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비린내와 포연(砲煙) 속에서;

4편 Death Runs Riot (1856–1868), 1시간 24분


  다큐 'The West'의 특징은 미시사(微視史)적인 관점을 취했다는 점이다. 지난 3편에서 골드 러시에 동참한 농부 윌리엄 스웨인의 편지글을 주요한 얼개로 삼은 것에서도 드러난다. 4편에서는 1850년대에 캔자스에 살았던 찰스 러브조이(Charles Lovejoy)목사의 부인 줄리아의 편지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노예제를 둘러싼 미국 내의 극심한 갈등은 마침내 내전으로 이어진다. 러브조이 부인은 지인들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그 시기의 혼란과 고통을 증언한다. 개인의 서간, 일기와 같은 사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조망하는 역사적 사건들은 관객들에게 생생한 목소리로 되살아난다.

  '노예제'는 미국의 오랜 근심거리였다. 우리는 미국이란 나라의 근원이 '종교'에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미국에는 당시에 4백만 명에 이르는 이들이 노예를 소유하고 있었다. 어떻게 기독교가 국가적 이념이나 다름없는 이 나라에서 노예제가 존립할 수 있었을까?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거기에 반대하는 이들이 생겨났다. 노예 폐지론자(abolitionist)들이었다. 찰스 러브조이 목사도 그런 신념을 가진 사람들 가운데 한 명이었다. 1855년, 러브조이 목사는 가족과 함께 캔자스로 이주한다. 그가 원한 것은 금이나 땅, 모험이 아니었다. 단 한 가지, 노예제를 폐지하고 그 땅에 자유를 가져오는 것이었다. 그가 선택한 캔자스는 노예제의 격전지였다. 1854년에서 1859년에 이르는 시기에 찬성론자와 폐지론자들이 맞붙어 싸움을 벌였다. 당시 미국인들은 그것을 'Bleeding Kansas'로 불렀다. 많은 이들이 죽거나 다쳤다.

  왜 캔자스는 노예제 폐지를 둘러싼 논쟁의 진앙지가 되었을까? 북부는 이제 노예제를 더이상 지지하지 않았으나, 남부의 입장은 달랐다. 남부인들에게 노예는 중요한 재산이었다. 그 재산을 강제로 빼앗긴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었다. 의회는 찬반 양론으로 팽팽하게 나뉘었다. 새로운 준주 캔자스와 네브래스카는 아직 입장을 정하지 않았다. 그곳 주민들의 뜻에 따라 자유주(노예 폐지주) 합류를 결정하는 것으로 의회 합의가 이루어졌다. 그렇게 캔자스에서는 찬성론자와 폐지론자들의 세불리기 싸움이 시작되었다.

  선거 부정에 이어 캔자스에는 두 개의 정부가 양립했다. 인접한 노예제 찬성주 미주리주의 'Border Luffian'이라고 불리는 싸움꾼들이 캔자스로 몰려와서 난동을 피웠다. 방화, 약탈, 살인이 난무했다. 1856년에 양측이 맞붙은 싸움은 전쟁과 같았다. 무려 200명에 달하는 사람이 죽었다. 폐지론자의 선봉은 '존 브라운(John Brown)'이었다. 그는 극렬한 무력 투쟁으로 맞섰다. 1859년, 노예 반란을 일으킨 브라운의 처형과 함께 이 피의 전투는 끝난다. 캔자스는 자유주가 되는 것을 선택했다. 캔자스에서 일어난 일들은 남북 전쟁의 예고편과도 같았다. 결전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었다.

  한편, 몰몬교도의 집산지 유타의 솔트 레이크 시티에서는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었다. 일부다처제(Polygamy) 교리가 문제였다. 브리검 영은 무려 27명의 아내를 두었다. 의회에서는 몰몬교의 그런 교리를 맹비난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몰몬교도들은 교리를 포기할 생각이 없었다. 1857년, 마침내 뷰캐넌 대통령이 반란을 진압한다는 명분으로 유타주에 2500명의 연방군을 파병한다. 솔트 레이크 시티는 충격과 두려움에 휩싸였다. 그런 가운데 벌어진 일이 '메도우산 대학살(Mountain Meadows massacre)'이었다. 서부로 향하는 이주민 무리를 습격해 잔혹하게 죽인 이들은 몰몬교도들이었다. 120명의 여행자들이 아무 이유없이 죽임을 당했다. 몰몬교도들은 자신들이 아니라 인디언의 소행이라고 발뺌을 했으나 사실이 아니었다. 그들의 수장 브리검 영이 공격을 지시했다.

