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말



시인은 평생 환자입니다.

내게 있어서는 결백증과 결벽증이 한 가지로 되어 있어 참으로그 치유를 기대하기란 어렵겠습니다.

일류 살청殺靑 기술자가 되고 싶었습니다.

몽상가로도 고급 스타일은 아닙니다.

세상의 일들은 즐거운 숨바꼭질입니다. 저를 둘러싼 모든 것들을 영원한 술래로 만들어보려구요.

왜 무의미일수록 내 심장은 붉고 크고 게걸스러워지는 것일까요.

무위無爲와 실컷 놀다 갔으면 합니다.

2008년 여름 장마
신현정

바보사막


오늘 사막이라는 머나먼 여행길에 오르는 것이니

출발하기에 앞서

사막은 가도가도 사막이라는 것

해 별 낙타 이런 순서로 줄지어 가되

이 행렬이 조금의 흐트러짐이 있어도

또 자리가 뒤바뀌어도 안 된다는 것

아 그리고 그러고는 난생처음 낙타를 타본다는 것

허리엔 가죽 수통을 찬다는 것

달무리 같은 크고 둥근 터번을 쓰고 간다는 것

그리고 사막 한가운데에 이르러서

단검을 높이 쳐들어 - P12

낙타를 죽이고는

굳기름을 꺼내 먹는다는 것이다

오, 모래 위의 향연이여. - P13

와불臥佛


나 운주사에 가서 외불臥佛에게로 가서

벌떡 일어나시라고 할 거야

한세상 내놓으시라고 할 거야

와불이 누우면서 발을 길게 뻗으면서

저만큼 밀쳐낸 한세상 내놓으시라고 할 거야

산 내놓으시라고 할 거야

아마도 잠버릇 사납게 무심코 내찼을지도 
모를

산 두어 개 내놓으시라고 할 거야

그만큼 누워 있으면 이무기라도 되었을 텐데

이무기 내놓으시라

이무기 내놓으시라 - P20

이무기 내놓으시라고 할 거야

정말 안 일어나실 거냐고

천년 내놓으시라

천년 내놓으시라고 할 거야. - P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잔뜩 긴장하고서 mbc앵커의 목소리를 듣고 있다. 5분 남았다. 이제~!
환자들 돌아올 시간은 10분 남았다.

