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센코주의와 유전학 : 이념의 부작용

리센코의 이론들은 맞기는커녕 엉터리에 불과했지만, 권력자들의 편향된 이념에 잘 맞는다는 장점이 있었다. 1930년대에는 이미 유전학이 학문 분야로 정착되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리센코는 유전학을 전적으로 거부했다. 유전자가 존재한다는 것조차 부인했는데, 그 이유는 개인주의적 세계관을 부추긴다는 것이었다. 유전학은 생물체의 특성이 고정되어 변하지 않음을 시사했지만, 리센코는 환경을 바꾸면 생물체의 형질이 개선되며 그 개선된 형질을 자손에 전달할 수 있다고 믿었다. 심지어 환경만 맞으면 농작물의 종이 바뀔 수도 있다고 했다. 농작물을 심을 때는 더 촘촘하게 심어야 한다고 농부들에게 지도했는데, 이유는 같은 ‘계급’의 식물인 경우 절대 서로 자원을 놓고 다투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 - < 인간의 흑역사, 톰필립스 지음, 홍한결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에서 표준의 혼란

조사를 한 뒤 원인이 밝혀졌는데, 궤도선은 충격량, 즉 자세 조정에 필요한 추진기 분사량을 표준 미터법 단위인 ‘뉴턴 초(N·s)’로 계산하고 있었다. 그런데 외부 업체에서 납품받은 지상 컴퓨터 상의 소프트웨어는 야드파운드법 단위인 ‘파운드 초’를 쓰고 있던 것이다. 그 결과 추진기를 분사할 때마다 그 효과가 예상보다 네 배 크게 나타났고, 우주선은 목표로 했던 고도보다 약 100킬로미터 더 화성 표면에 가깝게 접근하고 말았다. 이어서 궤도에 진입하려는 순간 화성 대기에 강하게 충돌했고, 3억 2,700만 달러짜리 최첨단 우주선은 바로 산산조각이 났다 - < 인간의 흑역사, 톰필립스 지음, 홍한결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제국주의자 콜롬버스의 잔인성

콜럼버스가 나타났을 때 타이노족도 같은 문제에 직면했다. 처음 몇 차례의 만남에서 타이노족은 신뢰를 보였고, 친절하고 후한 대접으로 콜럼버스를 감탄시켰다. 낯선 이들에게서 친절하고 후한 대접을 받았으니 콜럼버스 역시 인간된 도리에 맞게, 이렇게 일기에 적었다. “종으로 부리기 딱 좋겠다.” 그리고 며칠 더 생각해보고는 이렇게 또 적는다. “병력 50명만 있으면 이들을 모두 복속시켜 필요한 일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정말 대단한 양반이다. - < 인간의 흑역사, 톰필립스 지음, 홍한결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말 식민 지배 덕분에 피식민국이 통치 체제를 개혁하고 법치를 중시하게 되었는가? 그 얘기는 제국주의 열강과 원주민들 사이에 맺어진 수많은 조약의 역사와 부합하지 않는다. 그 역사는 ‘법치의 존중’과는 거리가 멀어 보이니까. 그 얘기를 아메리카 원주민들에게 가서 해보라. 영국, 미국 정부와 수백 건의 조약을 맺었지만 모두 파기당하고 땅을 빼앗긴 그들 말이다. 그 얘기를 영국과 와이탕이 조약을 맺은 마오리족에게 가서 해보라. 영어와 마오리어 사이의 갖은 번역 문제로 합의 내용의 모호성을 영국 측에서 편리한 구실로 이용할 수 있었던 그 조약 말이다. 그 얘기를 남아프리카의 영국령 카프라리아에 살던 코사족에게 가서 해보라. 1847년 새로 부임한 총독 헨리 스미스 경이 자기들 앞에서 호탕하게 웃으며 평화 조약서를 보란 듯이 찢어버리는 광경을 보고만 있어야 했던, 그리고 그의 명령에 따라 지도자들이 1명씩 앞으로 나가 총독의 군화에 입을 맞추어야 했던 그들 말이다. - < 인간의 흑역사, 톰필립스 지음, 홍한결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큰 실수는 지구 둘레의 계산에 9세기 페르시아 천문학자 알파르가니의 연구를 참고했다는 것. 그건 좋은 참고 자료가 아니었다. 일찍이 기원전 3세기에 그리스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도 제대로 구해냈고, 그 밖에도 꽤 정확한 추정값이 많이 나와 있었다. 그러나 콜럼버스가 저지른 최악의 실수는 따로 있었다.
콜럼버스의 가장 큰 실수는 알파르가니가 언급한 ‘마일’이 당연히 로마 마일(약 1,500미터)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하지만 알파르가니가 사용한 단위는 아랍 마일(약 2,000~2,100미터)이었다. 즉, 알파르가니가 언급한 거리들은 콜럼버스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더 길었다.
콜럼버스는 세상의 크기를 실제의 약 4분의 3으로 착각했다. 게다가 일본의 위치를 실제보다 수천 킬로미터 더 가깝다고 착각했으니, 결과적으로 항해 일정을 실제 필요한 일정보다 훨씬 짧게 잡고 그에 맞추어 식량과 물자를 준비했다. 주변 사람들이 하나같이 “자네 세상 크기를 잘못 안 것 같은데” 하며 의문을 표했지만 콜럼버스는 자기 계산을 꿋꿋이 믿었다. 그러니 콜럼버스가 카리브 제도를 덜컥 맞닥뜨린 건 사실 천만다행이었다(아시아까지 가기 전에 웬 다른 대륙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무도 생각해보지 않았다). - < 인간의 흑역사, 톰필립스 지음, 홍한결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