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들 종족의 탄생 2 : 떠오르는 썬더 전사들 5부 종족의 탄생 2
에린 헌터 외 지음, 서현정 옮김 / 가람어린이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린 헌터(Erin Hunter)’의 ‘전사들 5부 종족의 탄생 2: 떠오르는 썬더(Warriors: Dawn of the Clans #2 Thunder Rising)’는 시리즈 5부 두번째 책이다.




4부에서 그동안 이어왔던 파이어스타가 연대기가 대단원의 막을 내리고, 5부에서 과거로 돌아가 새로운 이야기를 시작했을 때 솔직히 우려스러움이 더 많았다. 아무리 역사는 반복된다고는 하지만 이전에도 봤던 이야기가 반복되는가 하면 심지어는 직전의 이야기가 번복되는 듯한 모습까지 보였으며, 거기에 과거를(새로운 이야기를) 다루는 것이다 보니 독자를 계속 붙잡아줄 만큼 애정이 어린 캐릭터까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당연히 우려스러웠던 점이 아쉬움으로 남기는 했지만, 시리즈의 기본적인 재미 자체는 꽤나 잘 끌어내고 있다는 생각 역시 든다. 새로운 이야기의 첫 시작이었던 4부 1권과는 달리 2권에서는 등장 고양이들이 좀 더 익숙해진 것도 있고 잘 보면 미래인 이전 시리즈의 이야기로 연결될 지점들도 조금씩 발견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것이 이 새로운 고양이들에게 새롭게 애정을 갖게 해준다.

이야기가 점점 반복적이게 되는 것 같다고는 했지만 새로운 고양이들이 갈수록 좀 더 달라지는 이야기를 보여주기 때문에, 처음 시리즈를 볼 때만큼의 재미까지는 아니지만, 그래도 보다 보면 그런 불만족스러움도 꽤 희석되긴 한다.

새로운 곳에서 여러 문제를 겪으며 갈라지기도 하고 자리를 잡기도 하는 이야기도 꽤나 볼만하다. 갈등이 불거지는가 하면 해소되기도 하고, 그런가 하면 또 다른 분쟁의 씨앗 같은 게 생겨나기도 하면서 다음에 이어질 이야기에 대해 기대도 하게 한다.

이런 이유 중 하나는 역시 5부의 주인공이라 할만한 핵심 고양이가 확실해졌기 때문이 아닌가 싶다. 1~4부에 파이어스타라는 핵심 고양이가 있었던 것처럼 주인공이라는 존재가 이야기에 몰입하고 좀 더 공감하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늑대인간 마피아 게임 2 - 최후의 기사는 누구? 늑대인간 마피아 게임 2
아마유키 고오리 지음, 히메스즈 그림, 고향옥 옮김 / 가람어린이 / 202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유키 고오리(甘雪こおり)’의 ‘늑대인간 마피아 게임 2: 최후의 기사는 누구?(狼サバイバル: 極限投票! 騎士 vs. 人狼ゲーム)’는 마피아 게임을 소재로 한 서바이벌 게임을 그린 시리즈 두번째 소설이다.

1권을 읽고나서 후속 시리즈가 계속해서 있다는 걸 알았을 때 과연 또 어떤 게임과 이야기를 보여줄지 궁금하고 기대도 되는 한편 얼마나 새로운 이야기를 보여줄 수 있을까 우려스럽기도 했는데, 왜냐하면 이 시리즈는 마피아 게임이라는 단일 게임 형태만을 소재로 하고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다른 데스 게임(또는 서바이벌 게임)류의 이야기들이 계속 똑같은 경쟁구도만을 반복하는데도 흥미를 끌 수 있는 이유 중 가장 큰것 중 하나는 바로 매번 경쟁을 치르는 방법 즉 게임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시리즈는 그렇지 않기 때문에 자칫 반복적으로 느껴지지 않을까 했던거다.

그러나, 괜한 우려이지 않았나 싶다. 생각보면 소재가 된 보드게임도 계속 같은 룰로 반복하는 것인데도 할때마다 상황이 달라지고 그게 다른 재미를 자아냈으니 어찌보면 당연해 보이기도 한다.