나팔꽃들의 행진行進


이른 아침, 마당 수도가에 나와 양치 및 세수하다

나팔꽃 핀 것 보면서 아ㅡ 아ㅡ 아ㅡ 아 입안에서 물을 우물거리다

문득 나팔꽃을 따라 높다랗게 오르고 
싶어지다

나팔을 불면서 오르고 싶어지다

이대로 줄 타는 광대이면 어떨까 싶어지다

신명이 좀 나면 어때서, 아뿔싸 발을 헛딛는 척도 해볼까나

나팔을 일부러 놓아버릴까나

나팔을 아래로 아래로 까마득히 떨어뜨려보고 싶어지다

나팔을 불며 춤추듯 나팔을 불며 높다랗게 오르며

나팔을 떨어뜨리며 - P60

개인 날


하늘이 개였다, 흐렸다,

아하, 개이기는 개이려나 보다

비 온 뒤 조금 흐린 날

어디서 지렁이 나와 기고 있는

땅 한 줄 향기롭다. - P72

매미울음


한시적이라는 것

얼마나 지독한 사랑의 맹세인지는 몰라도

매미가 운다

녹음을 찢듯이 운다

금강석을 찢듯이 운다

구름은 부풀고

등짝을 찢듯이 운다

수천 마리로 운다. - P74

외면外面


연잎 위에 개구리 가부좌를 하고 있다

연잎 위에 올라앉은 개구리

어쩌면 저렇게 꼼짝 않고 있는 개구리 그게 그러니까

금방이라도 바람 불어 연잎 날리고

급기야는 개구리 첨벙하고 못 속으로 뛰어들 것 같아서

아 못이 한순간에 뒤집어질 것 같아서

가부좌란 저런 동작이 세상 것 아닌 것 같아서

나는 얼른 연잎 위에 개구리 애써 외면하며

하늘 본다 흰구름아 어디 가느냐. - P77

산수山水


산 첩첩

기암괴석 첩첩

물 첩첩 떨어지는 어디 그런 곳 있다

저 까마득한 폭포를 타고 오르는 물고기 바라보며

폭포 아래를 지나가면서

나, 오줌 눈다

힘주고 힘주고 오줌발에 무지개 서리도록 힘주고

오줌발에 물고기 올라타도록 힘주고 힘주고

나, 오줌 눈다

저 폭포를 타고 오르는 물고기 아찔하게 올려다보며

나, 오줌 다 눗고 몸을 부르르 떨어보는 것이다. - P7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 라 라 라


오늘이 모자라면 모자처럼 날아가고

모자처럼 하모니카 불고

모자처럼 새 되어

모자처럼 옆으로 돌려 쓰고

모자처럼 구름 위에 올려놓고

모자처럼 뒤집어서

새도 꺼내고

토끼도 꺼내고

사과도 꺼내고

오늘이 모자라면 라 라 라 라

모자처럼 공중에 높이 던졌다 받으며

라 라 라 라 - P40

희망


앞이 있고 그 앞에 또 앞이라 하는 것 앞에 또 앞이 있다

어느날 길을 가는 달팽이가 느닷없이 제 등에 진 집을

큰 소리나게 벼락치듯 벼락같이 내려놓고 갈 것이라는데에

일말의 기대감을 가져보는 것이다

그래 우리가 말하는 앞이라 하는 것에는 분명 무엇이 있긴 있을 것이다

달팽이가 전속력으로 길을 가는 것을 보면. - P43

소금쟁이


수련 핀 연못가에 고요히 앉아 본다

난 처음에 검불이 이리저리 불려다니는 줄 알았다

소금쟁이들이다

소금쟁이들이 이따금 물방울 듣는 파문波紋 위를

긴 다리로 왔다갔다 하면서

건너 뛰기도 하면서

파문을 놀고 있다

그걸 보자니

아다리 한쪽 빠지지 않고 살아온 내 지난至難한 삶이

감사하기만 했다. - P47

세한도歲寒圖


눈 펄펄 날리는 오늘은 내 나귀를 구해

그걸 타고 그 집에 들르리라

그집 가게 되면

일필휘지一筆揮之, 뻗치고 휘어지고 창창히 뻗은 소나무아래

지붕 낮게 해서 엎드린 그 집 주위를

한열 번은 더 돌게 되리라

우선 당호堂戶에 들기 전 헛기침을 해보고

그리고는 내 타고 간 나귀를 살그머니 소나무 기둥에

비끌어 매놓고는

그리고는 냅다 눈발 속으로 줄행랑을 치리라 하는 것이다. - P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현정申鉉正서울에서 태어났으며 1974년 『월간문학』으로 등단했다.
시집으로는 「대립對立」(1983), 「염소와 풀밭』(2003)이 있고, ‘서라벌문학상‘ (2003), ‘한국시문학상‘ (2004)을 수상했다. 20여 년 동안 시쓰기를 중단했다가 최근 다시 왕성한 시작활동을 하고 있다.
서라벌고등학교 등에서 국어선생을 지냈으며 한동안 카피라이터 일을 하다가 현재 광고 및 편집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 시인의 말


시가 무엇입니까.
초월, 우주적 자아, 아닐 것입니다.
눈물, 삶의 더러운 때, 아닐 것입니다.
위로, 화해, 더구나 아닐 것입니다.
희망, 절망 아닐 것입니다.
죽음 관념, 아닐 것입니다.
자유, 피의 전율, 그도 아닐 것입니다.
그럼에도 나는 당신을 이 지상에 초대합니다.
당신이 행복에 겨워하는 모습을 반드시 보고야 말겠습니다.

