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연휘발유, 무연휘발유와 범죄율
- 괴짜경제의 레빗은 낙태의 합법화가 범죄율을 낮췄다고 진단했음.
- 레빗은 가설은 범죄율을 감소는 설명하지만 범죄율의 증가은 설명하지 못함.
여러 연구자들의 지적에 따르면, 2차 세계대전 후 전 세계 대다수 지역에서 나타난 범죄율의 엄청난 급증은 납 오염의 증가 추세를 거의 비슷하게 따르고 있다.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뇌리에 비행 청소년, 도심 우범지대, 90년대 유행어인 ‘초포식자 (super-predators, 90년대 초 미국의 충동적이고 흉악한 10대 강력 범죄자들을 가리키던 말─옮긴이)’ 등의 이미지로 선명하게 남아 있는 과거의 높은 범죄율은, 사실 역사적으로 이례적인 현상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반짝한 후 이제는(아마도) 지나간 듯한,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그런데 사회적·정치적 상황이 각기 다른 수많은 나라에서, 범죄율이 치솟기 시작한 시점이 어째 다 유연 휘발유가 그곳에 도입되고 약 20년 후부터다. 다시 말해 최초로 유연 휘발유에 다량 노출된 아이들이 10대에서 20대 초반에 이르렀을 무렵이다. 그리고 상관관계는 반대 방향으로도 나타난다. 최근 수십 년간은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그 나라의 사회 정책에 관계 없이 강력 범죄가 꾸준히 줄어들었다. 그런데 각 지역마다 범죄율이 하락세로 접어든 시점은, 그 지역에서 유연 휘발유를 금지하고 나서 하나같이 약 20년 후인 듯하다. 더 일찍 금지한 곳일수록 더 일찍 범죄율이 하락했고, 갑작스럽게 금지한 곳은 서서히 퇴출한 곳보다 더 급속히 하락했다.
거듭 말하지만 상관관계가 곧 인과관계는 결코 아니며, 이 이야기는 아직 정보에 근거한 추측에 불과하다. 아마 인과관계 유무는 앞으로도 증명이 불가능할지 모른다. 수많은 아이들에게 납을 주사하고 20년 후에 범죄를 얼마나 저질렀나 보는 실험을 할 수는 없으니까. 그렇지만 아마도 수백만 명이 사망했고, 확실히 지구 구석구석이 남김없이 오염되었고, 분명히 수세대의 아이들이 혈중 독소로 지능이 저하된 것도 모자라(참고로 그 수세대의 아이들이 바로 최근 40년간 세상을 주도했던 사람들이다), 어쩌면 수십 년간 세계적으로 범죄가 기승을 부리며 그 결과 사회적 편견이 더 강하게 고착된 ..... - < 인간의 흑역사, 톰필립스 지음, 홍한결 옮김 >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