  왜 몰몬교도들은 그런 학살극을 벌였을까? 아직도 그 이유는 분명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연방군의 진입과 관련한 몰몬교 내부의 극심한 긴장과 불안은 그렇게 예기치 않은 파국을 만들었다. 이른바 '몰몬 전쟁(Mormon War)'이라고 불리는 이 일련의 상황은 1859년, 유타주가 정식주로 승격되고 몰몬교도들에 대한 대통령의 사면으로 봉합된다. 그러나 일부다처제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있었다.

  1860년, 공화당의 링컨이 대통령에 당선된다. 그의 노예제 폐지 공약에 반발해 이듬해 남부가 연방을 탈퇴한다. 그리고 내전, 미국인들이 'Civil War'라고 부르는 전쟁이 시작되었다. 캔자스에서는 이제 진짜 전쟁이 벌어진다. 러브조이 부인이 편지에 쓴 캔자스와 미주리의 싸움은 지독한 살상극이었다.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는 짐 레인의 근거지에 미주리의 게릴라 콴트릴(William Quantrill)은 무지막지한 복수를 선사한다. 183명이 사망했고 185채의 집이 불탔다. 남은 것은 80명의 과부와 250명의 고아였다.

   남북 전쟁의 불길 속에서 인디언들 또한 고통을 받았다. 감리교 목사 출신의 쉬빙턴(John Chivington)은 '미친 설교자(Crazy Preacher)'로 불렸다. 그는 목사일에는 흥미가 없었다. 군대에서 자신의 길을 찾은 그는 정치적 야심에 불탔다. 북부군에 들어가서 전공을 쌓는 데에 몰두한 그에게 인디언들은 출세를 위한 제물로 보였다. 그에 의해 이루어진 '샌드 크리크 대학살(Sand Creek Massacre, 1864)'은 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무참한 살육극이었다.


  미 정부와 평화 조약을 맺길 원했던 남부 샤이엔 부족들은 배신당했다. 쉬빙턴의 군대는 여자와 아이, 임산부까지 잔혹하게 죽였다. 난자당한 시신은 군인들의 자랑거리로 능욕을 당했다. 의회는 미군의 명예와 품위에 어울리지 않는 범죄라며 조사를 지시했지만, 아무도 처벌받지 않았다. 이 사건을 설명하는 인디언 작가는 샌드 크리크에서 자신이 겪은 경험담을 들려준다. 자신이 그곳을 방문했을 때, 새벽에 아이의 울음소리를 들었노라고 했다. 그리고 동행한 이들도 같은 울음소리를 들었다는 말을 덧붙인다. 샤이엔 원주민들의 억울한 죽음은 그렇게 그 땅에 묻혔다. 

  1865년, 전쟁이 끝났다. 이제 군대는 해산되었고, 군인들은 집과 땅을 찾아 서부로 몰려든다. 이주민들에게 거저 주어지는 땅들은 인디언들의 것이었다. 그들에게는 더이상 물러설 곳이 없었다. 수, 아라파호, 샤이엔 인디언들이 연합했으나 셔먼의 군대를 당해낼 수는 없었다. 1868년에서 1869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남부 평원의 인디언들이 그렇게 쓸려나갔다.


  러브조이 목사 부인은 캔자스를 떠나며 마지막 편지글을 남긴다. 캔자스에 온 뒤로 온갖 고통과 공포, 두려움 속에 지냈지만,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고 적었다. 피 튀기는 유혈극은 끝나고, 노예들은 해방되었다. 몰몬 전쟁을 치룬 몰몬교도들은 미 연방의 진정한 구성원이 되기 위한 길목에 서있었다. 남북 전쟁과 함께 수행된 인디언 말살극은 남부 인디언들을 죽음으로 내몰았다. 피 냄새가 사방에서 진동했다. 그러나 전쟁의 포연(砲煙)은 사라지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미국은 새로운 도약을 준비한다. 광대한 대륙의 동과 서를 잇는 철도 건설의 꿈이었다. 


  'The West'의 4편을 보는 일은 감정적으로 힘든 일이었다. 샌드 크리크 대학살에 대한 부분이 특히 그러했다. 다큐의 자료 화면과 내레이션만으로는 매우 한정적인 역사적 사실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생략된 나머지 부분들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고, 이야기를 맞추어 가면서 그 무지막지한 피의 시대를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몸서리가 쳐졌다. '서부'라는 공간의 도전과 모험은 인종청소(ethnic cleansing)나 다름없는 국가적 범죄와 엮여 있었다. 그 어두운 그림자는 오늘날까지 이어진다. 보호구역에 거주하는 원주민들은 가난과 질병, 약물중독의 위험 속에서 살아가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정부는 그 고통스러운 유산에 대한 책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사진 출처: pbs.or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PBS 8부작 미니 시리즈 'Ken Burns: The West(1996)' 2, 3편