세 번째 시집을 내며
신현정

신현정의 시는 극소지향적이다. 그의 시선은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것들에 밀착돼 있다. 오리, 물고기, 염소, 복숭아, 참새, 소금쟁이, 풍뎅이, 달팽이집, 강아지풀, 애늙은이, 이슬 한 개, 그리고 하느님. 그는 이런 미시적인 사물에 대해 情意的인 거리를 유지하고 바라보지만 자신이 들어가 밀착될 수 있는 틈새를 찾아낸다. 그 틈새에서 그가 발견하게 되는 마음은 아름답다. 대상과 자신과의 거리를 소거하며 포개어지려는 이 밀착에의 욕구는 시를 극소화하는 질서를 낳는다. 극소화된 시의 질서와 공간은 아름답다. 그 아름다움은 허무의 굽은 물결을 저어가기에는 너무나 선한 인성을 지닌 오리떼를 따라가는 마음 속에도 있고 모처럼 소풍을 나와 급행을 보내버리고 천천히 완행을 타려는 마음에도있다. 신현정의 시가 보여주는 시적 공간은 극소화한 일상의 소품적 질서로 이루어져 있다. 그 속에 사회적 자아가 껴들어 있을 틈도 없다. 이것은 엄청난 고통이며 극기의 정신을 필요로 하고 있다. 우리는 이 결백주의자의 ‘강아지풀에 대한 명상‘에서 시인 스스로가 삭제하고 삭제해버린 사회적 자아를 애써찾을 필요가 없다. 시인 자신이 시를 꿈꾸는 걸인이요, 하느님 앞에서 생각을구걸하는 걸인으로 시적 자아가 변형되어 있기 때문이다.
조정권(시인)

이름을 가려놓고도 누구의 시인지 알 수 있다면, 그런 시를 쓴 시인을 일컬어 흔히 一家를 이룬 시인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신현정은 누가 뭐라고 해도 일가를 이룬 시인이다. 시에 조금만 관심을 지닌 사람이면 신현정의 시는 신현정의 시인지 알 수가 있으니 말이다. 예술가란 자기만의 스타일을 만들어 나가는사람이다. 오래 전부터 자신의 시적 스타일을 만들어나간 신현정, 그렇다면 신현정은 참으로 이 시대 몇 안 되는 예술가이며, 예술가의 길을 가는 시인이다. 왜 그런가? 신현정의 시가 다만 외적인 스타일만 유니크한 것이 아니라, 시예술로서의 언어의 싸움까지, 그러므로 시적 이미지까지 유니크하기 때문이다.
尹錫山(시인)

경계


나, 해태상의 머리 위로 뛰어올라

나는 모든 것의 경계에 섰노라 하고

외쳐보려고 한다

해태의 눈을 하고

이빨을 꽝꽝꽝 내보이며

뿔을 나부끼며

경계가 여기 있노라

연신 절을 하려고 한다

어서 오십시오

안녕히 가십시오. - P13

오리 한 줄


저수지 보러 간다

오리들이 줄을 지어 간다

저 줄에 말단이라도 좋은 것이다

꽁무니에 바짝 붙어 가고 싶은 것이다

한줄이 된다

누군가 망가뜨릴 수 없는 한 줄이 된다

싱그러운 한 줄이 된다

그저 뒤따라 가면 된다

뒤뚱뒤뚱하면서

엉덩이를 흔들면서

급기야는 꽥꽥대고 싶은 것이다

오리 한줄 일제히 꽥 꽥 꽥. - P16

자전거 도둑


봄밤이 무르익다

누군가의 자전거가 세워져 있다.

