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제스는 전쟁이 끝난 후 한반도가 독립될 필요성을 강조했으나, 카이로 회의 직전 루스벨트를 만났을 때는 장제스는 적어도 얼마간 "한반도가 중국과 미국의 보호tutelage를 받는 반부-독립 상태"에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루스벨트는 "중국이 만주와 한반도를 재점령하고자 한다는 사실은 명백하다"라고 결론 내렸다. 루스벨트는 소련까지 참가하는 국제 신탁통치 방안을 선호했으나, 장제스는 이와같은 해결책을 피하고 싶어했다. 미국, 중국, 영국이 최종적으로 동의한「카이로 선언은 다음과 같았다. "조선을 적당한 시기에in due course 자유롭고 독립적인 국가로 만들 것을 굳게 다짐한다. " - P132
전후의 기회를 준비하면서, 중국공산당은 공산당 내의 조선인들을 다루는 데 있어 문제에 봉착했다. 1936년 이전 코민테른은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의 지나친 민족주의를 비판했지만, 전쟁 후에 코민테른은 노선을 수정하여 ‘통일 전선united front‘의 이상을 내세웠다. 중국공산당은 코민테른의 노선을 따랐고, 이는 한반도 정책도 마찬가지였다.
1936년 이전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은 그들의 나라가 고대부터 하나의 민족을 이루고 있다고 주장하자 비판을 받았었다.
이제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은 투쟁이 사회혁명이 아니라 민족 해방을 위한 것임을 이해하지 못했기에 비판을 받았다.
코민테른의 노선 전환이 중국공산당원이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 소련공산당에 가입했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 간의 파벌 투쟁을 격화시킨것은 당연하다. 비록 많은 조선인이 북중국에서 중국공산당 유격대와 함께 투쟁했으나, 중국인 공산주의자들은 한반도까지 작전을 확대할 계획이 없었다. 홍군 내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은 중국의 해방 뒤에 조국의 해방을 이룰 수 있다는 말을 들었다. 마찬가지로 소련 내의 조선인 공산주의자들 역시 붉은 군대를 위해 먼저 복무해야 한다는 말을 들었다.
- P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