2편 "Empire Upon the Trails" (1806–1848)     1시간 24분
3편 "Speck of the Future" (1848–1856)        1시간 25분

 


3. 새로운 제국의 탄생

  영국에서 독립한 신생국 미국은 점차 자신들의 힘을 축적해 나가고 있었다. 미국은 무엇보다 영토 확장에 열을 올렸다. 거대한 루이지애나주를 프랑스에게서 매입한 것을 시작으로 서남부 지역이 새롭게 눈에 띄었다. 그곳은 신생 독립국 멕시코의 땅이었다. 1821년, 멕시코가 스페인에게서 독립한 이후 푸에블로 인디언들은 멕시코의 영향력 아래 놓인다. 혼란기, 미약한 힘을 지닌 멕시코의 지배하에 그 땅의 실질적 주인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여러 부류의 다양한 이들이 몰려들기 시작했다. 가장 흥미로운 이들은 '마운틴맨(Mountain man)'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비버 가죽과 곰 모피를 거래하며 살았던 사냥꾼들로 인디언과 지리에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모피 무역의 전성기는 오래가지 않았다. 1830년대에 끝물에 접어들었고, 마운틴맨들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해야만 했다. 그들은 독보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탐사대와 군인들 무리에 들어간다. 서부의 영웅 키트 카슨(Kit Carson)은 그 시기를 대표하는 마운틴맨이었다.

  푸에블로 인디언 부족들은 버팔로와 땅을 두고 서로 경쟁했다. 특히 그들이 성지로 여기는 'Black Hills'를 둘러싼 싸움은 매우 치열했다. 그러는 사이 텍사스에서는 새로운 주인 자리를 두고 싸움이 일어났다. 1836년, 샘 휴스턴이 이끄는 텍사스군이 산타 아나의 멕시코 정부군을 물리친다. 텍사스 공화국이 수립되고, 이제 미국은 그 지역 인디언들에게 지배력을 행사한다. 서부로, 서부로 새로운 땅을 향해 미국인들이 끊임없이 밀고 내려왔다. 인디언들은 계속 밀려나면서 자신들의 땅을 잃어가고 있었다.

  1847년, 박해받는 신생 종교 몰몬교의 신도들은 서부 솔트레이크에 도착했다. '미국의 모세'라고 일컫는 브리검 영은 몰몬교도들을 이끌고 사막 한가운데에서 자신들의 터전을 일구어 나갔다. 종교적 열정은 서부 개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이른바 오리건 트레일(Oregon Trail)을 따라 선교사들이 원주민들에게 기독교를 전파하고자 몰려들었다. 그들은 새로운 신과 함께 질병도 가져왔다. 백인들의 질병에 면역력이 없었던 인디언들은 죽어나갔고, 그들 사이에 생겨난 적대감이 파국을 불러온다. 1836년에서 1847년에 이르는 기간(Whitman Mission)에 오리건의 Cayouse 인디언들은 질병과 토벌로 거의 절멸 위기에 처하게 된다.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대 이후, 무려 30년 사이에 그 모든 것이 일어났다. 텍사스의 획득, 솔트 레이크의 건설, 오리건 지역의 평정, 그리고 1840년에는 캘리포니아가 정착민들을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이제 그곳의 지배자가 누구인지 명확해졌다. 주인없는 땅 서부는 이제 미국의 것이었다. 그 땅에 곧 엄청난 광풍이 몰아닥칠 참이었다. '금'이 발견된 것이다. 그리고 '골드 러시(Gold Rush)'의 시대가 열린다.


4. 황금광 시대

  1848년, 서터 제재소의 현장 감독이었던 제임스 마샬이 인근 강가에서 금을 발견한다. 그것이 시작이었다. 사람들은 숟가락 하나 들고 금 캐기에 나섰다. 도처에서 금이 쏟아져 나왔다. 1849년에 캘리포니아에는 무려 5만 명의 사람들이 금을 찾아 몰려들었다. 골드 러시의 광풍이 미 전역에 휘몰아친다. 'The West'의 3편에서는 미국 서부사의 가장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다룬다. 이 편에서는 골드 러시에 동참했던 윌리엄 스웨인이라는 농부의 편지글을 통해 그 시절을 살펴본다.

