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비합리적인가?
- 비합리적 성향이 적응적이다
- 버스와 헤이즐턴의 오류관리이론




이런 종류의 지각 및 인지 왜곡은 화재경보기 원리를 따른다. 화재경보기는 되도록 지나치게 예민하게끔 설정되어야 한다. 아주 미미하고 아직은 위험하지 않은 연기에도 곧장 반응하게끔 설정되어야 한다. 소방대가 한번 헛수고를 하는 것이 (물론 한번 출동하는 데 드는 비용도 만만하지는 않다) 집 전체가 불에 휩싸이고, 인명 피해가 생기는 것보다(이것은 의심할 바 없이 훨씬 높은 비용이다) 낫다. 연기 감지 장치를 만드는 사람들은 그 감지기가 연기를, 화재 위험을 얼마나 현실적으로 평가하는지에는 관심이 없다. 

가능한 한 자립적으로 주변을 누비고 다녀야 하는 로봇과 관련해서도 비슷한 상상을 할 수 있다. 완전한 파손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연기 감지 원칙은 그에게도 유용할 수 있다. 여기서도 세계를 가능하면 현실에 충실하게 측정하는 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단순한 비용편익 - 계산이 중요하다. 

마찬가지로 우리 두뇌를 설계하는 진화에게는 우리가 세상에 대해 갖는 상이 얼마나 현실적인지는 ‘알 바 아니다‘.
진화는 뇌를 굉장히 예민한 패턴 인식 기계이자 행위 감지기계로 만들었다. 그렇게 해야 생존하고 번식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이다. 그 결과 우리는 비합리적 결론, 확신, 행동으로 이어지는 인식적 오류를 저지른다. 그러나 오류 관리 이론에 따르면 이렇게 현실을 오인하는 것은 적응적일 수 있다. - P144

지각과 생각, 행동에서의 비합리성이 혹시 일어날 수 있는 실수의 비용을 계산하다 보니 나타난다는 생각을 오류 관리 이론 Error Management Theory, EMT이라 부른다. 미국의 진화심리학자 데이비드 버스David Buss와 마티 헤이즐턴 Martie Haselton 이 창시한 이 이론에 따르면 인지 왜곡과 그에 기반한 잘못된 확신은 결코 진화의 과실이나 인지적 충수돌기가 아니다. 오히려 그것이 전반적으로 적합성을 높이기 때문에 적응적인 특성이다.5 비합리적 확신은 실수율을 더 높일지 모르겠지만, 비용이 낮은 실수는 용인하고 높은 비용이 드는 실수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실수율을 높이더라도 적응적인 행동인 것이다. - P1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현병의 진화정신의학적 설명




현대문명의 놀라운 성취가 만성질환 대부분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본다. 23 옛날 식량이 부족했던 시절에 먹지 못해도 축적된 에너지를 쓸 수있게 하면서 우리 조상들에게 도움을 주었기에 자연선택받았던 유전자 변이가 오늘날에는 비만과 당뇨 같은 문명 질환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24

조현병이나 망상 경향도 그와 비슷한 메커니즘으로 볼 수 있다. 작은 집단을 이루어 모여 살고, 빠듯한 자원을 두고 적과 경쟁해야 했던 선조들에게는 불신과 편집증적 경향이 생존에 유익을 주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더욱 조심하고 위험을 더 빨리 알아볼 수 있었으니 말이다. 그리고 초자연적 힘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사회집단에서 명망을 얻었을 것이다. 우리가 오늘날 조현병의 특징으로 보는 정신병 증상은 원시사회에서는 저세상의 영이나 귀신과 접촉하는 것으로 해석됐을 것이고, 그런 증세를 보이는 사람에게 종종 사회적으로 특별한 샤먼이라는 지위를 부여했을 것이다.25

정신분열증을 경험하도록 하는유전자 변이는 원시인류가 수천 세대에 걸쳐 발달하는 과정에서 - 싯다르타 무케르지의 말을 빌리자면 - 유전적 향상을 의미했을 수도 있다. 반면 현대사회에서는 그것이 유전적 질환으로 여겨지는 것이다. - P117

조현병의 진화적 패러독스 관점에서 그런 정신증이 규칙적 또는 만성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원시사회 공동체에서 크게 유익했으리라는 것은 상상하기 힘들다. 정신증이 심하지 않거나 가벼운 환각 혹은 망상 증세가 샤먼 같은 특별한 사회적 역할을 할수 있도록 만들었다는 건 상상이 간다. 유전적 위험 프로파일 역시 이것 아니면 저것의 문제가 아니라 정도 차이의 문제로,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종의 생존과 재생산에 유익해 적응적이었을 수도 있다. - P121

