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일생동안 약 450개의 성숙란만을 생산하지만 남성은 평생 약 5,000억 개의 정자를 만든다. 수정에는 단 한 개의 정자와 난자가 필요하므로 난자는 한정된 자원이다. 게다가 여성의 난자가 수정되면 다음 배란까지 2주가 소요되는데, 남성은 몇 시간 안에 정자를 다시 만들어낼 수 있다. 일단 난자가 수정되면 암컷은 태아를 품는 동안
짝짓기를 하지 않는다. 그 기간은 구피의 경우 한 달, 인간은 9개월, 코끼리는 거의 2년에 달한다. 암컷이 태아에 집중하는 동안에도 수컷은 짝짓기를 지속할 수 있다. - < 뇌는 왜 아름다움에 끌리는가, 마이클 라이언 (지은이), 박단비 (옮긴이) > 중에서

28일의 월경주기를 생각하면 35년 정도 난자를 생산한다. 15세에 월경을 시작하면 50세 정도에 완경에 이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름다움은 감상자의 뇌에 달려있다*’는 것이 내 주장이다.

* Beauty is in - < 뇌는 왜 아름다움에 끌리는가, 마이클 라이언 (지은이), 박단비 (옮긴이) >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군주제=대통령
귀족제=상원
민주제=하원?





폴리비오스가 보기에 로마가 단기간에 도시 국가에서 지중해 지역을 평정한 제국으로 성장한 것은 군주제, 귀족제, 민주제가 혼합된 정체였기에 가능했다. 로마를 혼합정이라고 볼 수 있는 이유는 군주제의 특징인 집정관, 귀족제의 장점을 표출하는 원로원, 민주제를 구현하는 민회가 로마 정체를 특징짓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세 가지 기구는 서로 견제하며 균형을 이루고 있어서, 어느 하나가 강해져 균형이 깨지면 다른 기구들이 견제하고 제한했다. - <공화주의>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1309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민주화의 과정은 페리클레스Perikles(기원전 495~429년경) 시기에 절정에 이른다. 우선 그는 재판에 참여하는 배심원들에게 수당을 지급해, 특별한 재산이 없는 테테스 계층으로 하여금 아테네 민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이러한 국고 지원은 동맹국들이 아테네에 제공하는 지원금을 통해 가능했다. 그런데 이렇게 아테네 시민으로서 누리는 특권이 많아지자 페리클레스는 아테네 시민권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아테네 시민이 되려면 부모가 모두 아테네 출신이어야 한다고 명시한 것이다. - <공화주의>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1309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군이 확대되면서 배의 노를 젓는 이들이 충원되어야 했는데, 무기를 스스로 갖출 능력이 없는 이들, 즉 테테스 계층이 이를 맡게 되었다. 이들은 군선에 복무하면서 생계를 유지했다. 이들은 동맹국들이 내는 분담금으로 해군에 복무하는 대가를 받았기에, 호전적인 정책을 지지할 수밖에 없었다. - <공화주의> 중에서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213093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