  일확천금에 대한 기대가 사람들을 서부로 불러모았다. 27살의 농부였던 스웨인도 그 소식을 듣는다. 그는 무식하고 가난한 농부가 아니었다. 중산층으로 학식있는 사람이었던 그는 아내가 선생님이었다. 그런 그조차 금을 찾아 떠났다. 스웨인은 자신이 보고 들은 여정의 모든 것을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에 적었다. 황금을 찾아 떠나는 여정은 고되고 위험했다. 인디언의 습격은 위협이 되지 못했다. 오히려 그보다 무서운 것은 익사와 총기사고, 이질과 콜레라였다. 금을 찾기도 전에 사람들이 길에서 죽어나갔다.

  그렇게 도착한 이들이 본 것은 금이 아니었다. 어마어마한 사람들이 금을 캐고 있었고, 거기에는 가난과 질병이 창궐했다. 돈을 버는 이들은 그들을 상대로 물건을 파는 상인들이었다. 가장 유명했던 이는 몰몬교도로 캘리포니아에서 채굴 기구와 생필품을 팔았던 샘 브래넌이라는 사람이었다. 우리가 잘 아는 청바지의 아버지 리바이 스트라우스(Levi Strauss)는 질긴 텐트천으로 채굴용 바지를 만들어 팔았다. 그곳에는 거의 사기에 가까운 상술이 판을 쳤고, 금을 찾는 것은 너무나도 어려웠다. 범죄자를 비롯해 오만 부류의 인간들이 모이는 곳에서 사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당연했다. 약속의 땅 서부에서 술집, 도박, 매춘이 성행했다.

  골드 러시의 광풍이 캘리포니아를 휩쓸 무렵, 인디언들에게는 어려운 시기가 이어지고 있었다. 샤이엔(Cheyenne) 부족은 콜레라로 황폐해졌고, 블랙 힐스의 소유권을 두고 라코타족과 샤이엔족은 대립했다. 그 와중에 미국 정부와 인디언들 사이에 첫 번째 포트 라라미 조약(The Treaty of Fort Laramie)이 맺어졌다. 미국은 서부에서 수(Sioux)족(라코타족은 수족의 한 분파이다)과의 경계선을 명확히 해두고, 그들을 이전보다 축소된 거주지로 내몰았다. 잠정적으로 찾아온 평화는 1854년, 몰몬교도의 마차를 인디언이 습격하면서 깨어진다. 미국은 그것을 기회로 인디언들의 대대적 토벌에 나섰다.

  황금광 시대에 고통을 받은 것은 인디언들 뿐만이 아니었다. 금을 찾기 위해 멕시칸들과 중국인들도 몰려들었는데, 그들 또한 박해와 핍박의 대상이었다. 특히 중국인들을 상대로 이루어진 차별은 가혹한 세금 부과, 구타와 채찍질, 방화에 이르기까지 참혹했다. 1852년에 중국 남부의 기근을 피해 미국 서부에 도착한 중국인들은 성실함으로 생존해 나갔다. 미국인들이 마다하는 세탁부와 밑바닥 일을 도맡아 했고, 후에 내륙 철도 건설에도 참여했다. 1882년, 그렇게 몰려오는 중국인들에게 캘리포니아 의회는 중국인 이민 금지법으로 대응했다.

  미국인들의 타자에 대한 적대감은 그 시기 인디언들에 대한 무참한 학살로 귀결되었다. 캘리포니아 주 정부는 인디언들에 대한 학살을 지원하기까지 했다. 인디언의 머리 하나에 매겨진 현상금은 5달러였다. 죽지 않고 살아남은 인디언들은 노예로 팔렸다. 1870년까지 3만 명에 이르는 인디언들이 죽임을 당했다. 그것은 절멸에 이르는 대학살극이나 마찬가지였다.

  금을 찾아 떠난 농부 스웨인은 아무 것도 발견하지 못했다. 그는 빈손이었지만, 돌아갈 고향과 가족이 있었다. 젊은 농부 스웨인은 집으로 돌아가서 평온하고 좋은 인생을 보냈다. 그렇게 황금광의 시대는 막을 내렸다. 그 시기를 통해 미국인들은 새로운 정체성을 형성해 나갔다. 모험과 도전, 성공에 대한 열망이 미국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서부를 차지하고 있던 인디언들은 제거되었고, 미국의 앞길을 막는 장애물은 서부에 더이상 존재하지 않았다.



