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 로든베리 (스타트랙 창작자): 마빈 민스키는 내 의식 속 여행의 투어 가이드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러스트 Trust - 신뢰는 시장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벤저민 호 지음, 조용빈 옮김 / 한빛비즈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학기호로 표시하자면 경제학자들은 이타심을 자신을 위한 효용(𝒳i)에 (𝒳-i)로 표시되는 다른 사람의 효용을 곱한다. 행동경제학자들은 오늘의 효용과 미래의 효용의 차이를 오늘의 효용(𝒳t) 곱하기 미래의 효용(𝒳t+1)으로 표시한다. - <트러스트>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9409

오도너휴와 라빈이 이용한 연기와 관련된 수리이론은 게리 베커Gary Becker 등이 발표한 이타심에 관한 수학이론과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 두 연구 모두 우리가 우리 자신을 돌보는 양의 일정 비율을 다른 사람을 돌보는 데 할애한다고 주장한다. - <트러스트>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94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러스트 Trust - 신뢰는 시장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벤저민 호 지음, 조용빈 옮김 / 한빛비즈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O’Donoghue, T., and M. Rabin (1999). Doing It Now or Later. American Economic Review, 89(1): 103–124. - <트러스트>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9409

내 개인적 삶에 가장 큰 변화를 준 수학적 모델은 테드 오도너휴Ted O‘Donoghue와 매슈 라빈Matthew Rabin의 지연 행동 모델model of procrasti-nation이다. - <트러스트>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9409

폐암의 대가는 엄청나지만 담배를 다음 주에 끊으나 오늘 끊으나 내 건강에는 별 차이가 없다. 하지만 오늘 당장 금연을 하게 되면 다음 주에 하는 것보다 두 배 이상 고통스럽게 느껴진다. 그러므로 사람들은 오늘 끊지 않고 다음 주에 끊기로 결심한다. 오늘 말고 다음 주에 끊는다고 폐암에 걸릴 확률이 눈에 띄게 증가하는 것도 아닌데 한 주 더 피우고 끊어도 된다고 생각한다. 물론 일주일 후, 한때의 미래가 현재가 되면 딱 한 주만 더 연장하고 싶은 마음도 들 것이다. 그러다 보면 다음 주는 영원히 오지 않는다. 안타깝게도 모든 선택은 현재에 해야 한다. - <트러스트>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94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러스트 Trust - 신뢰는 시장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벤저민 호 지음, 조용빈 옮김 / 한빛비즈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Graham, J., J. Haidt, and B. A. Nosek (2009). Liberals and Conservatives Rely on Different Sets of Moral Found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6(5): 1029–1046; Haidt, J. (2012). The Righteous Mind: Why Good People Are Divided By Politics and Religion. New York: Pantheon Books. - <트러스트>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9409

하이트는 통계 기법으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분석해 도덕적 직관moral intuition을 5개의 도덕적 기반moral foundation으로 분류했다. 이 다섯 분야(여섯일 수도 있다)는 다시 공동체 가치관과 보편적 가치관으로 나눌 수 있다. 공동체 가치관, 즉 집단주의 기반은 충성심Loyalty, 권위Authority, 신성Sanctity이며 보편적 가치관, 즉 개인주의 기반은 배려Caring와 공정Fairness이다. - <트러스트>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9409

하이트는 미국의 경우 진보주의자는 보편적 가치관을 우선시하지만, 보수주의자는 다섯 가지를 모두 골고루 중요시한다고 주장한다.5 우리는 모두 자신이 속한 공동체에 대한 충성심과 권위에 대한 복종이 중요하다는 데 이의가 없다. 문제는 공동체에 대한 충성심과 다른 사람에 대한 배려 간의 균형 문제다. 예를 들어 국제적인 난민 문제가 발생했을 때 자국민의 필요와 타국민의 필요 간에 균형을 맞추기 위해 국가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와 같은 문제다. - <트러스트>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94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러스트 Trust - 신뢰는 시장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벤저민 호 지음, 조용빈 옮김 / 한빛비즈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반면에 경제학자는 단순하고 구체적인 정의를 선호하며, 사용하는 신뢰 모델도 단순하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는 1995년 조이스 버그Joyce Berg, 존 디코트John Dickhaut, 케빈 매케이브Kevin McCabe가 고안한 ‘신뢰게임trust game’에서 나타나는 행동 유형이 신뢰와 관련된 모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실험은 ‘투자자’와 ‘기업가’가 벌이는 게임 형식으로 되어 있다. 투자자는 보통 10달러 정도의 투자금으로 시작하며, 상대편인 기업가는 투자금을 불리는 능력이 있는 사람이다. 투자자는 안전한 곳에 투자해서 원금을 지킬 수도 있고, 아니면 기업가에게 투자금을 맡겨 투자자본수익률return on investment을 창출한다(보통 3배의 이익을 창출하니 10달러를 투자한다면 30달러를 버는 셈이다). 기업가는 투자자와 이익금을 나눠 신뢰성을 보일 수도 있고 이익금을 가지고 도주해서 신뢰성이 없음을 보일 수도 있다.
이 신뢰게임은 일반적인 인간관계에서 신뢰의 역할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생각되는 주요 특징을 보여준다. 이 게임은 두 당사자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유용하다. 두 당사자는 관계를 맺음으로써 물질적 이익을 얻을 수도 있지만 일정 수준의 위험도 내포한다. 투자자(신뢰자)는 두 사람 사이의 관계가 위태로워질 수 있는 리스크를 무릅쓰고 기업가(피신뢰자)에게 돈을 맡겨 물질적인 손해를 볼 수도 있다. 투자자는 피신뢰자의 평판에 근거하여 결정을 한다. 그의 평판은 피신뢰자가 신뢰자와 가치관이 같으며 상호이익이 되는 모험에 동참할 수 있는 믿을 만한 사람임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 <트러스트>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5694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