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경은 천재다.

처음부터 끝까지 주체철학이 문제라는데 내겐 주체철학이 훨씬 재미있다. 피히테부터 재미가 반감된다. 나는 아무래도 근대적 인간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트 컨버전스
리처드 볼드윈 지음, 엄창호 옮김 / 세종연구원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한국 자동차의 대미 수출은 수입 대체 경기에서 금메달을 받을 만한 쾌거였다. 이는 한국 제조 기업이 세계시장에 자동차 완제품을 수출하는 데 필요한 전 부문의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하나의 증거였다. 하지만 베트남의 경우는 다르다. 베트남 자동차 부품의 대일 수출은 칭찬받아야 마땅하지만, 이는 베트남의 위치가 국제적 공급사슬에 속해 있다는 증거였을 뿐, 베트남 기업이 필요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는 폭넓은 자취를 보여준 것은 아니다.
바꿔 말해, 베트남은 국제적 공급사슬에 합류할 수 있었으나 오히려 발전의 새로운 덫에 빠졌다. 이를 두고 ‘개성 증후군’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북한의 개성공업지구는 어쩌면 하지 말아야 할 완벽한 사례다. 2000년대 초 조성된 개성공업지구는, 남한 기업이 북한의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된 곳이다. 북한은 이 지구를 달러를 쉽게 벌어주는 ‘캐시 카우’∫로 여기지만, 개성은 북한의 제조업 부문을 자극하는 데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했다. 그도 그럴 것이, 북한은 가능한 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 어떻게든 나머지 지역으로 파급되지 않도록 막았기 때문이다.
 
∫확실한 수익을 창출해주는 자금원이라는 뜻이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트 컨버전스
리처드 볼드윈 지음, 엄창호 옮김 / 세종연구원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빅 푸시’가 소규모로 이루어졌다.
•ICT 혁명으로 조정 역량이 강화되면서, 개발도상국이 부품을 수출하기가 더욱 쉬워졌다.
•세계화가 더 미세한 부분까지 경제에 영향을 미칠 경우, 국가의 경쟁우위가 극대화한다.
•개발도상국 입장에서는 하나의 생산단계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전문지식을 흡수하는 것이 전체 생산단계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전문지식을 흡수하는 것보다 더 쉬워진다.
 
아울러, 너무 뻔해서 상술할 필요가 별로 없는 다섯 번째 이유도 있다. 글로벌 가치사슬로 인해 매출과 규모의 선순환/악순환 문제가 사라졌다는 것이다. 해외에 생산시설을 설립하는 다국적 기업이 이미 국제 경쟁력을 획득했기 때문이다.∫ 글로벌 가치사슬에 속해 있는 기업에, 수요와 시장의 크기는 더 이상 변수가 아니다.
 
∫현지 공장을 운영하는 개발도상국 기업이 굳이 국제 경쟁력을 획득하려고 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레이트 컨버전스
리처드 볼드윈 지음, 엄창호 옮김 / 세종연구원 / 2019년 9월
평점 :
절판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가 닥쳤을 때, 네 개의 자동차 회사 중 세 개가 문을 닫고 매각되었다. 기아자동차는 유일한 생존자인 현대자동차에 팔렸다. 삼성자동차는 르노에, 대우자동차는 GM에 팔렸다.
아울러, 자동차산업의 국내 공급사슬은 외국인 투자의 급증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금융 위기 기간에 외국인 직접투자FDI가 자유로워지면서, 수십 개의 세계 정상급 부품 생산업체가 한국에 공장을 세웠다.
이로써, 해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자국에 공급사슬 전체를 구축하는 전략은 뒤집혔다. 한국은 20세기 수입 대체 전략에서, 21세기 글로벌 가치사슬 전략으로 갈아탔다. 1997년 금융 위기가 촉매제였지만, 세계적 경쟁이라는 현실이 밑바탕에 자리 잡고 있었다. 세계의 자동차 부문은 특히 규모 집약적 산업이며 연구개발비가 너무 많이 들기 때문에, 완전한 국내 공급사슬에 의존해선 어떤 기업도 살아남을 수 없었다. 2000년대 들어 한국의 자동차 부문은 글로벌 가치사슬 클럽의 완전한 일원이 되었다. 하지만 한국은 두 번째 분리 이전에 공급사슬을 구축했기 때문에, 지금은 공장 경제가 아니라 지역본부 경제에 속한다. 부품 수출입의 발전을 나타낸 〈그림 56〉에서 이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 번째 파장, 아니 굴복을 살펴볼 차례다.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자 대니 로드릭Dani Rodrik이 『더 나은 세계화를 말하다One Economics, Many Recipes』에서 말한 것처럼, “빅 아이디어에 대한 기대를 아예 포기하는 것이 올바른 접근법인지도 모른다”.4 하나의 경제학이 있지만, 적용 방법은 다양하다. 그렇다고 이것이 제3세대 빅 아이디어는 아니다. 린다우어와 프리쳇이 지적한 것처럼, “세계경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내린 최근의 처방이 전혀 듣지 않는다는 사실이 어떤 빅 아이디어도 없음을 뜻한다고 말할 수는 있다”. 이 장에서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중국을 비롯해 여러 신흥산업국의 성공이 수수께끼라고 했지만, 2차 세계화가 개발도상국에 미친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1차 세계화 개념을 사용하려고 할 경우에만 수수께끼라는 것이다. - <그레이트 컨버전스>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45990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