*사진 출처: pbs.org


**키트 카슨 전기 '피와 천둥의 시대' 리뷰

https://blog.aladin.co.kr/sirius7/126258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PBS 8부작 미니 시리즈 'Ken Burns: The West(1996)' 1편

1편 "The People" (to 1806)            1시간 22분


1. 들어가며

  존 포드의 '수색자(The Searchers, 1956)'는 수정주의 웨스턴(Revisionist Western)의 대표작이다. 존 웨인이 연기한 이든은 인디언에게 납치당한 어린 조카 데비를 찾기 위해 긴 세월을 보낸다. 이든이 인디언들에게 보여주는 인종차별주의적인 잔혹함과 적개심은 이전의 웨스턴 캐릭터에서는 보기 어려운 것이었다. '선한 백인'과 '악한 원주민'의 이분법적 경계선은 조금씩 흐려지고 무너지기 시작한다. 오래전, 미국 영화사 수업 시간에 나는 그 영화 '수색자'를 발표하는 과제를 맡았다. 영화를 보면서 내가 가장 궁금했던 것은 '왜 이든이 데비를 찾는 데에 그토록 오랜 시간이 걸렸는가?'였다. 그는 어린 조카가 아가씨가 될 때까지 찾지 못하고 있었다. 나는 감독이나 영화에 대한 자료 조사를 한 것이 아니라 인디언들에 대한 자료를 뒤적거렸다. 그리고 당시 미국에 분포했던 여러 원주민 부족들이 그려진 지도를 펼쳐보고서야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점점이 흩어진 서로 다른 수십 개의 부족들이 미국 지도 속에 엉켜있었다.

  다큐멘터리 제작자 켄 번즈는 미국 역사에 대한 일련의 다큐들로 명성을 쌓아왔다. 가장 유명한 10부작 미니 시리즈 'Jazz'를 비롯해 '남북 전쟁(The Civil War, 1990)', '금주법(Prohibition, 2011)'과 같은 역사적 사건을 새롭게 조망하는 다큐를 내놓았다. 공영 방송사 PBS와의 협업을 통해 방영된 그의 다큐들은 미국을 이해하는 교과서로 여겨지기도 한다. 그는 8부작 'The West'로 미국 서부사를 살펴본다. 과연 '서부'에서는 어떤 일들이 있었으며, 그곳에서 살았던 사람들은 무엇을 원하고 찾았는가? 영상으로 떠나는 이 여정을 통해 '서부'라는 공간이 미국인들에게 갖는 정신적 의미를 살피려고 한다. 그 작업은 문학과 영화를 비롯해 미국의 대중문화에서 재현되는 그 공간성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일이기도 하다.


2. 출발

  1편에서는 미국 남부와 멕시코 지역에 살았던 인디언들의 기원에 대해 이야기한다. '아나사지(Anasazi)'는 그 지역 인디언들의 조상을 일컫는 나바호족의 말이다. '적들의 조상'이란 뜻의 이 말은 당연히 나바호족이 자신들의 조상에게 붙인 것이 아니다. 백인들에 의해 붙여진 이 말은 뉴멕시코 일대의 인디언 문화를 아우르는 명칭으로 통용되고 있다. 1528년,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고 30년이 지난 때에 스페인 선교사들이 멕시코 해안에 당도한다. 그 뒤를 이어서 온 이들은 무자비한 정복자들이었다. 당시 스페인에서는 황금의 땅으로 알려진 '7개의 도시'에 대한 놀라운 이야기들이 사람들을 매료시켰다. 1539년, '코로나도 원정대(Coronado Expedition)'는 황금을 찾는 탐사길에 오른다. 말이 탐사였지, 아나사지들에게는 학살과 공포의 날들이 이어질 터였다.

  총과 칼로 무장한 정복자들은 무시무시한 병도 함께 가지고 왔다. 천연두를 비롯해 홍역과 같은 질병에 의해 원주민들이 죽어나갔다. 스페인 정복자들은 손쉽게 그곳을 차지했지만, 곧 흥미를 잃었다. 그들이 열망하던 '황금'은 그 어디에도 없었다. 1680년까지 뉴멕시코 지역의 인디언들은 스페인의 통치하에 놓여있었다. 그러나 오래 이어진 가혹한 지배에 푸에블로인들(그 지역 인디언들을 통칭하는 말)은 반기를 든다. 여러 부족들이 스페인 통치자들에게 대항했고, 푸에블로 인디언들은 잠정적인 자유와 평화를 얻는다. 이제 그들은 멕시코 북부, 미국 서부 지역까지 자신들의 활동 반경을 넓혀 살게 된다. 비옥하고 넓은 평원에서 그들은 가장 소중하게 생각하는 '말'들을 키우며 번성했다.