 조현병에 대한 유전적 위험 프로파일을 지닌 사람이 특히 창조적일 수 있으며, 이것이 선택의 이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다. 창의성은 정의하기 어려운 특성이지만, 대부분은 새로운 방식으로 사고하고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능력을 창조적이라고 일컫는다. 대부분의 사람과 다르게 생각하고, 주류에서 벗어나고, 잘 닦아놓은 길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 창조성의 전제다. 남들과 다르게 특별한 것은 한편으로 파트너를 구하는 데 유리할 것이다. 32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특이한 생각을 하는 경향은 생각과 경험에서 우왕좌왕 길을 잃고 헤매고, 현실에 발붙이지 못하고, 정신증을 앓을 위험을 동반하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창의성이 조현병의 진화적 모순을 푸는 하나의 열쇠가될 수 있을까? 이런 근사한 명제를 검증하기 위해 우리는 재생산의 불이익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을 살펴야 한다. 따라서 중증 조현병을 앓다 보니 재생산율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아니라, 조현병은 없지만 정신증적 경험을 하는 사람들을 살펴야 하는 것이다. 별로 심하지 않은 수준의 조현병 증상에 대한 질문지를 통해 이런 사람들을 판별할 수 있다. 33 연구자들은 이런 연구를 통해 가볍게 정신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따라서 특별한 지각 경험, 심하지 않은 망상적 사고ㅡ 실제로 굉장히 창의적이라는 사실을 신뢰성 있게 입증할 수 있었다.34 그러므로 천재와 광기는 통한다는 옛말이 일리가 있다고 하겠다.
- P122


가벼운 정신증을 경험하는 사람들이 창의적일 뿐 아니라 재생산율도 더 높은가, 하는 질문이 남는다. 재생산율도 높아야 해당 유전자 변이에 대해 긍정적 선택이 일어난 것을 설명할 수 있을텐데 말이다. 영국의 행동생물학자 대니얼 네틀 Daniel Nettle은 이런 주제에 천착했다. 그는 몇 년 전 동료 헬렌 클레그 Helen Clegg와 함께 성인 수백 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정신증 경향, 창조성, 재생산 성공 간의 연관을 연구했다. 조사 대상자 중에는 작가, 예술가, 영화제작자를 비롯해 창조적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35 

설문 조사 결과, 신비한 생각이나 눈에 띄는 지각 같은 특별한 경험을 한다고 보고하는 사람중 창조적 직업군에 속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연구에서도 드러났듯 여기서도 정신증 경향과 창조성의 연관성이 확인된 것이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정적 발견은, 특이한 경험을 한다는 응답과 삶에서 한 사람이 맺는 파트너 관계의 수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 P12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슈아 그린의 멋진 질문!!

- 집단 내 개인 이익의 갈등을 도덕의 진화를 통해 해결했다.
- 집단간 도덕의 갈등은 우리가 겪는 새로운 문제다.


이어지는 단상들
- 예송논쟁도 하나의 사례 아닌가? 전통사회 내의 도덕갈등은 다른 문제인가?
- 문명간 도덕적 갈등은 제국주의적 침략 과정에서 숱하게 경험하지 않았나? 인류학의 문화적 상대주의가 반작용으로 확대되지 않았나?
- 국민국가, 민주주의 틀 내에서 경험하는 정치적 갈등에 한정되나?





우리 인간의 안녕을 위협하는 두 가지 도덕적 비극이 있다. 최초의 비극은 공유지(Commons)의 비극이다. 이것은 이기심의 비극, 즉 개인들이 ‘나‘보다 ‘우리‘를 앞세우지 못해서 생기는 비극이다. 그리고 도덕성은 이 문제에 대한 자연의 해결책이다. 

반면에 현대의 새로운 비극은 상식적 도덕(Common sense morality)의 비극, 다시 말해 새 목초지에서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문제이다. 이 경우에 도덕성은 한편으로 해결책의 일부임에 틀림없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문제의 일부이기도 하다. 현대적 비극의 특징은, 똑같은 도덕적 사고가 한 집단 안에서는 협력의 기초가 되지만 집단 사이에서는 협력을 방해한다는 점이다. - P49

도덕성은 경합하는 데 관심이 있는 개인들이 함께 살고 번영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반면에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와 비슷하면서도 한 수준 위에서 작동하는 도덕성이다. 다시 말해 ‘상반된 도덕‘을 지닌 집단들이 함께 살고 번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고이다. 

