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전의 이면.
- 베트남족 대 화교
- 화교와 보트피플
- 화교 지배층







공무원, 대학, 군대, 전문직 등을 베트남 지배층이 채우는 동안 화교들은 상업과 기업 분야를 틀어 쥐고 있었다. 화교는 인구 비중은 매우 낮지만 남베트남 산업의 무려 80%를 장악하고 있었다. 유통, 금융, 교통 분야, 그리고 벼농사와 관련된 모든 분야를 화교가 장악했다. 서비스 분야에서도 인구 비례 대비 압도적으로 많은비중을 화교가 차지했다. 20세기 중반에 화교는 사이공 대형 호텔의 50%, 소형 호텔의 90%를 소유하고 있었고 대형 식당 92곳, 차와 맥주가게 243곳, 소형 식당 826곳을 소유하고 있었다. 어느 추산치에 따르면 베트남 화교는 비유럽계 민간 자본의 90%를 장악하고 있었다.
- P67

베트남 자본가 대부분은 베트남 사람이 아니었다. 베트남 사람들에게 자본주의는 화교를 연상시켰다. 자본주의에서 주로 이득을 얻는 이들이 화교로 보였기 때문이다. - P69

미국인들은 1970년대 말에 ‘베트남 보트피플‘ 이야기를 많이 들었지만 이 베트남 난민 상당수가 사실은 화교라는 사실은 거의 혹은 전혀 듣지 못했다. - P75

제네바 협정은 300일의 시간을 주고 모든 베트남 사람이 원하는 곳에 가서 살 수 있게 했다. 이때 남에서 북으로 간 사람은 12만 명이었는데 북에서 남으로 온 사람은 80만 명이나 됐다. 냉전의 전사 미국인들은 이 차이를 베트남 사람들이 두 발로 자본주의에 표를 던진 것이라고 믿었다. 

하지만 민족 집단 간의 동학을 염두에 두고 보면 이와는 다른 그림이 나온다. 남쪽으로 온 사람들의 상당수가 화교였다. (북부에 있던 화교의 압도적 다수가 남으로 내려왔다.) 베트남 사람 중에서 남으로 온 사람은 프랑스화된 베트남 지배층을 포함해 공산 정권에서 박해를 받을까 봐 내려온 가톨릭교도들이었다. 

300일간의 이주허용 기간이 끝날 무렵 화교의 압도적인 다수 (120만 명 중 100만 명)가 남베트남에 살게 됐다.
- P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의 강한 국가정체성


프랑스의 소수 집단은 ‘라이시테 ‘laicite, 정치적 세속주의)를 따를 것이나 아니면 아무것도 얻지 못할 것이냐 선택을 해야 한다.

2016년에 프랑스 전 대통령 니콜라스 사르코지는 "프랑스인이 되고싶으면 프랑스어를 해야 하고 프랑스인처럼 살아야 하며 아주 오랫동안 프랑스의 삶의 방식이었던 것을 바꾸려 하지 말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2016년 여름에는 ‘부르키니 금지‘ 논란이 신문 지상을 달고최근에는 상당수의 프랑스 도시와 마을에서 공립학교가 돼지고기를 넣지 않은 급식 제공을 중단해 논란이 됐다. 유대인과 무슬림 학생들도 ‘프랑스인처럼 식사를 해야 하고, 그렇지 않을 거라면 급식을 아예먹을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런 식으로 동화를 강요하는 것이 프랑스내 무슬림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가난한 무슬림 이민자들이 배제와 소외를 느끼고 자신이 살고 있는 나라에 대해 적대적이 되게 했다는 데 많은 이의 의견이 일치하고 있다. 

