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과도하게 스스로를 이기적으로 생각하고 변명하는가?
생각지 못한 곳에서 토크빌을 다시 만나다.

우리는 다른 모든 사람들이 이기적이라는 잘못된 가정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우리 자신이 이타적으로 보이는 것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다. 남들에게 괜히 으스대거나 도덕군자인 척하는 사람처럼 비치기를 원치 않기 때문이다. 대다수 사람들이 이타주의를 믿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상황에서 만약 당신이 당신 자신의 행동을 이타적 동기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한다면 지나친 자화자찬처럼 느껴질 것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사람들은 왜 친사회적 행동을 했느냐는 질문을 받으면 어떤 사익 때문에 그렇게 행동한 것처럼 대답하는 경향이 있다.(예컨대 ‘심심해서 지원했어요. 그러면 무언가 할 일이 생기잖아요‘라는 식으로 둘러대곤 한다). - P149
나아가 다른 사람들이 그들의 이타적인 행동에 대해 이기적인 것처럼 보이는 이유를 말하는 장면을 거듭 목격할 때마다, 모든 행동은 사익을 좇는다는 우리의 믿음은 더욱 강화될 것이며, 다시 우리 자신의 이타적 동기를 고백하기란 더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그리고 이런 악순환이 상승작용을 일으켜 잘못된 가정은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더 깊이우리의 몸에 배게 될 것이다. - P150
미국에 관해 저술된 최초의 위대한 책 《미국의 민주주의 Democracy in Ameria)를 1835년에 발표한 프랑스 지식인 알렉시스 드 토크빌Alexis de Tocqueville은 미국인들이 자신들의 선행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고는 깜짝놀랐다고 한다. ‘미국인들은 자신들이 살면서 행한 거의 모든 행위를 - P150
사익의 원리로 설명하려 드는 버릇이 있다. 이 점에서 나는 그들이 자기 자신을 공정하게 평가하지 못할 때가 많다고 생각한다. 미국에서든 다른 어느 곳에서든 사람들은 때때로 인간의 자연적인 충동에 이렇게 사심 없이 자발적으로 굴복하곤 한다. 그러나 미국인들은 그들이 이런 종류의 감정에 굴복했다는 것을 좀처럼 인정하지 않는다. ‘ - P151
58. Miller, D. T. (1999). The norm of self-interest. American Psychologist, 54 (12), 1053. 59. Miller, D. T., & Ratner, R. K. (1998). The disparity between the actual and assumedpower of self-inter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1), 53. - P4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