  푸에블로 인디언들이 그렇게 평화로운 시기를 보낼 무렵, 신생국 미국이 기틀을 마련하고 있었다. 미국 서부 해안에는 스페인을 비롯해 러시아 상인들이 몰려들었다. 주로 모피와 비버 가죽을 얻기 위한 무역상들이었다. 1776년에는 새로운 도시 샌프란시스코가, 1781년에는 로스 엔젤레스가 생겨났다. 그러나 미국은 동부 이외에 광활한 서북부 영토에 대한 지식이 전무했다. 그것을 위해 미국 정부에서 파견한 이들이 '루이스와 클라크 원정대(Lewis and Clark Expedition)'였다. 1805년, 원정대의 탐사가 종료되고, 탐사대의 정보를 바탕으로 미국은 서부로 눈을 돌린다. 그로부터 40년 후, 미국은 미개척지 서부의 모든 것을 손에 넣는다.



*사진 출처: usa.newonnetflix.inf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어느 포르노 배우의 고백, 'The Rise and Fall of a Porn Superstar(2020)' 
 


  1997년에 첫 방송을 탄 BBC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인 'Storyville'은 자체 제작한 다큐를 비롯해 해외의 여러 작품들을 소개하고 있다. 매우 다양하고 폭넓은 소재와 주제를 망라하는 이 시리즈에는 흥미진진한 작품들이 많다. 작년 2월에 방영된 'The Rise and Fall of a Porn Superstar(2020)'는 우리말로 번역하면 '어느 포르노 스타의 흥망성쇠'쯤 될 것이다. 게이 포르노 스타의 7년여에 걸친 성공과 몰락의 과정을 담은 이 다큐는 파격적인 소재가 눈길을 끈다. 아마도 우리나라 공중파에서 이런 다큐를 방영한다면 당장 고객 민원실 전화가 터져나가겠지만, 영국은 좀 다른 모양이다. 이 다큐는 BBC가 직접 제작한 것은 아니고, 2018년에 Tomer Heymann 감독이 만든 'Jonathan Agassi Saved My Life'를 부분 편집한 것이다. 선정적 소재이다 보니, 과도한 수위의 장면이 약 15분 가량 삭제되었다. 제작자 Heymann이 인터뷰에서 이 다큐를 영화제 상영용 무삭제 버전과 편집 버전 두 가지로 만들었다고 하니, BBC의 자의적 편집은 아니다.

  다큐의 주인공은 이스라엘 출신의 Jonathan Agassi라는 게이 포르노 배우이다. 다큐는 그의 일상과 가족의 모습을 따라가며 포르노 배우가 아닌, 인간 조나단의 내면을 들여다 보게 해준다. '조나단 아가시'라는 이름은 예명으로 그는 그 이름으로 시작한 배우로서의 삶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 다큐의 원제목 '조나단 아가시가 날 살렸다'라는 뜻은 자신의 예명이 불운한 성장기를 잊을 수 있게 해주었다는 뜻이다.

  다큐는 평범한 일반인들은 전혀 알 수 없는 게이 포르노 업계의 단면들을 담아낸다. '산업'이라는 말이 무색하지 않게, 그 세계에도 생산자와 소비자가 있고 엄청난 돈이 흘러 다닌다. 매력적인 외모와 연기력으로 단숨에 게이 포르노 영화계를 평정한 조나단은 잘 나가는 스타의 삶을 구가한다. 그러나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이 있는 법, 업계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자기 관리를 해내지 못한 조나단은 점점 중심에서 밀려난다. 스테로이드 남용과 마약은 그를 수렁에 빠뜨린다.

  그런 몰락의 이면에는 불행한 성장기와 아버지에게 받은 상처가 자리한다. 조나단은 11살 때, 아버지로부터 '호모 같다'는 말을 듣고 충격을 받는다. 지극히 이기적이며 뻔뻔한 이 아버지는 이혼의 원인을 아들의 탓으로 돌린다. 딸을 원한 아내가 조나단이 태어나자 우울증에 걸렸다는 말까지 한다. 조나단은 물론 조나단의 어머니까지 남편의 파렴치함에 분노한다. 치유되지 않은 상처는 어른이 된 이후에도 조나단의 정서적 불안정성을 심화시킨다. 결국 마약 중독이 심해진 그는 포르노 업계를 떠난다. 그렇게 고향에 돌아온 조나단이 수퍼마켓에서 일하고 있다는 자막과 함께 다큐는 끝난다. 'Rise and Fall'이라는 말을 그대로 실감케 하는 그 끝을 보면서, 욕망과 성공 뒤에 도사린 허무함과 고통을 발견하게 된다.  

