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를 위한 아빠의 기도문딸을 키우다보니 생각보다 부모가 대신해 줄 수 있는 부분이 많지 않다. 대신 아플수도, 대신 힘들어해줄 수도 없다.대신 인생을 살아줄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과정을 거쳐야 더 커질수 있기 때문이다.그럴때할 수 있는 것은 지켜보면서 응원하는 것이리라. 뒤에서 응원하는 내용을 주제별로 엮은 책이다. 내용을 마음에 담고, 때가 되었을 때 내용을 풀어내면 좋을 것이라 생각된다.
세계사 특히 서양사 책을 볼 때 참고하면서 보기 좋다 고대부터 2000년대 초반 자료까지 상세한 설명이 담긴 지도가 큰 도움이 된다아쉬운 점은 동양 자료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특히 우리 나라에 대한 자료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도올의 중국일기 1은 ˝중국일기˝ 전 시리즈전반의 주제인 ˝고구려 패러다임˝의 서문의 성격이 강한 것 같다. 2편에서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주제를 말하기 전 연변에서의 생활 전반에 대해 상세하게 적은 글을 보면서,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 그리고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연상하게 된다.상세한 서술과 저자의 감상을 적은 것은 동일하지만, 많은 사진이 들어갔다는 점에서 앞의 작품과 차이가 있다.글을 통해 독자의 상상력을 자극한다는 면에서는 앞의 책들이, 사진을 통한 저자와의 공감에서는 중국일기가 더 장점이 있는 것 같다.
˝만물은 불이다˝로 유명한 헤라클레이토스의 말을 영성적으로분석한 오쇼의 책. 헤라클레이토스가 남긴 어록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접근했다. 궁극적으로 깨닫기 위해 우리는 깨어있으면서 내면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중도의 길을 추구하자는 내용이다. 오쇼의 다른 글처럼 전체 내용은 어떻게 보면 뻔하지만, 읽을 때마다 글 중에서 어떤 한 문장이 마음 깊이 다가온다.철학자 헤라클레이토스를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에서는 해체적으로 접근했다면 이 글에서는 여기에 삶을 씌웠다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