헐리우드 스토리 컨설턴트의 글쓰기 특강 - 흥미진진한 영화 대본, 소설, 드라마, 웹툰을 쓰는 비법
리사 크론 지음, 서자영 옮김 / 처음북스 / 201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이것은 책이다.

그것도 글쓰기 책이다.


글을 잘 쓰는 사람이 쓴 책이리라.


그런데 왜 이렇게 글을 못 썼을까?

못 쓰다 못해 '비문' 투성이다.


번역자가 원저의 내용조차 제대로 이해 못하고 옮긴 부분도 부지기수.

(아직 1/10 밖에 안 읽었는데 이 정도다)


예를 들면, 이런 식.


[이미 알고 있겠지만, 소설을 쓰는 것은 꽤 어려운 작업이다. 당연하다. 그러나 우리가 느끼는 것만큼 그렇게 어렵지는 않다. 사람들은 시작하자마자 포기하는 작가가 엄청나게 많은 것이 너무나 당연해 보여 이것에 전혀 의문을 가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


도대체 여기서 '이것'이 무엇일까?

사람들이 전혀 의문을 가지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이것이 과연 무엇일까?


1. 소설을 쓰는 것?

2. 시작하자마자 포기하는 것?

3. 소설쓰기가 어렵지 않은 것?


영어의 대명사는 가능한 한 우리말로는 구체적인 명사로 풀어줘야지, 그렇지 않으면 이렇게 꼬이기 십상이다. 


[잘 쓰는 법을 배우는 것의 문제점은, 스토리의 측면에서 봤을 때 이미 버스가 떠났다는 것이다.]


이해하기 위해 추론의 도식을 세워보기까지 해야 한다.


잘 쓰는 법을 배워야 하는데 문제점이 있다----->무슨 문제점?

스토리의 측면에서 봤을 때, 버스가 떠났다?


도대체 이걸 어떻게 이해하란 말인지??


스토리의 측면에서 본다...........는 말은 대체 무슨 뜻인가?

스토리의 기능적 측면

스토리의 구조적 측면

스토리의 생리적 측면


등이라면 몰라도 이 책 자체가 '스토리컨설턴트'의 '스토리'에 관한 내용인데

'스토리의 측면'이란 게 당췌.....


[스토리란 어려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누군가에게 영향을 미치는 어떤 일이 일어나고, 그 일이 그의 내면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다.]


(필시 원래는 더 좋을 이 문장이 전형적인 '번역투/직역투' 때문에 지난하게 읽힌다.

무책임한 '것'이 너무 많다. '것'을 좀 더 책임감 있는 단어로 바꾸면 훨씬 더 잘 읽힐 텐데.


---> 스토리란, 어려운 목표를 향해 나아가는 인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이 일어나고, 그 일이 인물 내면에 변화를 일으키는, 일련의 과정(또는, 형식)이다. (물론, 원서를 아직 보지 않고, 번역만 보고 고쳐 본 것)


원서의 '정확한' 내용이 너무나도 궁금하여 원서를 사 보기로 했다. 확인하고, 리뷰를 업데잇할 생각이다.


참고로, 참담한 수준의 번역 때문에 이해 안 가거나 읽기 불편한 부분을 죄 빼고

그나마 읽히는 부분만 건져서 보더라도


책 내용은 좋다.


소설을 '스토리'에만 국한시켜 너무 좁게 단정시켜 버린 앵글이 아쉽긴 하지만,

'소설=스토리'라고, 부분의 겹을 전체라 여기고 읽어도 

건질 게 많다. 어쨌든 단순해지니까.


----------------------------------------------------


아마존에 원서의 앞 부분이 공개되어 있어 원문을 보고 왔다.

하...이건 뭐, 다른 책이라 해도 될만한 수준 아닌가...


첫단락부터 제동이 걸린다.


[What's the biggest mistake writers make? This is the question I've been asked most frequently over the years. The answer is easy. They don't know what a story is. So even though they have a great idea, their prose is gorgeous and there is a lot of action, there is no real story and so no driving sense of urgency; which translates to: no readers.]


엄청나게 쉬운 문장이다. 한국의 초등학생 정도도 무리없이 읽을 수 있는.

