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1년 신경외과 의사 와일더 펜필드는 수술 중인 남자의 뇌 속에 섬세한 전극 끝을 집어넣었다.1 그리고 헤드폰을 쓰는 자리 바로 아래의 뇌 조직에서 놀라운 것을 발견했다. 어느 특정 지점에 약한 전기 충격을 주면, 환자는 누가 손을 만지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그 근처의 다른 지점을 자극하면, 환자는 몸통을 만지는 손길을 느꼈다. 또 다른 지점은 무릎이었다. 이런 식으로 환자 몸의 모든 부위에 해당하는 지점이 뇌에 있었다. -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4545c9729da0431

펜필드는 체성감각피질을 따라 이 지점 저 지점으로 천천히 옮겨 다닌 끝에 인간의 몸 전체를 거기서 찾아낼 수 있었다. 그가 찾아낸 지도는 이것만이 아니었다. 운동피질(체성감각피질 바로 앞쪽의 띠)에서도 그는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기를 약하게 흘리면 신체에서 특정 부위의 근육이 움찔거렸으며, 서로 인접한 지점들이 서로 인접한 부위를 담당했다. 펜필드는 이 결과도 깔끔하게 정리했다.
그는 이 신체 지도들을 ‘작은 사람’이라는 뜻의 호문쿨루스로 명명했다. - <우리는 각자의 세계가 된다>, 데이비드 이글먼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4545c9729da0431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작용

첫째, 긴 대립유전자가 ‘좋은 유전자’라서 유년기의 나쁜 환경에 맞설 수 있는 저항력을 준다는 것(아래 표에서 왼쪽 하단). 둘째, 나쁜 씨앗을 갖고 있는 원숭이에게 어미와의 좋은 관계가 어떻게든 저항력을 준다는 것(오른쪽 상단). 이 두 가지 해석은 서로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라서, 함께 중요한 교훈으로 이어진다. 유전과 환경의 조합이 최종 결과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교훈이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 김승욱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WfsEC2wk8Ks16o3y7

카스피의 연구팀은 폭력을 저지르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차이를 알기 위한 연구에서, 특정 유전자의 발현에 나타난 작은 변화로 아이들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23 그 유전자가 잘 발현되지 않은 아이들은 행동 장애를 일으켜 폭력적인 범죄자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만약 어려서 학대를 당했다면, 이런 나쁜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훨씬 더 높아졌다. 반면 ‘나쁜’ 형태의 유전자를 지니고 있으나 아동학대를 겪지 않았다면, 학대하는 어른으로 자랄 가능성이 낮았다. 그리고 ‘좋은’ 형태의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면 어렸을 때 심한 학대를 당했어도 반드시 폭력을 이어가는 어른으로 자라지는 않았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 김승욱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iyZs3MJ6fFxr5zN48

심리학자 앤절라 스카파와 에이드리언 레인은 비슷한 맥락에서, 반사회적 성격장애를 진단받은 사람들의 뇌기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측정해보았다. 반사회적 성격장애의 특징은 타인의 감정과 권리를 완전히 무시하는 행동을 보이며, 범죄자 집단에서 이 성격장애의 유병률이 높다. 연구팀은 과거의 불운한 환경 및 경험과 뇌 이상이 함께 존재할 때, 반사회적 성격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다는 것을 알아냈다.25 뇌에 문제가 있지만 좋은 가정에서 자란다면, 아무 문제도 생기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가정환경이 끔찍해도 뇌에 문제가 없다면, 역시 괜찮은 사람으로 자랄 수 있다. 그러나 뇌에 가벼운 이상이 있는 사람이 불행한 가정에서 자란다면, 몹시 불운한 시너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사례들은 성격이라는 최종 산물을 결정하는 것은 생물학적 현상과 환경 중 어느 하나만이 아님을 보여준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 김승욱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o1su1jAyJU7kiUoC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뇌과학은 사법 시스템을 바꿀 것이다

(형사법정에서) 잘못의 책임이라는 개념을 교정 가능성이라는 개념으로 대체해야 한다. 미래지향적인 이 용어는 이렇게 묻는다. 이제부터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가? 재활이 가능한가? 그렇다면 다행이다. 그렇지 않다면 징역형으로 미래의 행동을 교정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그를 감옥으로 보낸다. 만약 처벌로 효과를 볼 수 없다면 응보가 아니라 자격정지를 위해 국가가 그를 관리한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 김승욱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GgP6Rq8LPXE1uncY6