물론, 그럴 수 있도록 새로운 인물을 등장시키도 했고, 마피아 게임이라는 큰틀을 그대로이지만 장소와 세부 규칙 등은 달리하는 등 변화를 주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개별적인 이야기이면서 1권에서 이어지는 이야기라는 점을 이용하기도 하고, 그렇게 이어지는 전체 시리즈에 대한 미묘한 복선같은 걸 깔기도 해서 다음 시리즈에 대한 기대도 가질 수 있게 만들었다.

아쉬운 것은 너무 게임 외적인 방식의 해법을 사용한다는 거다. 룰치킨(Rules lawyer)적인 요소는 때론 그 자체로 보는 맛이 있기도 하지만, 이 시리즈는 애초에 그런 식으로 데스 게임 자체를 깽판치데서 쾌감을 주는 그런 부류도 아니었고, 이미 1권에서도 사용했던 것이라 게임 해소를 너무 쉽게 하려고 한 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을 느꼈다.

작품 외적으로 부제를 '최후의 기사는 누구?'라고 다소 쌩뚱맞게 붙인 것도 아쉬운 점 중 하나. (원제와도 다르고 내용과도 안맞다.)

3권에선 과연 어던 규칙과 해법을 제시할지 궁금하다.



*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면 수집가 : 상 잠뜰TV 본격 오리지널 스토리북
루체 그림, 김수경 글, 잠뜰TV 원작 / 서울문화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면 수집가 (상)’은 동명의 컨텐츠를 기반으로 한 잠뜰TV 본격 오리지널 스토리북의 하나다.





잠뜰TV의 오리지널 컨텐츠는 비록 배경설정과 기본 시나리오라는 게 있다고는 하지만 기본적으로 게임을 기반으로 한 것이었다보니 애초부터 게임적인 상상과 아이디어가 많이 들어가있고, 심지어 그 중에는 게임이 아니라면 똑같이 풀어내기 어려운 요소들도 꽤 있었다.

그래서 일반적인 이야기로 바꾸려면 여러부분을 리워크 해야 하는데, 그냥 원작에 충실한 쪽으로만 소설화를 하다보니 잠뜰TV 컨텐츠 원작의 소설들은 아무래도 뭔가 소설적으로는 이상하고 뜬금없거나 어색한 지점들이 있었다.

그게 주요인물들의 관계와 활동보다는 좀 더 이야기가 중심인 오리지널 스토리북 시리즈로 와서는 좀 덜해졌고, 그 최신작인 이번 시리즈에서는 더 덜해진 것 같다.

배경 설정과 캐릭터를 주고 게임적인 요소를 풀어내며 이야기를 진행해나간다는 큰 틀은 기존과 별 차이가 없다고도 할 수 있는데, 그런데도 이런 차이를 느끼는 것은 애초에 이 컨텐츠가 짧은 사건 속 이야기를 들려주는 옴니버스식 구성으로 만들어지 거였어서다.

하나의 긴 이야기일 때는 소설적이지 않은 점들이 계속해서 쌓여 점차 뻐근해짐을 느끼게 만들었지만, 옴니버스는 작은 이야기기들의 모음이라는 특성상 에피소드가 바뀌면서 새로운 장소와 상황이 주어지는 것도 자연스럽고, 그렇게 상태가 환기가 되면서 이전의 것들 털어주는 효과도 낸다.

그래서, 여전히 소설로서는 좀 아쉼다고 느껴지는 점들이 있는데도, 잠뜰TV 컨텐츠 원작 소설 중에서는 비교적 완성도가 높다고 느끼게 한다.

‘가면 수집가’라는 제목처럼 매 에피소드마다 새로운 가면을 조각해내기에 또 어떤 신기한 가면이 등장할지도 흥미롭고, 그것을 활용해 사건을 풀어내는 것도 꽤 나쁘지 않다.

소설화를 하면서 시각적인 요소를 잃어버린 것이 아쉬울 때도 있지만 그래도 재미있게 볼만한 시리즈물인 듯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싹한 저택과 마법의 향기 1 - 수상한 향기 약국 오싹한 저택과 마법의 향기 1
안나 루에 지음, 클라우디아 칼스 그림, 전은경 옮김 / 아울북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나 루에(Anna Ruhe)’가 쓰고 ‘클라우디아 칼스(Claudia Carls)’가 삽화를 더한 ‘오싹한 저택과 마법의 향기 1: 수상한 향기 약국(Die Duftapotheke 1: Ein Geheimnis liegt in der Luft)’는 향수를 소재로 한 판타지 소설이다.




