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싱겁다’는 말이 있다. 뭔가를 시도할 때마다 어설프고, 말이나 행동이 상황에 어울리지 않고 엉뚱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다. “혼종과 변종이 그득한 21세기 한국 만화계에서 고고(孤高)하게 왕도를 걷는 정통파 개그 만화”이기를 주장하는 『익명의 독서 중독자들』에게서 받은 느낌이 바로 ‘싱겁다’는 것이었다. 인물의 설정과 연결이 다소 과장되었고, 만화 특유의 개그적 속성마저 유치하다. 인용된 책들이 어려워 약간의 허세도 느껴졌다. 하지만 이 책은 독서 중독자들의 책에 대한 사랑과 원칙이 있어 흥미로웠다. 그 누구보다 나 자신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아 반가웠다.
사람은 각자 살아가는 환경과 태도와 성격이 다르다. 그러나 책이라는 것을 매개로, 특히 같은 책을 읽은 후, 독서 모임에서 만나면 일체감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밑줄 그은 부분이 다 다르고, 감동과 비판적인 생각의 포인트가 틀리지만, 일단 한 권의 책을 읽어내고, 그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는 사실 자체가 한 배를 탄 기분이 드는 것이다. 이 책 속에 있는 독서 중독자들과 나란 사람은 그런 면에서 닮았다. 하지만 이 책에서도, 알라딘 서재에서도 화수분처럼 쏟아지는 책의 목록과 글들은 똑같이 나를 좌절하게 한다.
독서 모임에 참여하기를 원하는 ‘노마드’는 매번 쫓겨난다. 고품격 독서 모임에서 추방당하지 않을 방법은....
1, “자기개발서에 빠져 살고 있습니다(p17)”라고 말하지 않기
2, 다시 돌아온 노마드는 “자기개발서가 아닌 인문서를, 그중에서도 가장 먼저 역사책을 읽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영국의 사학자 E. H. 카는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말했죠.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대화’라고.” -p62
그는 또 쫓겨난다. “역사란 역사가와 그의 사실들의 지속적인 상호작용 과정, 현재와 과거 사이의 끊임없는 대화(p63)”라고 정확하게 말하지 않았다.
3, 불굴의 의지로 다시 돌아온 노마드는 탁자위의 마들렌을 보며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 보면....(p69)" 이라고 말하자 말자 밖으로 내동댕이를 당한다. 이유는 피에르 바야르의 ‘읽지 않은 책에 대해 말하는 법’을 참조하시길.
4, 포기할 줄 모르는 노마드는 당당하게 돌아온다. 아날 학파, ‘경제사회사 연보‘, 랑케 역사학, 20세기 역사학, 페르냥 브로델, ’지중해’, ‘물질문명과 자본주의’,등을 읽고 공부한 그는 다시 등장해 그간의 성과를 이야기한다. “다들 항문학파 아시죠?”(p155)
그리고 퇴장 당한다. 이제 막 역사책을 읽기로 작정했다면 윌리엄 맥날의 ‘세계의 역사’, 또는 지오프리 파커의 ‘아틀라스 세계사’로 시작하는 것이 좋단다.(p158)
5, 여러 번 거부당했지만 노마드는 달라졌다. ‘역사를 위한 변명’을 읽고 있고, 희망과 각오를 적는 아침 일기를 쓰고 언젠간 모임에 들어갈 수 있다는 의지를 불태운다.

책상위에 있던 이 책의 제목을 보고 딸아이가 나에게 말했다.
“익명의 독서 중독자들? 엄마잖아....”
딸아, 고마워, 그렇게 말해줘서.
아버지 제사가 설 열흘 전에 있다. 엄마와 언니가 고향에서 서울로 올라왔고, 두 사람은 오빠 집에서 제사를 마치고 우리 집에 며칠 머물다 다시 설을 쇠러 오빠 네로 갔다. 치매를 앓고 계신 엄마는 나흘 동안 우리 집에 머물렀다는 기억을 금방 까마득히 잊어버리셨다. 엄마보다 연세가 많으신 시어머니는 거동이 불편한 점 빼고는 건강하시고 정신도 온전하시다. 하지만 당신이 가진 것보다 언제나 친정 엄마의 거동의 자유로움을 부러워하신다. 먼 훗날, 나에게 기억의 멀쩡함과 거동의 자유로움 중 하나를 선택할 기회가 주어진다면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내가 읽었던 무수한 책들의 기억이 모조리 없어진다면 어떡할까? 그저 익명의 독서 중독자였다는 사실만으로 나 자신을 수용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지 아득하다. 독서가 나의 즐거움이자 보람이라면 혹시 내 인생에서 독서 때문에 놓친 부분은 없는지도 두렵다. 인생을 더 깊이 있고 따뜻하게 살 수 있었는데도 독서 때문에 그런 기회를 잃어버리지나 않았는지 모르겠다. 산다는 건 갈수록 어렵다.

그나저나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올림픽엔 별 관심이 없는데 요즘 나의 독서 방해자는 넷플릭스이다. ‘익명의 독서 중독자들’의 맨 마지막 두 페이지에는 이 책을 쓰는데 참조한 책 목록이 가득하다. 언제나 똑같이 내가 읽어 본 책이 거의 없다. 2월엔 정신 차리고 책을 읽고 글을 써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