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픈 데가 점점 늘고 있다. 몇 년째 앓아온 엘보의 통증은 사라지지 않고, 최근에 받은 건강검진에서 콜레스테롤 수치가 위험 경계에 이르렀다. 평생 많이 살쪄본 적이 없고 기름진 음식을 그렇게 좋아하지도 않는 나로서는 그 결과를 납득할 수 없었다. 아픈 증세가 생길 때마다 병원에 달려가면 의사는 항상 똑같은 말을 한다.
“이제 그럴 때가 되었어요. 그냥 같이 갈 수밖에 없어요.”
병원은 아픔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 고통을 치유해주는 곳인데도, 나의 아픔은 나이 탓으로 돌려지고, 더 심한 고통의 환자들에게 밀리고 만다. 암이 아니어서, 더 급한 병이 아니어서 다행이지만, 내가 겪는 고통도 힘든 건 사실이다.
[매는 공유되지 않았고 소통되지 않았다. 모든 매는 각자의 매였는데 그랬기 때문에 매는 더욱 육신에 사무쳤다. 그 캄캄한 단절은 신의 부재 증명이었지만, 다시 캄캄하게 뒤집히는 고통이 생명을 증거하는 사태는 신의 존재 증명인 듯도 했다.
-김훈, ‘흑산’ 중에서]
단지 천주를 믿었다는 이유로 온갖 매를 감당했던 선조들처럼, 내 육신의 고통 역시 그 누구와도 공유되지 않는다. ‘깃털 담요 위에 누워서도 불편하여 몸을 뒤척이며 고통을 막아 보려는 병든 여인-신곡, 연옥, p57’이라는 단테의 표현처럼 아픔은 각자의 것이다. 받아들이자, 감수하자, 이 보다 더한 고통을 겪는 사람도 많다고 나를 위안하면서도 난 의사가 나에게 무심코 던지는 그 말들이 싫다.
‘스트레칭이면 충분하다’는 아침, 저녁, 5분, 10분 또는 20분의 분량으로 스트레칭의 기본자세를 알려준다. 동작이 별로 어렵지 않고, 쉽게 따라 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설명이 되어 있다. 피로, 어깨 통증, 소화불량, 변비, 신경통 등에 효과가 있는 밴드 스트레칭에 대한 부록도 있다. 결국 건강은 내가 챙겨야하기에 많이 걷고, 몸의 활동성과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하루에 한 번이라도 이 책을 보며 동작을 따라할 결심을 했다. 스트레칭을 위해 폼 롤러와 요가 패드도 구입했다.
2년간의 코로나 시국을 보내며 난 남들보다는 덜 힘들었던 것 같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열심히 걸었기 때문이고, 나에게 책이 있어서일 것이다. 책이 나를 외롭지 않게 했고, 나의 노년에 대한 걱정을 덜게 만들었다. 더 나이 들어 꼬부랑 할머니가 되어도 책을 놓고 싶지는 않다. 그러기 위해서는 건강해야만 한다.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1권에서 화자인 나는 ‘우리 힘이 미치지 못하고, 우리 지성의 영역 밖에 있는 과거’를 ‘홍차에 적신 마들렌’ 한 조각으로 소환해내고, 잃어버린 자아를 찾아 나선다.
단테는 신곡-지옥편, 21곡에서 마귀 바르바리치아의 방귀 묘사로 22곡의 캄팔디노 전투를 회상한다. 지옥의 여덟 번째 고리인 말레볼제에 내려간 단테는 무수히도 많은 뚜쟁이와 매춘부가 서로 엇갈리며 도는 현장에서, 1300년에 순례자들이 산피에트로대성당을 향해 폰테산탄젤로로 밀려들며 인산인해를 이루는 광경을 떠올린다.(‘단테 ×박상진’ 중에서)
책을 읽으며, 책 속에서 어떤 계기와 이미지, 소리, 냄새로 소환된 과거의 기억들에 의해 나 역시 과거 속으로 들어갈 때가 있다. ‘잃어버린 시간들’에서 화자는 어린 시절 콩브레에서 보냈던 기억을 회상한다. 마르셀이 들려주던 여러 이야기들을 읽으며 나도 과거가 생각났다. 마르셀의 콩브레와 나의 과거가 교차되는 느낌이었다. 특히 마들렌과 홍차 부분에서 엄마가 떠올랐고, 그녀가 해주던 음식, 특히 봄에 먹던 음식의 맛에 강하게 이끌렸다.