뇌에 대한 지식 덕분에 선고 시스템을 더 계몽된 형태로 발전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앞 장에서 보았듯이, 잘못의 책임을 따지는 문제적 방법(이 사람의 잘못이 얼마나 되나?) 대신 미래지향적이고 실용적인 교정 시스템(이제부터 이 사람이 무엇을 할 가능성이 높은가?)을 도입할 수 있을 것이라는 뜻이다. 언젠가는 의학이 허파나 뼈의 문제를 연구하듯이 사법 시스템이 뇌와 행동 문제에 접근할 수 있게 될지도 모른다. 이런 생물학적 사실주의가 범죄자의 죄를 없애주지는 않는다. 그보다는 미래지향적인 시각으로 합리적인 선고와 개별화된 재활을 도입할 수 있게 해줄 것이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 김승욱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VbVHekLeDzY6n4G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억 장소는 하나가 아니다


자연은 기억을 저장하는 메커니즘을 한 번 이상 창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평범한 상황에서 일상적인 일들에 대한 기억은 뇌의 해마라는 영역에서 단단하게 굳어진다. 그러나 자동차 사고라든가 강도 사건 같은 무서운 상황에서는 편도체라는 영역이 별도의 독립적인 기억 트랙에 기억을 저장한다.30 편도체 기억은 성격이 조금 달라서, 지우기가 어렵고 때로 ‘플래시’처럼 번뜩 떠오른다. 성폭행 피해자와 참전군인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이처럼 기억을 저장하는 데에는 하나의 방법만 있는 것이 아니다. 사건별 기억이 따로 있다는 뜻이 아니라, 같은 사건의 기억이 여럿이라는 뜻이다. 성격이 다른 기자 두 명이 하나의 사건에 대해 메모를 하는 것과 같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 김승욱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NyNvsLknQTGkF13X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의식은 CEO. 방향을 정한다.

처음 자전거에 오른 아이는 여기저기 비틀비틀 부딪히면서 어떻게든 자전거 타는 방법을 터득하려고 필사적으로 애쓴다. 여기에는 의식이 강하게 개입한다. 그러다 어른이 자전거를 잡아주며 가르쳐주고 나면, 아이는 혼자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된다.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에는 자전거 타는 기술이 반사작용처럼 자동화된다. 모국어를 읽고 말하는 것, 신발 끈을 묶는 일, 아버지의 걸음걸이를 알아보는 것과 마찬가지로 세세한 부분이 이제 의식의 영역을 벗어나 의식적으로 접근할 수 없게 된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 김승욱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tY7MoY2zv1xFiXA38

효율성에 관한 한 연구는 비디오게임 테트리스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의 뇌를 촬영했다. 피험자들의 뇌는 몹시 활발히 움직이면서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소모했다. 신경망이 이 게임의 기반 구조와 전략을 탐색하고 있기 때문이었다. 일주일쯤 시간이 흘러 피험자들이 이 게임의 전문가가 되자, 뇌는 게임 중에 에너지를 아주 조금만 소모하게 되었다. 뇌가 조용해졌는데도 피험자의 게임 실력이 좋아진 것이 아니라, 뇌가 조용해졌기 때문에 게임 실력이 좋아졌다고 말해야 옳다. 테트리스 게임 실력이 회로에 깊게 각인되어서, 뇌에 아예 이 게임만 효율적으로 전담하는 프로그램이 생긴 것이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 김승욱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QwyZTu9SPkUGRMpV6

선수가 실수를 저지르면 코치는 대개 이렇게 소리친다. “생각을 해!” 하지만 프로 운동선수의 목표는 생각하지 않는 것이라는 점이 얄궂다. 수많은 시간 동안 훈련을 거듭해서, 전투가 한창일 때 의식의 방해 없이 딱 맞는 동작이 저절로 나오게 만드는 것이 목표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 김승욱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iJgCzsRPJ3SPVon99

의식은 마치 보위를 물려받은 어린 군주 같다. 그는 나라의 영광이 모두 자신의 공이라고 생각하지만, 나라가 무사히 잘 돌아가게 해주는 수많은 일꾼들의 존재를 전혀 알지 못한다. - <무의식은 어떻게 나를 설계하는가>, 데이비드 이글먼 지음 / 김승욱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j428ujRDZH37NPtNA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