  다큐 속에는 마약에 취해 몸을 가누지 못하는 조나단을 감독 Tomer Heymann이 진정시키려고 애쓰는 모습도 담겨져 있다. 다큐멘터리 제작자도 참 못할 일이네 싶은 생각마저 든다. 그런 상황에서 제작자는 과연 어떤 윤리 기준을 가지고 개입의 시점을 결정해야하는 것일까? 게이 클럽부터 마약 복용 장면에 이르기까지 이 다큐는 다큐멘터리 제작의 경계선을 탐험하는 것처럼 보인다. 관객들에게 그 모든 것은 당혹스러움과 놀라움으로 다가온다. 그럼에도 포르노 배우에 대한 흥미 위주의 피상적이고 선정적인 탐구가 아니라, 조나단이라는 한 인간의 내면에 진지하게 접근하려고 한 진정성이 느껴진다.



*사진 출처: facebook.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이 글에는 영화 '배니싱 포인트(1971)'의 결말 부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가 시작되면 거대한 휠 로더(Wheel Loader) 2대가 도로를 봉쇄하는 것을 보게 된다. 경찰과 순찰차들이 집결한다. 마을 주민들은 무슨 일인가 궁금해서 하나둘씩 나온다. 캘리포니아의 외딴 시골 마을 Cisco, 그곳 도로변에 모인 사람들은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다. 마침내 헬기의 추적을 받는 흰색의 자동차 한 대가 등장한다. '소실점(Vanishing Point)'이란 제목을 가지고 있는 이 영화의 진정한 주인공은 바로 그 차, 크라이슬러의 1970년형 Dodge Challenger R/T이다. 쏜살같이 지나가는 차의 화면이 멈추면서 영화는 이틀 전으로 돌아간다. 과연 그 차를 운전하는 남자에게 무슨 일이 있었길래 그는 경찰의 추적을 받는 신세가 되었을까? 관객은 플래시백(flashback)을 통해 남자의 지난 여정을 복기하게 된다.

  리차드 사라피안(Richard C. Sarafian) 감독의 1971년작 영화 '배니싱 포인트'는 몬티 헬만 감독의 '자유의 이차선(Two-Lane Blacktop, 1971)과 같이 언급되곤 한다. 두 영화 모두 자동차가 주요한 소재이며, 그것을 통해 1970년대 미국의 내적 풍경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마치 영혼의 쌍둥이 같은 이 두 영화 가운데 그럼에도 어느 영화가 더 본질적으로 미국의 내면을 향해 직진하는가를 묻는다면 나는 '배니싱 포인트'라고 답하겠다. 인물들의 대화는 지극히 절제되어 있고, 관객들은 오로지 자동차와 속도에 자신을 내맡기며 그것이 주는 의미를 성찰한다. 어떻게 무지막지한 속도로 내달리는 차를 보며 무언가를 성찰하는 것이 가능한가, 라고 물을 수 있다. 바로 그것을 사라피안 감독은 '배니싱 포인트'에서 구현해낸다.

  코왈스키(베리 뉴먼 분)는 자동차 배달 기사이다. 금요일 저녁, 이제 막 일을 끝내고 온 그는 쉴 새도 없이 새로운 일감을 맡는다. 덴버에서 샌프란시스코의 고객에게 Dodge Challenger를 월요일까지 전해주기 위해 그는 빨리 길을 나서야만 한다. 그런 그에게 필요한 것은 Benzedrine(각성제 암페타민) 알약이다. 길을 떠나면서 코왈스키는 딜러에게 내기를 건다. 월요일이 아니라 하루 앞선 일요일에 인수를 완료하겠다는 것. 그가 내기에게 이기려고 한다면 과속은 필수이다. 그렇게 코왈스키의 무한질주 자동차 배송극이 시작된다.

  고속도로 경찰들이 가만히 구경만 할 리가 없다. 놀라운 운전 실력과 과단성으로 코왈스키는 순찰차들을 따돌리며 농락한다. 그의 질주본능이 맹렬해질수록 추격대의 규모는 점차 불어난다. 코왈스키를 잡기 위해 도로에는 전자 탐지선이 설치되고, 헬기가 뜬다. 무슨 대단한 돈이 걸린 내기도 아니고, 도대체 왜 그는 이 미친 질주를 시작한 것일까? 관객은 경찰들의 대화, 코왈스키의 회상 장면을 통해 그의 과거에 대한 단서를 조금씩 얻는다. 무공훈장을 받은 베트남전 참전 용사, 경찰, 카 레이서, 그리고 이제는 자동차 배송일을 하고 있다.

