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정의 픽션
박형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쩌면 우리가 소설을 읽는 이유는 '나'가 하고 싶은 이야기의 가장 가까운 근사치의 이야기를 찾기 위해서가 아닐까 싶다. 어떤 소설을 읽다가 중단할 때, 끝까지 읽었지만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나서도 아쉽지가 않을때, 못내 마지막 페이지를 덮기 싫을때...


그리고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다시 맨 앞 장을 뒤적일 때...


독자로서 '나'의 그 모든 행동은 '나'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찾는 작은 몸짓들이 아니었을까.


'나'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나'도 모르기에, 우리는 소설 사이를, '여행'을 가장한 채 '표류'하는 게 아닐까.


박형서의 '자정의 픽션'은 '나'가 모르고 있었지만, 정작은 '나'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찾은 기분이 들게 하는 소설집이었다. 


그 중에서도 '노란 육교'.


그들은 양심의 가책을 해소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스스로를 괴롭히기 위해 머물렀다. 남들이 던져주는 그 계절의 음식을 먹으며, 자전거 타고 지나가는 모든 망자와 눈을 마주쳐가며, 그들 사이에서 오래 전에 죽어버린 자기 사람을 찾으며 날카롭고 뾰족한 것으로 제 약한 살을 짓눌렀다. 그러다 통증이 둔해질 만큼 고단하여 잠깐 눈을 감을라치면, 얇은 눈꺼풀 안쪽에서는 망자와 함께 길에 관해 나누었던 대화가 서럽게 되살아나 소용돌이쳤다. 결국 지키지 못했던 약속의 언어가 능금 과즙처럼 입술 사이로 쏟아져 나오고, 노란 육교를 흥건히 적시며 계단을 타고 내려와 조금씩, 조금씩 망자들의 길로 흘러갔다. 그럴 때면 자책과 피로로 온통 혼미해져, 저기 저 흰 흙길이야말로 영원히 다다를 수 없을 만큼 멀리 있기 때문이라고 슬프게 변명하곤 했다


이 문장을 읽는데 다양한 감각이 올라온다.

아프고, 따갑고, 서늘하고, 아쉽고, 슬프고...


분명한 이유를 들어 풀어내긴 힘들다. 

그러나 어떤 배경이나 정황의 개입없이 

순전한 텍스트만으로 전해지는 감정이 있었다. 


서로가 더할 수 없이 알맞게 포용하고 길항하는 단어들...


적절한 빈도의 생동감, 적절한 채도의 색채감으로 단장하고.


'나'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어쩌면 '존재'와 관련되는 지도 모르겠다.


망자

자전거

대화

약한 살

약속

언어

육교

계단

흙길


'존재'를 표현함에 이보다 더 적절히 선택된 단어들이 또 있을까?


저자의 의도가 표의가 무엇이었든, 

'나'는 자책과 피로로 망각하고 있던 어떤 '존재'를,

노란 육교 위에서 저 흰 흙길 쪽을 바라보며 

슬프게 변명하는 '나'를 발견하고 

서글퍼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침묵의 기술
조제프 앙투안 투생 디누아르 지음, 성귀수 옮김 / arte(아르테) / 201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침묵이 필요하다는 건 알았지만 유용하다는 건 잘 몰랐다. 침묵이 좋다는 건 알았지만 유익하다는 건 잘 몰랐다. 배움을 주려 기쓰지 않아 더 유익한 배움이었다. 침묵을 침묵하고 살았다. 이젠 침묵으로 말하는 법을 배웠다. 단, 제목은 ‘침묵이란 예술‘이 더 낫지 않았을까. ‘기술‘치곤 깊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벽에 붙어 잤다 민음의 시 238
최지인 지음 / 민음사 / 201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기 방에 틀어박혀 나오길 거부하는 시들이 많아 뒤돌아섰던 시에 화해의 악수를 건네게 해 준 시인. 시는 전자제품 매뉴얼과 미친사람 넋두리 사이쯤 어디에 있다고 한 시인이 있었다. 최지인 시인의 시는, 아주 좋은 위치에 서 있다. 고개를 양으로 돌리며 어디서라도 오라고. 덥석, 잡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설사회 - 시설화된 장소, 저항하는 몸들
나영정 외 지음, 장애여성공감 엮음 / 와온 / 202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추천사 중 '연약해질 자유'에서 울컥,했다. 

'비정상'의 입장에서 '정상'이란, 부러운 개념일 것이다. '정상'에게 허락된 '비불편함'이 부러울 것이다. 그럼에도 '정상'이 되려했던 적은 없을 것이다. '정상'의 것을 탐한 적 없을 것이다. 그것은 그저, '남'의 것을 탐하지 않는 마음과 같은 맥락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상은 비정상을 도리질하며 밀어낸다. 


특수학교 짓는다면 '모처럼' 시간내서, '모처럼' 뜻을 맞춘다.

'우리 동네'에 특수학교 짓지 말라고. 


무엇을 두려워하는 것인가.


다시 말하지만, 정상을 부러워할지언정-그마저 안할 수도 있다- 탐한 적은 없는 

이들이다. 어떤 면으로나 상대적으로 연약한 이들이다.


혹, 연약함을 부러워하는 것인가.


연약할 자유의 박탈은 사회와 '당신'이 자초한 것이지, 이들이 아닌 것이다. 

이들과는 일말의 관계가 없는 것이다. 

연약하고 싶지만 연약할 수 없는 이들이 연약한 이들에게 만들어준 공동체의 오명.


시설.


연약하고 싶은 이들이여 시설의 담을 허물지는 못하더라도 고개를 디밀어 보라.


시설의 창 안을.

자유롭게 연약한 이들의 젖은 눈에서 눈물이라도 빌어

그대들의 메마른 눈을 적시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낡은 서랍장 속 엄마의 일기장
이화연 지음, 주미지 엮음 / 바른북스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중요한 건 아니지만, 책소개에서 [25살 남들보다 너무 일찍 딸과 이별을 해야만 했던]이 무슨 의미인가요? 엄마가 25세에 돌아가신 줄 알고 깜짝, 하다가 엮은이(딸) 소개에 보니 엄마가 20년간 쓴 시...그저, 궁금해서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