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인들은 겨울이 닥치기 전 최소한의 가축만 남기고 나머지 가축을 도살해 고기로 만들었다. 고기는 부패하기 쉬워 저장성이 떨어지지만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그 고기로 버텨내야 했다. 그들은 고기의 부패를 막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소금에 절이거나 말리는 등 온갖 방법을 동원했다. 향신료도 그 다양한 방법의 하나였다. 향신료가 있다면 고기를 어느 정도 양호한 상태로 보존할 수 있었다. 조금 과장하면 향신료는 ‘언제나 맛있는 고기를 먹을 수 있게’ 해주고 풍요로운 식생활을 구현해주는 마법의 약이었다. - < 세계사를 바꾼 13가지 식물, 이나가키히데히로 지음, 서수지 옮김 > 중에서

부패방지 기능만으로 후추의 높은 가격을 설명할 수는 없다. 과시적 소비가 설명을 맡는다.

유럽인들은 왜 그토록 향신료에 열광했을까? 가장 큰 이유는 향신료가 음식 맛을 좋게 하고 향을 높여주며 육류의 누린내와 생선 비린내를 없애주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향신료는 어떻게 조합해서 사용하느냐에 따라 맛과 사용법이 그야말로 무궁무진하다. - < 세계사를 바꾼 13가지 식물, 이나가키히데히로 지음, 서수지 옮김 > 중에서

아메리카로부터 감자가 등장하면서 부패 방지를 위한 향신료의 기능은 줄어들고 미식의 재료로서 가치를 부여받았다.

겨울이 오면 유럽인들은 적은 양의 돼지고기를 소금에 절였다가 먹는 것이 사실상 유일한 고기 섭취였다. 그러다가 감자를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일 년 내내 돼지를 기르는 것이 가능해졌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특히 독일에서 감자 열풍이 분 이유는 보존성이 뛰어나고 수확량이 많은 감자를 돼지에게 먹이로 줄 수 있었기 때문이다. 감자는 인간의 식량으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그때 사람들이 먹던 보리와 호밀 등의 잡곡을 소에게 먹이로 줄 수 있었다. 감자 보급 이후 유럽인들은 겨울 동안 신선한 돼지고기와 소고기를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감자가 들어온 후 다양한 고기 요리가 발달하면서 유럽의 많은 나라는 육식 문화 국가로 거듭났다. - < 세계사를 바꾼 13가지 식물, 이나가키히데히로 지음, 서수지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민민주독재는 인구의 절대다수를 점하는 인민에게는 민주를 실시하고, 극소수의 적대분자들에게는 독재를 실시하는 통치의 방법이다. 공산혁명에 반대하거나 저애가 되는 소수의 사람들은 "인민"이 아니라 "인민의 적"이다. 이 논리에 따르면, 도처에 숨어 있는 인민의 적을 제거해야만 공산혁명을 이룰 수가 있다. - P110

마오쩌둥은 1957년 2월 27일 "인민 내부의 모순을 처리하는 올바른 방법에 관하여"라는 역사적인 연설을 한다. 백화제방의 시동을 거는 연설이었다. 연설문을 잘 읽어보면, 곳곳에 묘한 복선이 깔려 있는 듯하다. 우선 제목에서 말하는 "인민 내부의 모순"이란 어떤 의미일까? 

앞에서도 설명했지만, 중국공산당은 중국의 모든 인간을 크게 인민과 적인으로 구분한다. 인민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공민이지만, 적인은 공민의 자격조차 박탈당한 일종의 비(非)인간이다.

