흥왕 10)에는 이곳에 군사령부인 하서정(河西停)이 설치되어 군사기능을 강화하였다.
선덕여왕 때 주를 소경(小京)으로 승격시켜 정복지역의 유공자를 이주시켜 그들의 정치세력을 견제시켰다. 658년(태종무열왕 5) 다시 아슬라주로 바꾸고 도독(都督)을 두어 진수(鎭守)하게 하여 군사력을 강화함으로써 삼국통일에 대비시켰다. 757년(경덕왕 16)명주(溟州)로 이름을 바꾸었고, 1995년강릉시와 명주군이 통합되어 새로운 강릉시가 되었다.
아슬라라는 지명은 ‘큰 바다’ 또는 ‘아름다운 자연의 기운(氣運)’ 등을 뜻하는데, 이는 이곳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에서 유래한다. 신라시대에 말갈족과 국경을 접한 지역으로, 국경분쟁이 잦았던 곳이다. 이곳은 영동지방의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영서지방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지로서 예로부터 중요한 곳이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아슬라(阿瑟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