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인 - 魔人, 판타스틱 클래식 01
김내성 지음 / 페이퍼하우스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1930년대 우리사회상을 배제하고서 이 작품을 감상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일제 식민지하에 시름이 깊던 시회였고, 문맹율은 50%에 이르렀으며, 순수문학이외의 장르는 예술적 지위를 얻기가 어려운 문단의 편협성과 아직은 과학적 지성이라는 근대 이성주의와 합리주의가 확산되지 못해 추리소설이 뿌리를 내리기에는 미흡한 시기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고서야 비로소 서스펜스나 추리의 묘미를 손상시키면서까지 추리소설의 작품에 왜 신파조의 문체와 구구절절한 배경과 사건의 설명을 하여야 했는지 작가적 고뇌를 살필 수 있게 된다.

한국 최초의 본격적인 장편추리소설이라 하는 이 작품의 문학사적 위치를 떠나서도 작품의 전개속도와 스릴, 복선, 반전의 묘미는 물론이거니와 상징으로서의 은유적 몇몇 소재와 장치들은 오늘의 작품들에 비해서도 손색이 없다. 또한 오늘의 시선에서 다소 진부할 수도 있을지 모르나 김중배와 심순애, 그리고 이수일식 남녀관계를 떠올리게 하는 당 시대의 시민적 문화코드를 읽을 수도 있으며, 바로 이러한 시대적 낭만성이 작품의 재미를 배가시키기도 한다.

세계적 무희인 절세가인(絶世佳人), 주은몽이란 여성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연속되는 살인사건과 주변의 모든 인물이 작품의 종반에 치달을 때까지 어느 누구도 범인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는 구조는 그야말로 순식간에 작품을 내쳐 읽게 만든다. 범인인가 하면 그가 살해당하고, 실체가 드러나지 않는 ‘해월’로 지칭되는 살인귀의 신출귀몰은 독자들의 추리력을 이내 무력화시키기도 한다.

가장무도회라는 당시로서는 시대를 앞선 이벤트로 첫 장부터 추리적 장치에 독자를 긴장하게 한다. 젊은 미모의 무희와 50대 거부‘백영호’와의 혼인을 배경으로 옛 애인인 화가 김수일과 주은몽과의 관계가 드러나고, 이내 김수일의 묘연한 행방과 최고의 탐정 유불란의 등장, 급작스런 거부 백영호의 살해와 거듭되는 백씨 일가의 죽음은 살인마의 종적을 알아차릴 수 없을 정도로 복잡하게 주변 인물들과 얽히면서 이야기의 재미에 푹 빠져들게 한다.

일종의 복수극이라는 형식을 띠고 있지만, 거부의 죽음으로 인한 막대한 재산에 대한 탐욕 또한 살인의 동기로 작동하는 것은 오히려 진부함의 역설적 충격으로 의외의 재미를 선사한다. 경찰, 탐정, 변호사가 사건 수사의 전면에 나서는 모습은 사실 이국적이기까지 하다. 그러나 삼각관계와 감성에 휘둘리는 탐정, 세세한 심리와 인물묘사가 더해져 추리적 상상력을 손상시킨다거나, 주은몽의 살인미수로 시작된 사건이 주변인물 들의 피살로만 진행되는 구조는 사실 어지간한 추리소설의 독자에게는 흥미를 상실시킬 수도 있다. 그럼에도 소설의 배경인 1930년대 명수대와 광화문, 태평로, 홍제동 등 서울(경성)을 소설 속에서 느끼는 흥미로움을 찾을 수도 있고, “과학을 믿는가” 하는 탐정 유불란과 임경부와의 대화에서 탐정추리소설의 당시 독서시장 저변에 대한 고뇌도 읽을 수 있다.