봄에 생멸치가 나오면 엄마는 그것을 궤짝 채로 사와 멸치 액젓을 담그고, 된장을 풀어 멸치를 넣은, 국물이 많이 없는 찌개도 만들어 주셨다. ‘남해’의 대표음식이기도 한 멸치쌈밥을 그 곳으로 여행을 가서 먹어봤지만 엄마가 해준 그 맛이 아니었다. 작은 바다를 낀 지방의 소도시에서 자란 나는 생선도 좋아한다. 더운 여름철이면 엄마는 장어를 삶아 뼈를 다 발라내고, 거기다 갖은 채소를 넣어 보양식인 ‘장어국’을 만들어주셨다. 그릇에 펄펄 끓는 장어국을 담고 그 위에 꼭 방아잎을 얹어 먹어야 한다. 방아잎의 향이 약간 느끼할 수 있는 장어의 맛을 깔끔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이번 어버이날에 친정에 다녀왔다. 나이가 많으신 친정 엄마와 시어머니 두 분 다 계시지만 남편과 나는 각자의 엄마를 챙기기로 했다. 엄마는 지방에서 결혼을 하지 않은 언니와 살고 있다. 연로해지시고, 기억마저 거의 잃어가는 엄마는 이제 더 이상 나를 힘나게 하는 맛있고, 건강한 음식을 해주시지 못한다. 그래서 요즘은 언니가 그 역할을 대신한다. 나를 위해 멸치쌈밥과 장어국을 끓여주고, 서울로 가져갈 장어국과 해산물을 얼려 놓는다. 우리는 4일 동안 엄마를 모시고, 산으로 바닷가로 다녔다. 엄마는 무조건 걸어야 하기에 힘들다 해도 억지로 걷게 한다. 이번에 간 바다엔, 바다 위로 긴 데크길이 놓여 있었다. 엄마와 함께 바다를 보며 많이 걸었다.
[아들아, 창조주나 창조물은 사랑이 없었던 적은 없으니, 알다시피, 자연이나 영혼의 사랑이다. 자연의 사랑에는 언제나 오류가 없으나, 영혼의 사랑은 그릇된 대상 때문에, 또는 너무 넘치거나 모자라서 잘못될 수 있다.....
따라서 사랑은 너희에게 온갖 덕성도 심어 주고, 벌 받아 마땅한 모든 악습도 심어 준다는 것을 너는 알 수 있으리라.
-연옥, 제17곡, p147~148]
단테의 신곡-연옥편에서 길잡이 베르길리우스는 단테에게 사랑의 본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인간 고유의 이상적인 사랑은, 인간의 자유의지로 추구하는 것이라고 한다. 세상의 모든 곳엔 사랑이 필요하고 온갖 종류의 사랑이 있다. 사랑을 주고, 받고, 그것을 위해 추앙하고, 좌절하기도 한다.
기억을 잃어가지만, 육신의 힘이 점점 없어지지만 내 엄마의 사랑은 자식에 대한 끝없고 끈질긴 사랑이다. 남편을 대하는 나의 사랑엔 측은지심이 있고, 딸아이에 대한 사랑은 욕심과 기대, 포기가 있다. 요즘 내가 즐겨보는 ‘뜨거운 싱어즈’는 나를 계속 울게 한다. 배우들이 부르는 노래에 담긴 의미들이 좋아 눈물이 난다. 그것은 세상과 타인에 대한 나의 사랑이 많아 그럴 것이다.
지옥, 연옥, 천국을 차례로 가며 표현되는 단테의 사랑은 다 다르다. 어떤 사랑은 이해가 잘 되지 않지만, 그것이 무엇이든 사랑이라는 건 무조건 좋다. 신을 향한 신성한 사랑은 겸허해서 좋지만, 나의 자유의지로 행할 수 있는 사랑은 풍부해서 멋지다. 그렇게 사랑은 표현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