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작품은 철학적인 면과 문학적인 면이 둘 다 뛰어난 작품이다. 그런 면에서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은 철학적 측면에서 자세하게 설명되었고, 천병희 역저는 쉽게 읽히는 장점이 있다고 한다.

나처럼 기초가 약한 사람은 천병희 역저를 통해 내용 파악 후 전집으로 접근하는 방법도 좋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키비아데스 1,2 정암학당 플라톤 전집 3
플라톤 지음, 김주일 외 옮김 / 이제이북스 / 2014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알키비아데스1>에서는 인간의 본질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며, <알키비아데스2>에서는 인간이 신에게 어떤 기도를 바치는 가에 대해 논의된다. 개인적으로 <알키비아데스1>이 더 흥미있게 다가왔다.

<알키비아데스1>에서는 '소크라테스'가 '알키비아데스'에게 인간의 본질은 '혼'이며, 이렇게 혼을 돌보는 행위는 '지식에 대한 앎'이라는 것을 일깨워 주는 내용으로 대화가 전개된다. 작품을 읽다보면, 다른 플라톤의 작품과 연계고리를 가지는데, 예를 들면 <국가> 와 연관있는 으로, 페르시아 왕자를 교육 시키는 4명의 현인은 '가장 지혜로운 사람, 가장 정의로운 사람, 가장 절제있는 사람, 가장 용기있는 사람(121e)'이라는 언급으로 이상의 덕목은 바로, 이상적인 '국가' 구성원이 지향해야할 4덕목이다. ,

본문의 내용으로 이해하자면, '지혜', '용기', '절제', '정의'는 각각의 덕목이면서, 동시에 통치자가 갖춰야할 기본 덕목으로 파악된다. 그렇게 볼 때, 이 작품은 '용기'를 주제로 한 <라케스>와 '절제'를 주제로 한 <카르미데스>와 연계시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덕의 단일성'을 언급한 <프로타고라스>와도 주제를 연관시켜 볼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4덕목은 통치자는 지혜, 수호자는 용기, 생산자는 절제만 수양하는 것이 아닌, 제왕학(帝王學)의 기본 덕목으로 논의 된다는 측면에서 마치, 동양의 <大學>에서 '平天下'를 하고자 하는 사람은 '治國, 齊家, 治國' 을 기본으로 해야 하고, 내면적으로 '正心', '誠意', '致知' '格物'을 통해 자신을 다스려야 한다는 내용과 통하는 면이 있는 것 같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작품을 깊이 생각하면서 개인적으로 내용정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철학적인 측면이외에도 <알키비아데스1>은 시리즈 물의 도입부문과 같은 면도 가지고 있다. <향연>에서'소크라테스'를 사랑하는 것으로 서술된 '알키비아데스'가 이 작품에서는 소크라테스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와 있고, 이 대화를 통해 소크라테스에게 감복하며, 빠져드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어, 이 작품을 통해 두 사람의 '첫만남', 그리고 스스로 연애에 일가견이 있는 것으로 자부하던 '소크라테스'의 작업 기술(?)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문학적으로도 재미를 준다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오비디우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로마 시인 오비디우스가 노래한 로마 신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들과 이름이 다르기에 다소 생서하면서도, 그리스신화와 중복되는 내용도 많아 익숙하게 다가온다.

「변신이야기」는 말 그대로 신화의 변신이야기를 중심으로 서술된 작품이다. 신들은 자신의 의지에 따라 능동적으로 변신하지만, 인간은 수동적으로 `신의 뜻`에 따라 변신당하거나, 자신의 행위(교만, 불의, 신에 대한 불공경 등)에 대한 결과로 받아들이게 된다.

그런 의미에서 `변신` 은 `인간 운명`의 다른 말인 것 같다. 인과율과 그로써 설명될 수 없는 어떤 것. 이 작품을 읽으면서 전반적으로 들었던 생각이다. 시간을 두고 다시 읽으면 다른 것이 또 보일 것이라 기대해 본다.

작품 중에서 ˝퓌라무스와 티스베˝ 이야기를 읽으면, 세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두 연인 죽음 장면이 연상된다. 또, 페르세우스의 ˝케페우스 왕궁의 결투˝는 호메로스의「오뒷세이아」의 장면을 연상된다. 작품 속의 고전을 발견하는 것도 책을 읽는 즐거움 중의 하나인 듯하다.

또한, 작품 전체가 끊임없이 이어져 있고, 그속에서 `관련없는 듯 관련있는` 신화 이야기가 펼쳐지는데, 나만의 생각일지도 모르지만, 다른 사람의 입을 통해 이야기를 구성하는 방식이 후대 ˝ 아라비안 나이트˝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언스턱 Unstuck - 비즈니스 곤경탈출 매뉴얼
키이스 야마시타 외 지음, 윤종기 옮김 / 지식의날개(방송대출판문화원) / 2005년 8월
평점 :
품절


회사에서 어려움에 빠졌을 때 해결 방법을 조언한 책.

내용이 원론적이고 단편적이어서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다만, 페이지를 순서대로 읽는 것이 아닌 사례별로 찾아갈 수 있도록 만든 구성은 재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모인문학 - 교양 있는 아이로 키우는 2500년 전통의 고전공부법
리 보틴스 지음, 김영선 옮김 / 유유 / 2013년 3월
평점 :
절판


가정에서 하는 고전공부방법론.

만 4세부터 만 12세까지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고전공부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 말하고 있다.

저자에 의하면 고전공부는 문법, 논리학, 수사학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문법을 통해서는 암기력을, 논리학을 통해서는 분석 능력을, 수사학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 시킬 수 있다고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고전공부를 통해 능숙하게 읽고 쓰는 능력향상의 성과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고전공부의 전제조건은 `기본사항에 대한 암기`와 `가족 전체의 참여 공부`라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은 미국가정을 대상으로 한 서적이기에 참고 문헌 중 다수가 번역되지 않은 부분이 다소 아쉽기는 하지만,

기본사항에 대한 암기와 부모참여교육의 중요성 강조를 통해 공부가 쉽지 않은 길이임을 알려주는 동시에, 학원에 아이들을 맡겨버리고 가정교육에 무관심한 한국 학부모들로 하여금 `우리가 아이들과 무엇을 함께 할 수 있을까?`를 돌아보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