그런데 쉬워서 자칫 삐걱할 수 있는 게 영어다. 


[작가가 저지르는 가장 실수는 무엇일까? 지난 몇 년동안 가장 많이 받은 질문이다. 대답은 간단하다. 스토리가 무엇인지 모른다는 것이다. 기발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근사한 문체로 다양한 사건을 다뤄도 진정한 스토리를 말하고 있지 않으니 읽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 그러니 독자가 없다.]


얼핏 보기엔 별 문제 없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번역문은 이 단락의 '핵'을 놓치고 있다.


바로, 'driving sense of urgency' 때문이다.


뒤를 읽어보면 알겠지만, 저자는 '스토리의 작용'에 관해 꽤 힘주어 설파한다. 

스토리를 유기체처럼 다루며 스토리와 우리 인체의 생물학적 반응에 관해서도 짚어낸다.


그러면서 강조하는 말이 바로 '읽고 싶게 하는 마음'이다.


그런데 '그냥' 읽고 싶게 하는 마음이 아니다. 

'간절히' 읽고 싶게 하는 마음이다. 


이 책 전체에 깔린, 저자의 소신이 바로 머리말의 이 첫단락,

그것도 바로 이 'urgency'에서 예고하듯, 터져나온다.


'urgency'의 핵심은 'quickly'이다.


뭔가 안달나고, 조급해서 '빨리' 덤벼드는 이미지다.


즉, "진정한 스토리가 없으니 'urgency' 감각을 주지 못한다(there is no real story and so no driving sense of urgency; which translates to: no readers.)'란 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진정하지 않아도 '대충' 스토리같아 보이는 소설(영화, 드라마)도 읽히긴 한다.

그러나 'sense of urgency'를 주지 못한다............


이게 이 단락의 핵심이다.


안 그런가?


그런데 번역문에 'sense of urgency'가 어디로 가 버렸나?

없다.


읽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는다


덜렁, 이리 되었다.


첫단락부터 독자는 손해 보았다.

어쩌면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을 '정수(essence)'의 조각을 놓쳤다. 


sense of urgency


이 단어만 갖고도, 독자는 배울 게 있다.

아...좋은 아이디어, 좋은 문체, 좋은 사건을 확보해도 

'sense of urgency(=빨리 달려들어 읽고 싶게 만드는 흥분감, 조급함, 안달감)'를 줄 수 있어야 하는구나, 하고.


단순히, 그냥 '읽고 싶게 만드는 힘'이 아닌 것이다.


그 둘의 차이는 '천지'만큼이다. 천지차이


그리고 더 큰 오류가 있다.

바로, 'writer'의 대치어로 선택한 '작가'란 단어다.


이 책은 '작가 지망생 혹은 작가지만 잘 안 팔리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책이다.

그래서 뭉뚱그려 '작가'라고 한듯하다.


그러나 생각해 보자.


'작가 지망생'이 과연 작가인가?

영어로 'writer'라 하면 직업적으로 글을 쓰는 '작가'도 있지만

그냥 '글쓴이'도 'writer'다. 즉, 초등학생이 숙제로 글짓기 숙제를 냈어도 교사가 그 숙제 페이퍼를 들어 보이며 "who is the writer?"하고 물을 수 있다. 그냥 '쓴 사람'이다.


그 다음 단락을 보자.


[아무리 열심히 작업하고('work'는 여기서 '작업'이라기보다 '습작'이 적절하다. 글쓰기 말이다) 글쓰기 워크샵에 참가하고 학위를 취득해도 여전히 내 책을 출판하겠다는 기획자(원서의 'agent'는 '기획자'가 아니다. '출판 대리인'이다. 말 그대로, 중개인)도 없고 출판 계약도 못하며, (중략) 자비 출판을 한다 하더라도 친구나 가족이 겨우 몇 권 사는 것이 전부...(후략)]


읽어서 알겠지만, 이게 '작가'를 말하는 게 맞나?


무슨 작가가 글쓰기 워크샵에 참가하고(강사로 참여한다면 모를까)

아직 책을 출판도 못했고

출판 대리인도 안 붙고

출판 계약도 못했고


이건......쉽게 말해 '작가'를 꿈꾸고 습작중인 '취준생'의 모습, 아닌가?