자전거를 슬쩍 타보고 싶은 거다

복사꽃과 달빛을 누비며 달리고 싶은 거다

자전거에 냉큼 올라가서는 핸들을 모으고

엉덩이를 높이 쳐들고

은빛 페달을 신나게 밟아보는 거다

꽃나무를 사이사이 빠지며

달 모퉁이에서 핸들을 냅다 꺾기도 하면서

그리고 불현듯 급정거도 해보는 거다 - P18

공회전하다

자전거에 올라탄 채 공회전하다

뒷바퀴에 복사꽃 하르르 날리며

달빛 자르르 깔려들며

자르르 하르르. - P19

낮달


와, 공짜달이다

어젯밤에 봤는데 오늘 또 본다

나는 얼마나 운이 좋은 놈이면

오늘 공짜달을 다 보는가 말이다. - P25

기러기 울음


난 그렇게 듣는다

기러기들이 감나무 위를 날아가니까

기럭기럭 우는구나 하고 듣고

억새밭 위를 날아가니까 억새억새 우는구나 하고 듣고

또 달을 지나가니까 달빛달빛 우는구나 하고 듣는다

오늘 기러기들은 임진강에 떠 있는 임진각 위를 지나

북녘 하늘을 날아가니까 북녘북녘 우는구나

하고 나는 듣는다. - P26

일진日辰


오늘따라 나팔꽃이 줄지어 핀 마당 수돗가에

수건을 걸치고 나와

이 닦고 목 안 저 속까지 양치질을 하고서

늘 하던 대로 물 한 대야 받아놓고

세수를 했던 것인데

그만 모가지를 올려 씻다가 하늘 저 켠까지 보고 말았다

이때 담장을 튕겨져나온 보라빛 나팔꽃 한 개가

내 눈을 가렸기 망정이지

하늘 저 켠을 공연스레 다 볼 뻔하였다. - P2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생 이야기에서 가장 흔한 은유 중 하나는 아웃소싱(위탁)이다. 흰개미는 소화를 위한 작업을 곰팡이에게 위탁했다고말하거나, 곰팡이는 식량을 모으고 살기 편한 장소를 마련하는 것을 흰개미에게 위탁해 해결한다고 말할 수 있을지 모른다. 생물학적 과정을 현대 비즈니스 방식에 비유하는 것에는 사실상 너무 많은 오류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이것에 한 가지 통찰이 존재할지도모르겠다. 자본주의적 공급사슬에서 이러한 방식의 사슬은 확장될 수 없다. 자본주의적 공급사슬의 구성 요소는 회사든 생물종이든 간에 자기복제를 하는 교환 가능한 사물로 축소될 수 없다. 대신에 그 사슬을 유지하는 마주침의 역사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있다. 경제에서와 마찬가지로, 수학적 모델링보다는 자연사의 서술이 첫 번째 필수 단계다. 급진적인 호기심이 손짓한다. 아마도 관찰과 서술에 가치를 두는, 몇 개 남지 않은 과학적 학문 중 한 분야에서 훈련받은 인류학자가 한 역할을 맡을 수 있을 것 같다. - P265

풍경은 인간 너머의 드라마가 이루어지는 장소로, 인간의 자만심을 해체하는 급진적인 도구다. 풍경은 역사적 행위의 배경이 아니다. 그것은 그 자체로 활동적이다. 풍경이 형성되는 것을 지켜보면 세계 형성에서 인간이 살아 있는 다른 존재에 합류한다는 사실을 보게 된다. 송이버섯과 소나무는 숲에서 그저 성장하는 것이 아니다. 이 둘은 숲을 만든다. 송이버섯 숲은 풍경을 만들고 변형하는모임 gatherings 이다. 이 책의 3부는 교란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나는 교란을 시작점, 즉 행동을 위한 첫 단추로 삼는다. 교란은 변형적인 마주침을 위한 가능성을 재배치한다. 풍경의 패치들은 교란에서 등장한다. 그리하여 불안정성 precarity은 인간을 넘어서는 사회성에서 일어난다. - P271

그러나 나는 비교를 넘어서서 인간, 송이버섯, 소나무가 숲을창조하는 역사를 찾고 있다. 나는 구분해 범주화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아직 다루어지지 않은 연구 문제를 제기하기 위해 그 국면들을 연구한다. 나는 서로 다른 겉모습을 가진 똑같은 숲을 찾는다. 각각의 숲은 상대방의 그림자를 통해 모습을 보인다. 그렇게 하는 동시에 단일하고도 다면적인 형성을 탐구하면서 앞으로 펼쳐질네 개의 장에서는 소나무를 살펴볼 것이다. 각각의 장은 교란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삶의 방식이 어떻게 조율되며 펼쳐지는지 설명한다. 삶의 방식이 하나로 모이면서 패치에 기반한 배치가 형성된다. 내가 보여주는 배치는 거주 적합성, 즉 인간이 교란한 지구에서 일반적인 삶을 사는 것이 가능한지를 고려하기 위한 장면이다.
불안정한 생활은 항상 모험이다. - P29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