사람들은 예전부터 특별한 물건에는 신비한 힘이 깃들 수 있다는 상상을 해왔다. 그것은 보석처럼 그 자체로 희소한 소재일 수도 있고, 탈리스만처럼 누군가가 특정한 의도를 갖고 만들어낸 물건일 수도, 심지어 특별하게 배열된 문자 조합처럼 무형의 것인 경우도 있다.

그것들 중에는 종종 특별한 사용법이나 자격을 요구하기도 하나 대부분은 그 자체로 힘을 가진 것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더 많다. 인류가 역사를 통해 만들어냈던 많은 실제 물건들이 그랬던 것처럼, 대부분의 것들은 그 자체에는 특정한 선이나 악같은 것이 담겨있지 않고 다만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달려있다는 공통된 공감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 시리즈가 주요 소재로 채택한 향기라는 것도 그런 전통적인 판타지 작법을 꽤나 잘 따른 것이라 할 수 있다. 뜻밖의 우연으로 만나게 되는 소위 기연이나, 낯선 집에서 벌어지는 모험같은 것도 고전적인 모험 소설의 그것을 많이 연상케 한다.

이것들은 어떻게보면 한국 사람에게는 좀 낯설 수 있다. 제 아무리 아이들의 시점이라고 하더라도 모험을 할만큼 커다란 자가 주택에서 산다는 것 자체가 드물기도 하거니와, 어려서부터 각팍한 현실에 치이다보니 애초에 모험이라는 것 자체가 거의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이 소설은 어렸을 때 산을 오르고 마을을 뛰어다니며 놀았던 경험이 있는, 그래도 좀 나이있는 사람들에게 더 향수를 자극하는 그런 점이 있다. 그래서, 그런게 없는 아이들에겐 반쪽짜리 일 것 같다는 괜한 아쉬움도 느낀다.

대신 좀처럼 누리기 어려운 모험과 그를 통해 피어나는 친구와의 우정, 전혀 다른 새로운 세계를 접한다는 판타지를 통해 흥미로운 모험을 상상해 볼 수는 있기에 이야기로서의 재미는 느끼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멋진 신세계
올더스 헉슬리 지음, 프레드 포드햄 그림, 문형진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프레드 포드햄(Fred Fordham)’의 ‘멋진 신세계: 그래픽 노블(Brave New World: A Graphic Novel)’은 ‘올더스 헉슬리(Aldous Huxley)’가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만화다.

좋다.

이 작품을 만화로 볼 수 있다는 것도 좋고, 어떤 식으로 봐도 걸작이라는 생각이 드는 작품이라는 점도 좋다.

작가는 원작을 꽤 빠른 호흡으로 잘 축약해 담아냈다. 만화라 그림과 대사로만 표현을 하다보니 제대로 표현되지 않은 (잘 느끼기 어려운) 세세한 것들이 눈에 띄기도 하고, 일부 원작과는 다른 느낌으로 각색한 부분도 있으며며, 당연히 그림으로 그려진 미래사회의 모습이 생각했던 것과 다르게 느껴질 사람도 있겠지만, 그런 사람도 인정할만큼 소설속 모습을 꽤나 잘 그려냈으며 이야기와 원작이 다루던 철학적인 문제같은 것들도 잘 전달하기에 전체적인 완성도는 꽤 좋은 편이다.

대게의 그래픽 노블이 그런 것처럼 이 책도 보통 ‘만화’라고 하면 생각하는 것과는 다른 특징들이 있고, 축약했기 때문에 생기는 서사의 부족 같은 것 때문에 종종 아쉽게 느껴지기도 한다만, 감각적으로 그려낸 장면도 좋고, 철학적인 논쟁을 벌이는 어찌보면 지루하게 느껴질 수 있는 긴 대사만 오고가는 부분을 소위 대갈치기만 하는 식으로 대충 편하게 처리하지 않고 카메라가 돌아가듯이 조금씩 다르게 보여주는 등 연출도 꽤 잘 한 편이다.

소설을 본 사람들을 위한 추가적인 볼 거리가 아니라, 이 책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전체 내용을 따라갈 수 있을만큼 완결성이 있게 만든 것도 맘에 든다.

원작을 본 사람에게든 보지 않은 사람에게든 추천할만하다.



* 이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받고 작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