평범하고 일차적인 도덕은 서로 다른 이기적 관심을 지닌 사람들 사이의 불화를 해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리에게는 서로 다른 도덕적 이상을 지닌 집단들 사이의 불화를 해소할 수 있는 도덕 체계, 즉 고차 도덕이 필요하다. - P5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동물학적 인간론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문예춘추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벌거숭이 피부는 생존에 어떤 가치를 갖고 있었을까?
- 벌거벗은 이유에 대한 설명은 이게 전부다. 제1장 기원의 여덟번째 절.
- 이 책의 대부분은 과일 먹는 숲속 원숭이가 사냥하는 초원 원숭이로 변한 것에 집중되어 있다.
- 이 책의 제목은 ‘사냥하는 원숭이 The Hunting Ape‘이어야 했다. 하지만 현재의 제목 덕분에 많이 팔렸다.


가설 1
사냥하는 원숭이가 떠돌이 생활을 포기하고 일정한 기지에 정착했을 때, 굴이 피부 기생충으로 심하게 오염되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밤마다 똑같은 잠자리에서 잠을 자면, 갖가지 진드기와 벼룩, 빈대에게 놀랄 만큼 비옥한 서식지를 제공하여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졌을 것으로 여겨진다. 털투성이 피부를 벗어던지면 이 문제에 좀 더 잘 대처할 수 있었을 것이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pVHH92zF7tL872849

가설 2
사냥하는 원숭이는 식사 습관이 너무 지저분해서 털가죽이 식사에 방해가 되고 금방 더러워졌기 때문에, 역시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졌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이들은 한 예로, 머리와 목을 피투성이 시체 속에 집어넣고 내장을 파 먹는 독수리의 경우는 머리와 목의 깃털이 없어졌다는 사실을 지적한다. 그리고 사냥하는 원숭이에게서는 그런 변화가 온몸으로 확대되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xtBh2UCM3np4ZPL3A

가설 3
인간이 털가죽을 벗어던진 것은 불을 발견했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사냥하는 원숭이는 밤에만 추위를 느꼈을 테고, 일단 모닥불 주위에 둘러앉는 사치를 누리게 되자 털가죽이 없어도 충분히 견딜 수 있었기 때문에, 낮의 더위를 견디기에 더 좋은 벌거숭이 상태가 되었을 거라는 주장이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PgGrqMqbJhQasjQN6

가설 4

숲을 떠나 지상으로 내려온 최초의 원숭이는 사냥하는 원숭이가 되기 전에 오랫동안 물속에서 살았다는 것이다. 그는 먹이를 찾아 열대 해안으로 이동했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P7GA5DuLuH2QhCTQ7

이 과정에서 그는 바다로 돌아간 다른 포유류들처럼 털을 잃어버렸다. 그러나 수면 위로 불쑥 나와 있는 머리만은 직사광선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털가죽을 그대로 유지했다. 그 후 연장(원래는 조개껍데기를 깨기 위해 만든 연장)이 충분히 발달하자, 그는 해안의 요람에서 나와 새로운 사냥꾼으로서 널따란 들판으로 진출했을 것이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PERNJFZbVxFJPvNCA

가설 5
인간이 털을 잃어버린 것은 물리적 환경에 대한 반응이 아니라 사회적 추세였다는 주장이다. 다시 말하면, 벌거숭이 상태는 물리적인 장치가 아니라 하나의 신호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피부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는 것은 많은 영장류에서 찾아볼 수 있는 특징이고, 어떤 경우에는 그것이 일종의 인식표 역할을 하는 것처럼 보인다. 원숭이나 유인원은 다른 개체의 노출된 피부를 보고, 그 개체가 자기와 같은 종인지 아니면 다른 종에 속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FaP5KgYTxByLMDeL7

가설 6
인간이 털을 잃어버린 것을 성적인 신호의 연장으로 간주한다. 이 이론을 고집하는 사람들은 포유류의 경우 수컷이 대체로 암컷보다 털이 많다는 점을 내세워, 털 없는 원숭이의 암컷은 이러한 차이를 더욱 확대함으로써 수컷에 대하여 보다 많은 성적 매력을 가질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nT11JumWoks1mBXL7

