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이란 자연선택의 결과이다. 다시 말해, 오랜 진화적 시간 동안 다른 형질보다 상대적으로 생존과 번식에 이점을 주었기 때문에 자연선택에 의해 걸러진 형질을 말한다 - <유전자는 혼자 진화하지 않는다>, 피터 J. 리처슨, 로버트 보이드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5jkt6TeyKfQiz6e68
현재 이 시점에서의 적응은 지금 변화하는 환경에의 적응인가 혹은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기 이전 시기에 대한 적응인가? 혹은, 자연선택이 선택하는 것은 인간의 행동인가 심리인가? 이 두 질문에서 전자를 지지하는 것은 인간행동생태학이며 후자를 지지하는 것은 진화심리학이다. - <유전자는 혼자 진화하지 않는다>, 피터 J. 리처슨, 로버트 보이드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Ynd8NpNxn4qYfzUa9
진화심리학자들은 “문화는 약간은 배회할 수 있지만, 완전히 벗어나고자 시도한다면 주인인 유전자가 제어할 수 있다(6장)”고 여긴다. 또는 사회적 학습으로 전달되는 정보가 인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여긴다 - <유전자는 혼자 진화하지 않는다>, 피터 J. 리처슨, 로버트 보이드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xdRJiUZ9iscsxr15A
이에 비해 공진화론자들은 문화가 없이 인간 행동의 변이를 설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믿는다. 이 책에서 제시한 수많은 사례처럼 집단 간의 변이는 문화적 역사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설명이 불가능하다. - <유전자는 혼자 진화하지 않는다>, 피터 J. 리처슨, 로버트 보이드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beVD1kcfny1yZWcz8
진화심리학은 인지심리학이, 인간행동생태학은 인류학과 행동생태학이 모태 학문이다. 이들의 연구 방법과 방향성은 모태 학문의 전통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진화심리학은 인지심리학에서처럼 인간의 보편성을 중요시하며, 통제된 실험이나 설문조사를 선호한다. 인간행동생태학은 인류학처럼 인간 집단의 다양성을 설명하려고 하며, 행동생태학처럼 그 다양성은 환경의 차이 때문이라는 입장을 견지한다. 연구 방법도 통제된 실험보다는 현장에서 직접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선호한다. 한편 유전자-문화 공진화론자들은 대개 인류학 혹은 생물학에서 집단유전학과 수학적 모델링의 훈련을 받은 사람들이다. 아직 그들이 직접 사례 연구를 한 것은 그리 많지 않지만, 대개 현실을 단순화하여 수학적으로 모델을 만들고, 그 모델이 현실을 반영하고 예측하는가를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 <유전자는 혼자 진화하지 않는다>, 피터 J. 리처슨, 로버트 보이드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b1x8ZjEc9xzauSTg7
실상 대부분의 사회과학자들은 적어도 둘 중의 하나는 무시한다. 어떤 학자들은 ― 진화생물학에 영향을 받고 있는 대부분의 경제학자, 많은 심리학자, 그리고 수많은 사회과학자 ― 인간 행동의 원인 가운데 하나로 문화를 그리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또 어떤 학자들은 ― 특히, 인류학자, 사회학자, 역사학자 ― 인간의 행동에 있어서 문화와 관습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문화가 인간의 생물학적 측면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고려하지 않는다 - <유전자는 혼자 진화하지 않는다>, 피터 J. 리처슨, 로버트 보이드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Z86Kg3j8gibpczaf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