다 접고, 책 출간을 안 했는데, 어떻게 우리말로 '작가'가 성립할 수 있나?


여기서 말하는 'writer'는 '그냥 글을 쓰는 사람'이지 '작가'가 아니지 않나?

적어도 우리말로 '작가'는 '프로페셔널'하게, '직업적으로' 글을 쓰는 사람을 일컫는다.

하긴, SNS에 글쓰면서 자칭 '작가'라 하는 이들이 너무 많아 문제긴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 책의 한글 번역본은


누구를 상대로 쓴 글인지,

저자가 무엇을 말하고 싶어하는지,


어쩌면 모든 책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을 놓쳤는 지도 모른다.


첫단락에서부터.


원서가 참, 좋은 책인 것 같아 길게 떠들었다.

원서를 사서 읽어보면, 떠들 게 더 많아질 것 같아 걱정되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1월 28일, 조력자살 - 나는 안락사를 선택합니다
미야시타 요이치 지음, 박제이 옮김 / 아토포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고 싶어서 죽기로 하였습니다. 살기, 죽기. 반대급부의 극치점에 선 두 단어가 만났다. 그 만남의 교차점에 서 보았다. 이런. 무슨 말인지 체감된다. 나도 꽤 살았나 보다. 이게 말장난이 아니라 ‘진심‘임을 알아보다니. 여기 스민 ‘절박감‘을 알아보다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위반하는 글쓰기
강창래 지음 / 북바이북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 책으로도 좋지만 책속의 책추천이 보물같다. 

좋은 책을 알아보는 눈. 

그런 눈은 특별한 게 아니다. 

그저, 책을 많이 담고 있는 눈일 것이다. 

이 책은 그런 눈을 가졌다. 

읽기만 해도 눈이 보배로워졌다. 


강창래.

명성은 증명되었다.

글쓰기란 말을 글로 받아 적는 것이 아니라 상황을 글로 번역하는 것이다. - P50

어떤 글을 쓰겠다고 마음을 정했다면 무엇보다 먼저 그 분야의 ‘언어‘를 익혀야 한다. 언어의 의미와 사용법을 통해 표현 형식에 익숙해져야 한다.

글로 써야한다면 사정이 달라진다. 독자가 상황을 그려 낼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그것을 표현해 줄 적절한 형용사, 부사, 동사도 알아야 한다. 마지막으로는 그 낱말들을 효과적으로 배열할 줄도 알아야 한다. 글에는 소리나 몸짓이 조금도 담기지 않기 때문이다. 말과 글은 그만큼 다르다. 그러니 말하는 것처럼 글을 쓰면 된다니, 그럴 리가 없다. - P54

정교한 언어가 없다면 그런 복잡한 생각을 해낼 수가 없다. 생각하면서 드러낼 것과 드러내지 않을 것을 가리는 것도 ‘언어로 생각한 결과‘다. - P61

긴 이야기는 미래를 짐작하기 위한 시뮬레이션, 즉 가상현실이다. 앞에서 말했듯이 인간 언어의 특징은 ‘없는 것‘을 있게 만드는 것이다. 있는 것을 묘사하거나 그대로 드러내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다. - P62

인간의 언어는 있는 것을 묘사하고 설명하기보다는 없는 것을 있게 만드는 데 훨씬 더 특화된 마법의 도구다. - P6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평의 고독
권성우 지음 / 소명출판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는 읽어야 할 책. 비평계의 보석이라는 평은 오래전부터 들어왔다. 아직 읽을 깜냥이 안돼서 꾸욱, 참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흔적을 남기는 글쓰기 - 쐐기문자에서 컴퓨터 코드까지, 글쓰기의 진화
매슈 배틀스 지음, 송섬별 옮김 / 반비 / 2020년 8월
평점 :
절판


원제가 'Palimpsest: A History of the Written Word'이다.


쓰인 글들의 역사


한글 번역본 제목은 

'흔적을 남기는 글쓰기'이다.


쓰인 글들의 역사

흔적을 남기는 글쓰기


둘을 놓고 느껴보자.