가설 7
더위를 식히기 위해 털코트를 벗었다는 주장이다. 그늘진 숲에서 나오자, 사냥하는 원숭이는 일찍이 경험해본 적이 없는 뜨거운 기온에 노출되었다. 그는 몸이 과열되는 것을 막기 위해 털코트를 벗었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cD6n34srSc46UahD6


가설 8
사냥감을 추격하는 일은 매우 중요했기 때문에 아무리 힘들어도 견뎌낼 수밖에 없었지만, 그 과정에서 그의 체온은 상당히 올라갔을 것이다. 이런 과열상태를 줄여야 할 필요성은 절박했고, 아무리 사소한 개선이라도 바람직했을 것이다. 비록 그것이 다른 측면에서는 상당한 희생을 의미한다 해도, 그는 체온을 내리기 위한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었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2RSjPnB1Txkh8grA

두꺼운 털코트를 벗어던지고 몸의 표면에 뚫린 땀구멍의 수를 늘림으로써, 그는 체온을 상당히 식힐 수 있었다. 가만히 앉아서 과일을 따 먹는 생활을 위해서가 아니라 사냥감을 격렬히 추적하는 극한적인 순간을 위해, 그는 바깥 공기에 노출되어 팽팽히 긴장한 팔다리와 몸통을 증발하는 액체의 막으로 뒤덮었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epPPEpfbNmhAxS7d7

사냥이 그들의 새로운 생활방식에 가장 중요한 측면이었다는 점을 기억하면, 털이 줄어든 대신 땀구멍과 피하지방층이 늘어난 것은 부지런한 우리 조상들에게는 꼭 필요한 변화였던 것 같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MACaa29J4GM3kMKu6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동물학적 인간론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문예춘추사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털 없는 원숭이의 핵심 주제
- 인간으로의 진화는 유전적 변화를 수반한다. 문화적 변화만으로 가능한 일이 아니다
- 육식동물의 유전자와 함께 영장류의 유전자도 남아 있다. 인간은 잡종이다.
- 현재의 인간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 모든 것을 고려해야 한다. 그런데 이현령 비현령으로 끌어다대면 과학이 아니라 이데올로기가 될 수 있다. 이를 조심해야 한다.
- 문화의 영향을 과대평가해서는 안된다. 특히 이성의 역할 말이다. 이성의 역할을 과대평가하는 문화도 경계해야 한다.
- 무의식, 뇌의 편향, 예측가능한 비합리성, 감정 등에 대한 심리학, 진화생물학, 뇌과학의 연구 성과는 이성, 의식, 계몽을 강조한 한 시대의 이데올로기를 허물고 있다.
- 동물행동학의 시각에서 일찌감치 이런 문제 의식을 대중과학서를 통해 흥마롭게 풀어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선구적이고 대단하다.




사냥하는 원숭이는 이런 방식으로 육식동물의 역할을 받아들였고, 그에 따라 영장류로서의 생활방식을 바꾸었다. 이런 변화는 단순한 문화적 변화라기보다는 근본적인 생물학적 변화였을 것이다. 그리고 새로운 종은 이런 식으로 유전학적 변화를 일으켰다고 생각된다. 여러분은 이것이 터무니없는 가설이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문화적 가르침의 힘은 워낙 막강하기 때문에, 그런 개조작업은 훈련과 새로운 전통의 발전을 통하여 쉽게 이루어질 수 있었을 거라고 여러분은 생각할 것이다.
그러나 나는 그렇게 생각지 않는다. 오늘날 우리 인간의 행동만 보아도 그렇지 않다는 것을 금방 알 수 있다. 문화 발전은 우리에게 과학기술의 대단한 진보를 가져다주었지만, 이것이 우리의 기본적인 생물학적 자질과 충돌할 경우에는 항상 강력한 반발이 일어나곤 했다. 우리가 사냥하는 원숭이였던 시절에 이미 내버린 근본적인 행동양식들은 우리 인간이 하는 모든 일에 아직도 뚜렷이 남아 있어, 아무리 고상한 일이라 해도, 잘 살펴보면 그 밑바닥에는 영장류의 행동양식이 깔려 있다. - <털없는 원숭이 (50주년 기념판) >, 데즈먼드 모리스 지음, 김석희 옮김 - 밀리의 서재
https://millie.page.link/gTr5FyP2V9rX8jju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