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리성의 조건
- 적절한 이유를 댈 수 있어야 한다
- 진술이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 = 일관성
- 증거에 부합하고, 부합성에 맞춰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 = 인식적 합리성

최소한 합리성 문제는 어느 진술이 참인지 거짓인지하는 인식론적 질문을 훨씬 뛰어넘는다. 합리성이라는 개념은, 확신은 인간의 정신적 활동 혹은 정신적 상태와 관련된 것으로보며, 누군가가 진술하는 내용의 진실성뿐 아니라, 그 진술과 관련한 그 사람의 상태를 조명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한 인간의 확신을 어느 때 합리적이라고 칭할까? 확신에 적절한 이유가 뒷받침될 때, 그것이 합리적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적절한 이유는 확신을 이해하고 수긍하게 만드는 이유다.
그런데 여기서 또 한 가지 중요한 측면이 있으니, 한 사람의 확신이 서로 얼마나 일관성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한 이론 안에서진술이 서로 모순되지 않아야 한다는 진리 정합론과 비슷하게, ‘합리성의 일관성 원칙‘은 한 사람의 확신이 그의 다른 확신 혹은 신념과 들어맞아야 함을 말한다.12 누군가 신이 지난 1만 년 사이에 인간을 창조했다고 굳게 확신하는 동시에 진화의 신기한 지식을 열정적으로 전파한다면 확신에 대한 근거 면에서 신뢰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 P68
환자는 확실한 증거 앞에서도 자신의 확신을 굽히지 않을 것이다. 주어진 증거에 확신을 맞추는 대신 자신이 지은 망상 건물의 가장 구석에서 증거에 반하는 논지를 끄집어낼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환자의 확신이 내적 일관성이 있다해도, 그것을 명백히 비합리적인 것으로 본다. 주어진 증거와 부합하지 않고, 증거를 통해 그가 확신을 수정할 여지도 없기 때문이다.
이로써 우리는 사실에 근거한 ‘인식적 합리성‘이라는 기준에 도달한다. 즉 확신은 주어진 증거에 부합해야 하며, 이런 부합성에 맞춰 확신을 수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15
인식적 합리성은 진리 대응론에 가깝다. 대응론은 이론이나 진술이 활용 가능한 증거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묻는다. 인식적 합리성은 한 인간의 확신이 주어진 증거에 어느 정도로 근거하며, 이런 증거에 어느 정도 스스로를 맞추는가 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인식적 합리성이 확신(내지 그 진술)이 참이라는 것 외에도, 그 확신이 어떤 근거를 바탕으로 하는지 묻는다는 것이다. - P70
일관성과 인식적 합리성 원칙은 서로를 배제하지 않는다. 확신의 합리성을 평가하는 데서 (1) 이 두 원칙 중 어느 쪽에 어느 정도 비중을 둘지는 (2) 어떤 증거를 활용할 수 있는지, (3) 이런 증거가 얼마나 믿을만한지에 따라 달라진다.
검증 가능한 증거가 거의 없는 경우에는 일관성의 원칙이 더 강하게 부각된다. (검증 가능한 증거가 많은 경우 인식적 합리성 원칙이 더 강하게 부각된다)
그러나 인식적 합리성 원칙은 기본적으로 늘 앞에서 잠시 살펴본 인식론의 본질적 문제와 싸워야 한다. 즉 우리의 인식 능력이 제한되어 있어 절대적 진실을 진술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 말이다. - P7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