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보장.

하지만 필요한 해고는 마다하지 않으며 채용자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고 채용과정은 신중하게 실행하는 것이 동반되어야 한다.

고용보장 정책은 또한 해당 회사로 하여금 보다 신중하고 소수정예 위주의 인력선발을기해 나가도록 유도해 줄 수 있다. 왜냐하면 기업이 인력수요를 과대평가하고 한꺼번에 많은인력을 채용했을 경우, 사람들을 서둘러 다시 내보낼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소수정예 위주의 인력선발 정책을 견지하는 것은 회사로 하여금 보다 적은 인원으로 보다 많은 일을 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생산성이 높은 인력을 보유하도록 유도해 줄 수 있다. - P99

물론 고용보장‘이란 개념이, 성과를 잘 내지 못한다거나 혹은 다른 사람과 호흡을 맞추어 자신의 직무를 제대로 잘 수행하지 못하는 그런 사람들까지 조직이 계속 보유해야 한다는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성과도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테면, 링컨 일렉트릭사(Lincoln Electric)에서도 이 회사의 기업 문화와 작업환경에 적응하지 못하는 종업원들은 입사 후 몇 달이 채 되지 않아 직장을 그만두는 일이 빈번하였다.  - P10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기업에 적용되는 공식을 소규모 사업체에 적용하기 함들지 않을까? 소기업의 인재관리에 대한 이론이나 연구는 있기나 한걸까?

소기업이 이런 연구나 컨설팅을 수요하지 않으므로 시장 규모가 작아서 이 분야의 연구자는 많지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업에서도 그렇지만 정책에서도 실행 또는 집행은 중요하다.

이 책은 인적자원관리가 전략보다 또는 최소한 전략만큼 중요하다고 역설한다. 전략은 기업 포트폴리오의 재구성이다. 저자는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거나 기존 사업을 버리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하던 일을 잘 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잘 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잘 관리해야 한다고 덧붙인다.



요즘 같은 세상에서 ‘실행‘(implementation)은 훨씬 더 어려은 일이기 때문이다. 한 전략 컨설팅 회사의 최고경영자는 나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한 적이있다. "해결책을 찾는다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운 일일 수 있다. 하지만 그 해결책을 실제 실천에 옮기는 일은 종종 불가능할 때가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은 흔히 본질적으로 운영상의 문제를 거창한 전략으로 해결하고자 한다.
- P32

성공은 단지 전략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전략을 성공적으로 실행하는 데서 비롯된다. 이런 실행 능력의 대부분은 조직 내 사람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며, 또한 그들을 어떤 식으로 관리하느냐와, 그들의 기술과 능력, 그리고 조직을 위한 그들의 노력여하에 의해 좌우된다. 조직의 경영관리 양식을 고치는 것은 단순히 전략을 재조정하는 것보다 훨씬 더 힘들지만, 그로 인한 이득은 훨씬 더 클 수 있다. - P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rue causal statement = 그가 알레르기가 있는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죽었다고 말하는 것

말 그대로 사실이지만 인과적 기제가 없는 진술.
인과적인 형식을 갖지만 메커니즘은 쏙 빠져 있은 진술.

번역자가 고심해서 ‘참인 인과적 진술‘이라 번역했지만 딱 맞다 싶지는 않다.

어떤 사람이 실제로 식중독으로 죽었고, 그가 문제가 되는 음식인 바닷가재에 알레르기가 있었다고 해보자. 그가 알레르기가 있는 음식을 먹었기 때문에 죽었다고 말하는 것은 참이지만 오해의 소지가 있다. 그가 바닷가재를 먹었기 때문에 죽었다고 말하는 것은 참이지만 유용하지 않다. 그렇게 말하는 것은 아무런 인과 메커니즘을 제시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원인과도 부합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번 만난 바닷가재 섭취자를 죽일 것이라고 맹세한 어떤 사람이 살해한 사람을 두고, 그가 죽은 것은 바닷가재를 먹었기 때문이라고 하는 것 역시 참되지만 유용하진 않은 것처럼말이다.
- P5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실 그 자체가 아닌 변이(variation)만을 설명하는 경향은 원인 또는 이론 없이 통계학적 접근을 하기 때문이다. 나 역시 그렇다. 스스로를 뒤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종단적 연구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나타나는 종속 변수의 변이를 고찰한다. 횡단적 연구는 인구집단 사이의 변이를 고찰한다. 어떤 경우든피설명항이 바뀐다. 현상 그 자체‘를 설명하려고 하기보다, 그것이 시공간적으로 어떤 변이를 보이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설명이 얼마나성공적인지는 부분적으로는 그것이 설명할 수 있는 변이가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측정된다. 관찰된 모든 변이를 설명한다면 완벽한 성공이다.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