  사라피안 감독은 코왈스키의 여정을 통해 1970년대 미국 사회를 조망한다. 네바다주의 사막을 지나면서 코왈스키는 다양한 부류의 인간군상을 만난다. 무리를 지어 노래를 부르는 오순절 교회파의 신자들, 방울뱀 사냥꾼, 히피족, 느물거리는 악당 게이 커플이 그들이다. 거기에 코왈스키의 길동무가 되어주는 지역 라디오 방송 흑인 DJ 수퍼 소울(Super Soul)도 있다. 코왈스키의 질주극에 매료된 그는 경찰 무선을 도청하면서 방송을 통해 코왈스키를 돕는다. 결국 분노한 백인 순찰대원들에게 수퍼 소울이 가혹하게 린치를 당하는 장면은 1960년대 미국을 달구었던 인종 차별의 한 단면을 재현한다.

  "미국의 마지막 영웅, 그의 속도는 영혼의 자유를 의미합니다. 이제 문제는 언제 그가 멈추느냐가 아니라, 누가 그를 멈추게 하느냐입니다."

  수퍼 소울은 코왈스키를 미국의 '영웅'으로, 추격하는 순찰 대원들은 '나치'로 지칭한다. 정말로 코왈스키는 영웅인가? 어떤 의미에서 그는 영웅이 맞다. 반영웅(反英雄, antihero)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는 코왈스키의 삶은 전역 이후 계속 내리막길이다. 오직 '속도'에만 사로잡힌 그는 거의 잠도 안자고 도로를 질주한다. 거기에는 어떤 목적도 의미도 없다. 사라피안은 흰색 Dodge Challenger가 펼치는 예술같은 스턴트와 무시무시한 속도를 순도 100%로 잡아낸다. 관객들은 코왈스키와 함께 1970년대 광폭하게 날뛰는 미국 사회의 심장부로 직진한다. 1960년대를 관통했던 흑인 민권 운동, 1969년의 Woodstock과 히피 문화의 폭발, 패색이 짙어가는 베트남전과 반전 시위까지 1970년대에 들어서면 미국인들은 그 모든 상황에 극도의 피로감을 느낀다. 어떤 의미에서 코왈스키의 '질주'는 그런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미국 사회 내부의 본능적 반응과 맞닿아 있다.

  마침내 코왈스키는 종착지에 다다른다. 거대한 휠 로더와 헬기, 경찰들이 드글거리는 그곳에 그가 빠져나갈 틈은 없다. At full speed, 그는 평온한 미소를 지으며 가속 페달을 밟는다. 그것은 자살인가? Vanishing point, 분명히 코왈스키는 자신을 매료시킨 속도와 함께 사라졌다. '소멸'이 '패배'를 의미한다고 보는 것은 물질계에서나 적용된다. 코왈스키가 마지막으로 본 것은 자신을 가로막는 휠 로더의 틈 사이로 쏟아지는 환상의 빛이었다. 어쩌면 그는 그 '빛'을 통해 다른 차원의 세계로 계속 나아갈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코왈스키가 유일하게 의지한 '속도'만이 그의 고통을 잊게 할 수 있었다. 죽음으로써 그는 자신을 옥죄는 속도에의 열망에서 비로소 해방된다. 사라피안 감독은 코왈스키의 여정을 통해 1960년대 말과 70년대 초 미국 사회의 무기력함과 상실감을 담아낸다. 가스펠과 록 음악을 비롯해 컨트리 음악까지 다양하게 선곡된 노래들은 '배니싱 포인트'에 흩뿌려진 보석들과도 같다. 


*덧붙이는 글: '배니싱 포인트'의 원래 촬영분에는 스튜디오의 뜻에 따라 최종 삭제된 8분 가량의 영상이 포함되어 있었다. 코왈스키가 시스코에 도착하기 전날 밤, 그는 묘령의 여인(샬롯 램플링 분)을 차에 태워준다. 검은 옷을 입은 여자는 코왈스키가 길에서 얼마나 기다렸느냐고 묻자 '너무나 오랫동안 당신을 기다렸다'고 말한다. 그 분량이 삭제된 것에 사라피안 감독은 늘 불만을 토로했는데, 그것은 죽음의 천사를 의미하는 여자의 등장이 영화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 장면이 있어야만 영화가 완전해진다고 믿었던 감독과는 달리 제작사인 20세기 폭스사는 과감히 잘라 버렸다(이 장면은 유튜브에서 따로 볼 수 있다). 삭제된 8분의 영상을 보고 나서, 나는 스튜디오의 판단이 더 낫다고 생각했다. 그 장면은 영화 전체의 균형을 흐트러뜨리며 비현실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떤 관객에게 그 장면은 또 다른 의미를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사진 출처: motorious.com



***몬티 헬만(Monte Hellman) 감독의 '자유의 이차선(Two-Lane Blacktop, 1971)' 리뷰

https://blog.aladin.co.kr/sirius7/1258095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