요컨대, 프랑스는 강한 국가 정체성을 가지고 있지만 민족적, 종교적 소수자들의 문화가 자유롭게 번성하도록 허용하지는 않는다.
- P3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엘리트와 서민의 미학적 차이


부족 정치는 집단을 드러내는 표식을 필요로 한다. 그리고 엘리트계층과 나머지 사람들 사이에서 차이를 드러내 주는 표식은 늘 미학적인 요소와 관련이 있었다. 오늘날 미국의 엘리트, 특히 진보 쪽 엘리트는 자신이 얼마나 다른 이들에 대해 가치 판단을 내리려 하는지를 잘 인식하지 못한다. 그들은 조잡하고 싸구려 같은 것을 질색한다. 그런데 그 조잡하고 싸구려 같은 것들(가짜 선탠, 화려한 머리, 프로레슬링, 큰 트럭 뒤에 매달린 크롬으로 만든 황소 성기 등)은 대개 저소득층과 관련이 있고, 이는 우연이 아니다.
- P1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2 - 하나의 미국 - 남북전쟁에서 제1차 세계대전 전까지, 개정판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2
앨런 브링클리 지음, 황혜성 외 옮김 / 휴머니스트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지프 추장, 네즈퍼시 부족, 1877

1877년 인디언 역사에서 가장 극적인 사건 가운데 하나가 아이다호에서 발생했다. 규모도 작고 비교적 평화로운 부족인 네즈퍼시(Nez Percé) 인디언은 1870년대까지도 오리건에서 미국과 조약 한번 체결한 일 없을 만큼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지내왔다. 그러나 백인 정착민의 압력을 받은 미국 정부는 그들마저 보호구역으로 강제 이주시켰고 현실적으로 아무런 저항할 힘이 없었던 인디언은 보호구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술에 취해 분을 삭이지 못한 일단의 젊은이가 이주 도중 백인 정착민 4명을 살해한 사건이 일어났다.
그 무리의 우두머리였던 조지프 추장(Chief Joseph)은 보복을 피해 달아나라고 동료를 설득했다. 미국 군대가 그들을 따라잡아 공격했지만, 화이트 버드 계곡(White Bird Canyon) 전투에서 격퇴당했다. 이후 네즈퍼시 족은 여러 방향으로 흩어졌고 대대적인 추격의 대상이 되었다. 조지프 추장은 200명의 전사를 비롯한 350명의 여성과 아이, 노인을 데리고 캐나다를 향해 움직였고 4열 종대로 늘어선 미국 병사가 이 인디언을 추격했다. 조지프 추장의 무리는 75일 동안 몇 번이고 추격자를 따돌리거나 물리치면서 거의 1,321마일 이상을 내달렸으나 결국 캐나다 국경을 바로 목전에 둔 상황에서 병사들에게 붙잡혔다. 일부는 도망쳐서 국경을 넘기도 했다. 조지프 추장을 비롯한 대다수는 지쳐 낙담해 결국 항복했다. 조지프는 미국 장군 넬슨 마일스(Nelson Miles)와 만난 자리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 말을 들으시오, 장군. 나는 지쳤소. 가슴이 아프고 슬프오. 지금 태양이 떠 있는 이 자리에서부터 나는 앞으로 더 이상 싸우지 않겠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자책]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2 - 하나의 미국 - 남북전쟁에서 제1차 세계대전 전까지, 개정판 있는 그대로의 미국사 2
앨런 브링클리 지음, 황혜성 외 옮김 / 휴머니스트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버팔로의 멸종

남북전쟁 이후 전문 사냥꾼과 아마추어 사냥꾼이 평원으로 몰려와 엄청난 수의 야생동물을 사냥했다. 심지어 여행객조차 달리는 기차에서 버펄로 떼를 향해 총을 쏘곤 할 정도였다. 일부 인디언 부족-특히 블랙피트(Blackfeets) 부족-도 새로이 붐이 일고 있던 시장에 내다 팔기 위해 버펄로를 대거 사냥하기 시작했다. 1865년만 해도 최소한 1,500만 마리의 버펄로가 있었는데, 10년 뒤에는 1,000마리도 채 남지 않았다. 식량과 물자의 원천이던 버펄로 떼가 이렇게 백인의 살육으로 사라지면서, 인디언은 백인의 진입에 대해 저항할 힘을 잃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