쓰인 글들의 역사---------과거 지향적이다

                             (지향한 과거를 기반으로 미래가 품어지는)

흔적을 남기는 글쓰기------미래 지향적이다                            

                         

쓰인 글들의 역사--------'과거'의 글쓰기를 천착하자는 소리같다

흔적을 남기는 글쓰기--------글쓰기는 '흔적'을 남기니 앞으로 잘 쓰자는 소리같다. '글쓰기'로 끝났으니, 끝난 곳에 시점도 맺히는 법.


아닌가?


한글 번역본 제목을 보고는 '글쓰기 작법서'인 줄 알았다.


책은,

제목에서 눈길도 끌기 위해,

'정보'와 '호소'가 적절히 병존되어 '당김'의 양극이 되어 주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흔적을 남기는 글쓰기'는 너무 당연한 그것들의 한 조각만 주었다. 당연해서, 다 아는.


글쓰기가 흔적을 남기는 걸 모르는 이가 있나.

최소한 '흔적'의 수식어라도 줬어야 한다.


원제목의 'palimpsest'란 매력적인 단어를 내버린 게 몹시 아쉽다.

좀 어려운 단어라 한글로 살리기가 쉽지는 않았을 것을 이해는 한다.

그래도 포기하기엔 너무 아깝다.


*******************************************************

(김재혁/독어독문과 교수)

‘팔림프세스트 Palimpsest’라는 낱말이 있다. 그리스어의 ‘Πάλιν(palin)’ 즉 ‘다시’라는 말과 ‘ψάειν(psaein)’ 즉 ‘문지르다’ 또는 ‘문질러 벗겨내다’라는 말을 합쳐서 만든 복합어이다. 우리말로는 재록양피지라고 한다. 양피지가 귀하던 시절에 앞사람이 써놓은 글을 지우고 거기에 자신의 글을 적는 행위에서 나온 표현이다. 대체로 신약성경이 양피지로 많이 제작되었기 때문에 성경의 글귀를 지우고 거기에 성직자가 자신이 설교할 내용을 적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현재의 과학기술로 이 양피지를 비추어보면 거기에 숱하게 쓰고 지운 흔적이 한꺼번에 다 드러난다. 영국의 작가 토마스 드 퀸시는 인간의 기억력을 이와 같은 재록양피지에 비유했다. 글쓰기는 다른 것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는 뜻이다. 서양이나 동양의 많은 시문학 중 전대의 것 없이 완전히 새롭게 태어난 것은 없다.


출처 : 고대신문(http://www.kunews.ac.kr)

********************************************************


팔림프세스트로 유출해 볼 수 있는 정보와 지식과 담론은 무한해 보인다. 

원저의 제목 중심에서 보이는 것은, '겹쳐 쓴' 글쓰기. 

원저자는 '겹쳐 씀'을 통해 글쓰기의 영향력과 역사를 천착한 듯 보인다. 


흔적을 남기는 글쓰기


그렇다면, 그곳에 덜 닿는 느낌이다.

원저자가 말하고자 목에 힘줄 세운 그곳에.


팔림프세스트: 겹쓰인 글쓰기의 역사 (원제목을 거의 살려서)


팔림프세스트: 글쓰기, 그 겹쓰임의 역사


뭐, 이런 제목이 조금 더 당겨지지 않을까.

사람들 생각은 다 다르고, 그저 나같으면 그렇다는 소리.


요즘 들어 비로소 드는 생각 중에,

가급적 원서 제목을 그대로 살리는 게 오히려 더 당겨지더라,

하는 게 있어서.


영화만 해도, 이젠 원제목을 굳이, 우리말로 옮기지 않는다.

대부분 그대로 쓴다.


영어 단어 하나로만으로 된 영화제목이 부지기수인 헐리우드 영화를

그냥 그대로 그 단어 발음대로 우리말 영화제목으로 쓴다.


Ghost=======사랑과 영혼


굳이 이렇게 바꾸는 건, 30년 전 정도에 좋았던 트렌드다.


이제, 'Ghost'는 'Ghost'라야 더 좋다.

그저, 내 생각이긴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