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찰
망상자는 비정상적 현저성을 나타낸다
도파민이 과잉되면 일반적으로는 주목되지 않았을 감각적
자극이 중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감각적 자극을 더 느끼는
현상을 비정상적 현저성이라 한다.
망상경험자는 도파민 과잉이 있고 예측 모델보다
감각적 자극을 더 중시한다.
가설
예상하지 못했던 눈에 띄는 사건을 경험할 때,
이런 사건을 설명해주는 확신(내적 세계 모델의 일부)은
당사자의 마음을 매우 가볍게 해준다. 의미를 획득하고
지각과 확신 사이, 감각 데이터와 예측 사이의 불일치가
해소된다.
의문
사물이 비정상적으로 눈에 띄는 현상은
오히려 기존 확신을 교정할 수 있게 하는데 더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잠시 확신을 가질 수 있으나,
감각 데이터가 불거지면 새로운 확신으로 대체할 것
같다.
문제는 망상 경험자들의 하나의 망상이 잘 바뀌지 않는다는
것이다.
망상적 확신이 정상적 확신에 비해 잘 교정되기 어렵다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추가 가설
예측에는 수준 차이가 있다. 높은 수준의 예측과
낮은 수준의 예측이 있고 비정상적 현저성은
낮은 수준의 예측이 감각적 데이터와 맞지 않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낮은 수준의 혼란을 높은 수준의 과잉 확신을 통해
정돈할 수 있다.

위계질서적으로 높은 수준의 예측에 더 비중을 두는 것은 위계질서적으로 낮은 수준의 예측이 감각 데이터와 비교해 너무낮은 비중을 갖는 것에 대한 일종의 상쇄 메커니즘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시스템이 잘 돌아가려면 예측 위계질서상 낮은 수준에서의 불확실성으로 말미암은 ‘혼란‘이 위계질서상 높은 수준에서의 과잉 확신을 통해 정돈돼야 하는 것이다.
케임브리지대학교의 동료 파울 플레처 Paul Fletcher는 한 대화에서 위계질서의 낮은 영역에서 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높은 영역이 그것을 넘겨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말은 가상의회사 PREDICT를 연상시킨다. 회사의 낮은 직급 실무자들이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면 (가령 별로 중요하지 않은 정보에 너무 많은 중요성을 부여한다든지), 지도부는 잘못된 결론에 도달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그래서 실무자들의 판단을 신뢰할 수 없겠다는 생각이 들면, 회사의 지도부는 자신들의 판단을 그것이 설사 틀린것일지라도 더 단호하게 위로부터 밀어붙일 것이다.
위로부터의 이런 보정은 내적 세계 모델의 질서와 일관성을 만들어내며, 그를 통해 불안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내적 세계 모델을 교정하기 더 힘들게끔 하고, 현실과의 연결을 잃게끔 할 수 있다. - P2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