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들어진 유대인
슐로모 산드 지음, 김승완 옮김, 배철현 감수 / 사월의책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종주의의 19세기 기원

19세기 후반 사상계의 권위자들 중 일부는 인종주의와 오리엔탈리즘 관습이라는 늪 속에서 즐거이 노를 젓기 시작했다. 이러한 풍조는 정치적 좌파들과 저명한 학계 인사들의 지지를 받으며 퍼져 나갔다. 카를 마르크스로부터 에르네스트 르낭까지 많은 사상가들이 유대인, 아프리카인, 혹은 오리엔트 민중에 대한 편견에 찬 저술들을 출간했고, 이 저술들은 삽시간에 시대적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서구 문화의 중심지에서 인종 이론이 인기를 얻은 이유를 설명하려면, 서구와 유럽대륙 중심부에서 빠르게 일어난 산업과 기술 발전에 대한 유럽의 우월감을 고려해야만 하며, 또 그런 발전이 어떻게 생물학적이고 도덕적인 우월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는지를 고려해야만 한다.

게다가 발달심리학 내지 발달신경학 등이 발전하면서 생명과학을 사회연구 및 역사와 연결하려는 비교의 욕망이 생겨났다. 1880년대까지 인종 이론은 거의 의문의 여지가 없고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것이었다.
- P1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육 시스템의 성격을 바꾸는 유일한 길은 교사의 지위를바꾸는 것이다. 왜냐하면 교사들만이 교육을 정화할 수 있으며, 이들이 이 일에 착수할 수 있게끔 해주는 조건을 마련해야만 이는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가르치는 일을 자치가완전히 보장된 직업으로 만들 때에만 우리는 교육과 관련해올바른 길을 걸어가게 될 것이다. 즉 교사들이 교육에서 작금의 자본주의적이고 경제적인 얼룩을 씻어낼 자유를 행사하도록 도울 때에만 우리는 훌륭하며 해방적인 교육 시스템을 갖게 될 것이다.
- P11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선거를 비롯한 대의제만으로는 민주주의가 일상에서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는 없다. 이 상태에서 대중은 아직 무력한 원자적 개인일 뿐이다. 대중은 다양한 자발적 결사체들로 스스로를 조직해야만 한다. 이러한 결사체들이 발전하고, 이들이 활발하게 연계하고 조정하며 협력해야 한다. 이럴 경우에만 시민들은 원자적 개인에 머물렀을 때에는 결코 발휘할 수 없었을 역량을 펼칠 수 있게 된다. 즉 자발적 결사체야말로 민주주의에서 대중의 가장 중요한 커먼스 즉 공동자원이다. - P2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관계를 중심으로 사회주의를 정식화하는 길드 사회주의의 이러한 논법은 다른 사회주의 조류들과 뚜렷이 구별되는 길드 사회주의자들만의 특징이다.
당대의 다른 많은 사회주의자들, 특히 독일이나 러시아의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주로 역사 발전 법칙이나 계급투쟁을 논거 삼아 자본주의를 비판했다. 이들에게 민주주의란 부르주아계급의 지배를 유지하는 수단이거나 사회 변화를 위해 활용할 제도적 통로일 따름이었다. 어찌 보면 민주주의를 정치 영역의 작동 원칙으로 제한한 자유주의적 민주주의관의 거울상이었다고 하겠다. - P2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산업 감독관의 제일 아래 등급인 현장감독이 그와 함께 일할 노동자의 특정 기관에 의해 직접 선출되어야 한다는 것은 산업민주주의에서 필수적인 원칙이다. 왜냐하면 지도자가 이런 방식으로 선출되지 않는다면 협동 정신이 샘솟지 않을 테고 조직전체에서 민주주의의 주동력이 사라진 것이기 때문이다. 공장 안에서는 유관 개별 노동자에 의한 직접선거가 아마도 거의 모든 지도자 선출에서 최선책이 될 것이다. 

그러나 조직단위가 공장보다 상위일 경우에는 나는 더 이상 노동자 전체에 의한 직접선거가 최선 혹은 가장 민주적인 경로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전체를 대의하는 대의원들에 의한 선거가 더 훌륭하고 민주적인 경우가 많을 것이다. - P6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