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키비아데스 1,2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3
플라톤 지음, 김주일 외 옮김 / 이제이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알키비아데스1>에서는 인간의 본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며, <알키비아데스2>에서는 인간이 신에게 어떤 기도를 바치는 가에 대해 논의된다. 개인적으로 <알키비아데스1>이 더 흥미있게 다가왔다.

<알키비아데스1>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알키비아데스'에게 인간의 본질은 '혼'이며, 이렇게 혼을 돌보는 행위는 '지식에 대한 앎'이라는 것을 일깨워 주는 내용으로 대화가 전개된다. 작품을 읽다보면, 다른 플라톤의 작품과 연계고리를 가지는데, 예를 들면 <국가> 와 연관있는 으로, 페르시아 왕자를 교육 시키는 4명의 현인은 '가장 지혜로운 사람, 가장 정의로운 사람, 가장 절제있는 사람, 가장 용기있는 사람(121e)'이라는 언급으로 이상의 덕목은 바로, 이상적인 '국가' 구성원이 지향해야할 4덕목이다. ,

본문의 내용으로 이해하자면, '지혜', '용기', '절제', '정의'는 각각의 덕목이면서, 동시에 통치자가 갖춰야할 기본 덕목으로 파악된다. 그렇게 볼 때, 이 작품은 '용기'를 주제로 한 <라케스>와 '절제'를 주제로 한 <카르미데스>와 연계시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덕의 단일성'을 언급한 <프로타고라스>와도 주제를 연관시켜 볼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4덕목은 통치자는 지혜, 수호자는 용기, 생산자는 절제만 수양하는 것이 아닌, 제왕학(帝王學)의 기본 덕목으로 논의 된다는 측면에서 마치, 동양의 <大學>에서 '平天下'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治國, 齊家, 治國' 을 기본으로 해야 하고, 내면적으로 '正心', '誠意', '致知' '格物'을 통해 자신을 다스려야 한다는 내용과 통하는 면이 있는 것 같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작품을 깊이 생각하면서 개인적으로 내용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철학적인 측면이외에도 <알키비아데스1>은 시리즈 물의 도입부문과 같은 면도 가지고 있다. <향연>에서'소크라테스'를 사랑하는 것으로 서술된 '알키비아데스'가 이 작품에서는 소크라테스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와 있고, 이 대화를 통해 소크라테스에게 감복하며, 빠져드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어, 이 작품을 통해 두 사람의 '첫만남', 그리고 스스로 연애에 일가견이 있는 것으로 자부하던 '소크라테스'의 작업 기술(?)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문학적으로도 재미를 준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오비디우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노래한 로마 신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과 이름이 다르기에 다소 생서하면서도, 그리스신화와 중복되는 내용도 많아 익숙하게 다가온다.

「변신이야기」는 말 그대로 신화의 변신이야기를 중심으로 서술된 작품이다. 신들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신하지만, 인간은 수동적으로 `신의 뜻`에 따라 변신당하거나, 자신의 행위(교만, 불의, 신에 대한 불공경 등)에 대한 결과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변신` 은 `인간 운명`의 다른 말인 것 같다. 인과율과 그로써 설명될 수 없는 어떤 것. 이 작품을 읽으면서 전반적으로 들었던 생각이다. 시간을 두고 다시 읽으면 다른 것이 또 보일 것이라 기대해 본다.

작품 중에서 ˝퓌라무스와 티스베˝ 이야기를 읽으면, 세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두 연인 죽음 장면이 연상된다. 또, 페르세우스의 ˝케페우스 왕궁의 결투˝는 호메로스의「오뒷세이아」의 장면을 연상된다. 작품 속의 고전을 발견하는 것도 책을 읽는 즐거움 중의 하나인 듯하다.

또한, 작품 전체가 끊임없이 이어져 있고, 그속에서 `관련없는 듯 관련있는` 신화 이야기가 펼쳐지는데, 나만의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다른 사람의 입을 통해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식이 후대 ˝ 아라비안 나이트˝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스턱 Unstuck - 비즈니스 곤경탈출 매뉴얼
키이스 야마시타 외 지음, 윤종기 옮김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회사에서 어려움에 빠졌을 때 해결 방법을 조언한 책.

내용이 원론적이고 단편적이어서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만, 페이지를 순서대로 읽는 것이 아닌 사례별로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든 구성은 재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모인문학 - 교양 있는 아이로 키우는 2500년 전통의 고전공부법
리 보틴스 지음, 김영선 옮김 / 유유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가정에서 하는 고전공부방법론.

만 4세부터 만 12세까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고전공부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말하고 있다.

저자에 의하면 고전공부는 문법, 논리학, 수사학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문법을 통해서는 암기력을, 논리학을 통해서는 분석 능력을, 수사학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 시킬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전공부를 통해 능숙하게 읽고 쓰는 능력향상의 성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전공부의 전제조건은 `기본사항에 대한 암기`와 `가족 전체의 참여 공부`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은 미국가정을 대상으로 한 서적이기에 참고 문헌 중 다수가 번역되지 않은 부분이 다소 아쉽기는 하지만,

기본사항에 대한 암기와 부모참여교육의 중요성 강조를 통해 공부가 쉽지 않은 길이임을 알려주는 동시에, 학원에 아이들을 맡겨버리고 가정교육에 무관심한 한국 학부모들로 하여금 `우리가 아이들과 무엇을 함께 할 수 있을까?`를 돌아보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학.학기한글역주 - 동방고전한글역주대전
김용옥(도올) 지음 / 통나무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올 김용옥 선생의 대학 역주.

유교의 8조목에 대해 주자의 「대학장구」뿐 아니라, 한유, 이고, 사마광 등 중국 학자, 이토 진사이 등 일본 학자들의 견해를 비교 제시했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 라는 유명한 대학의 구절에 대해 막연하게 생각해왔던 것들과 더불어 수신을 위해 우리가 힘써야할 정심, 성의, 치지, 격물 등에 대해 자세하게 풀이하여 「대학」이 조선시대 경전이 아니라 우리가 끊임없이 돌아보고 마음에 새겨야 하는 우리시대의 문헌임을 깨닫게 한다.

이 책을 통해 순자, 맹자, 법가의 사상적 영향을 받은 구절과 `성의`를 통해「중용」과 연계되는 사상적 흐름도 알 수 있어, 마치 시리즈물(?)과 같은 재미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