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하는 동물과 싫어하는 동물은 정확히 무엇인가? 그것은 나이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가? 이 문제에 대해 믿을 만한 결론을 내리려면 엄청난 양의 증거를 모아야 한다. 그런 증거를 얻기 위해, 4세부터 14세까지의 영국 어린이 8만 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SvqvjR7QvLkZVotA9
1위 침팬지(13.5%), 2위 원숭이(13%), 3위 말(9%), 4위 부시베이비(8%), 5위 판다(7.5%), 6위 곰(7%), 7위 코끼리(6%), 8위 사자(5%), 9위 개(4%), 10위 기린(2.5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DMb58UkRspQTgpQ18
동물의 매력에 대한 첫 번째 원칙은 “동물의 인기는 그 동물이 갖고 있는 사람과 비슷한 특징의 수에 정비례한다”이고, 두 번째 원칙은 “어린이의 나이는 어린이가 가장 좋아하는 동물의 몸집에 반비례한다”이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tHHWb9Wb83chSnqD6
좋아하는 동물로 판다를 선택하는 것은 문화적으로 결정될지 모르지만, 그것을 선택하는 ‘이유’는 보다 깊고 보다 생물학적인 과정을 반영한다. 다른 문화권에서 똑같은 조사를 되풀이하면 인기 순위가 바뀔지는 모르지만, 그래도 역시 동물을 인간의 상징으로 간주하고 싶어하는 우리의 기본적인 욕구에 따라 좋아하는 동물이 선택될 것이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K5msU5tfRktRb7fG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