마오쩌둥에 의하면, 적아모순 곧 인민과 적인 사이의 모순은 적대적 모순이다. 반면 인민 내부의 모순은 적대적이지는 않다. 적아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적인들을 억압하고 굴복시켜야만 한다. - P253

적인을 억압하고 굴복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그들 모두의 언론의 자유와 선거권을 박탈하는 인민독재가 요구되지만, 인민과 인민 사이의 갈등에 대해서는 인민독재가 적용될 수는 없다. - P254

"예를 들면 중국의 지주계급, 제국주의 분자 등의 적대계급은 우리 나라에서 출판을 할 수가 없다. 타이완 사람들은 우리가 사는 여기서 신문을 출판할 수가 없다. 지주계급은 신문을 출판할 수 없다. 그들에게서 언론의 자유를 박탈하고 선거권을 박탈하는 것 모두 그 범위 안에 들어간다. 독재를 행사히려면 민주집중제에 입각해야 한다. 누가 독재를 행사하는가? 바로 인민이다. 계급독재는 (적인) 계급에 대한 (인민)계급의 독재이다. 적인을 통제하고, 그들을 죽이고, 그들을 체포해야 한다. 물론 인민의 정부를 통해야만 하고, 인민이 해야만 한다. 현재 우리가 민주집중제라고 말하는 이 제도는 인민 내부의 범위에만 적용될 뿐, 적인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 인민은 그 범위 내에 있지만, 독재의 문제, 다시 말해서 누군가 다른 사람을 독재적으로 지배하는 문제가 아니다. 인민은 인민에 대한 독재를 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인민이 언론의 자유, 집회의 자유, 결사의 자유, 여행과 시위의 자유를 가지고 있음은 헌법에 적혀 있기 때문이다. 이는 민주의 문제이다. 민주는 리더십의 민주, 리더십을 집중하는 민주를 말한다. 무정부로서의 민주가 아니다. 무정부주의는 인민의 요구가 아니다." - P2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럽의 농경 지대는 지중해성 기후로 겨울에 상대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고 여름에는 건조한 편이다. 이곳에서 식물은 주로 비가 내리는 겨울 동안 생장한다. 지중해 연안 지역의 주요 작물인 밀도 가을에 씨를 뿌리는 겨울 작물이다. - < 세계사를 바꾼 13가지 식물, 이나가키히데히로 지음, 서수지 옮김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경제학자는 개별 기부가 내시 균형 Nash equilibrium을 이루어야 한다고 가정한다. 타자가 얼마나 공여할지 주어진 상황에서, 각각의 이타주의자는 자기 관점에서 최적의 금액을 기부한다. 기부 금액을 결정할 때, 그는 다른 잠재적 기부자에게 그가 제공하는 편익은 고려하지 않는다. 박애주의적 기부가 이러한 의미에서 균형을 이루도록 제한된다면, 자선 기부금의 예상 수준은 우리가 실제로 관찰하는 것보다 훨씬 낮다. 더욱이 사적 기부는 정부의 개입만큼 줄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가 관찰한 것은 그것과 반대된다.  - P197

이타적 기부자에게 있어 수혜자의 복지는 사실상 깨끗한 환경과 마찬가지 성질의 공공재이다. 각각의 잠재적 기부자에게 중요한 것은 그가 아이들이 더 나아지게 했다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나아진다는 사실 자체이다. 그는 자신의 기부만큼이나 다른 사람들의 기부에 의해서도 혜택을 얻는다. 그것은 마치 환경주의자가 자신의 청소 노력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의 같은 노력에서 혜택을 얻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 P197

내성과 일상적 관찰이 제시하는 바는, 내면의 빛의 강도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에게 얼마나 많이 기증하는지에 달려 있다는 것이다. - P20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가 자녀를 사립학교에 보낼 여유가 있고 사립학교가 내 자녀에게 더 좋다고 믿고 있으면서도 자녀를 공립학교에 보낸다면, 그것은 진정한 이타주의의 사례일 것이다. 그렇게 하는 것은 내 자녀의 복지뿐 아니라 자신의 복지도 희생하는 것이다. 이와 비슷하게 헌혈하는 것은 (친척에게 수혈하는 것과 달리) 진정으로 이타적인 동기에서 연원할 가능성이 더 크다. 실제로 어떤 동기화가 이타적인지 아니면 단순히 타자 배려적인지 말하는 것은 불가능하긴 하지만 말이다. - P1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