우리의 장르문학의 진정한 출발이 되고, 소외된 문학으로서의 추리소설분야를 외롭게 열어나간 선구자로서의 작가 김내성 선생의 작품을 70년이 지나 복원판으로 이렇게 접할 수 있게 된 것은 고마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오늘의 시각으로, 아니 일제식민지하의 문학에 대한 작품의 비판으로서 많은 잣대를 들이댈 수 도 있다. 그러나 우리 문학시장의 고루함과 편협함, 독자층의 취약성, 추리문학의 바탕인 과학의 불모지에서 선생이 얼마나 분투하셨는지, 또한 고뇌하고 있었는지를 작품 곳곳에서 읽을 수 있다.‘탐정폐업’을 선언하는 작품의 마지막장은 선생이 당시의 문학풍토에서 추리문학을 이어나가기가 얼마나 힘들었는지를 말하는 것 같아 뭉클한 감정이 일기도 한다.

“이번 사건은 나에게 가장 귀중한 교훈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나에게 탐정의 소질이 없다는 것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그러나 나는 그것을 슬퍼하지 않습니다.~탐정의 혈관에는 강철(鋼鐵)이 돌아야 합니다.”  - P475 본문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야성적 충동 - 인간의 비이성적 심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조지 애커로프, 로버트 J. 쉴러 지음, 김태훈 옮김, 장보형 감수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시장만능주의 자본주의 경제이론이 오랫동안 지구촌의 경제를 장악해 왔다 해도 지나친 표현은 아닐 것이다. 1960년대 ‘밀턴 프리드먼’의 ‘자연실업율’이 각광을 받기 시작한 이래, 모든 경제적 행동은 합리적으로 이루어지며, 시장은 자율적으로 효율성과 안정성을 찾는다는 신념이 경제정책을 지배해 왔다.  이렇듯 ‘애덤 스미스’에 이은 신자유주의 경제노선의 경제적 신념은 옳은 것인가? 다시말해, ‘보이지 않는 손(Invisible Hands)'에 의한 무규칙 경기의 효율성은 신뢰할 만한 것인가?

이에 대해 ‘애커로프’와 ‘쉴러‘는 오늘의 표준경제학, 특히 거시경제이론의 이러한 전제에 이의를 제기한다. “실제로 사람들은 비경제적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그 동기는 언제나 합리적으로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오히려 경제적 결정은 “행동에 대한 즉흥적인 요구”의 절차이며, 이러한 비경제적 동기로서 인간의 ’야성적 충동(Animal Sprit)'이 주된 요인으로 작동한다는 것이다.

자본주의에 내재된 불안정성을 설명하는 ‘케인즈(John Maynard Keynes)’의 야성적 충동을 이 저술은 다섯 가지의 속성으로 설명하고 있다. 경제적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이 다섯 가지 형태의 야성적 충동이 실제 경제전반을 어떻게 위협해 왔는지, 그래서 야성적 충동을 반영하지 않는 오늘의 경제모델이 진정한 문제의 근원을 어떻게 가리고 있는지 보여준다. 자신감, 공정성, 부패와 악의, 화폐착각, 그리고 이야기로 구분하여 설명되는 야성적 충동은 이성적이고 합리적 결정의 절차를 따른다는 표준경제이론의 오류를 증명한다.

미국의 1890년대 불황이나, 1930년대 대공황의 원인을 주식시장의 붕괴와 금본위제 붕괴로 인한 통화에 대한 신뢰의 상실로 진단하고 곧 만연한 ‘자신감’의 상실로 경기침체를 장기화하였다고 분석하고 있다. 또한 경제적 동기보다 우선하는 ‘공정성’의 행동경제학적 사례를 통한 증명과, 1990년, 2001년, 2007년 12월 , 세 번의 미국 경기침체의 원인이 된 부패스캔들인 저축대부조합, 엔론사 회계부정, 서브프라임모기지 사건이 ‘부패’에 대한 사회적 태도와 그 만연정도가 경제적 변동에 직접적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준다. 즉, “경기순환이 올바른 행동원칙에 대한 개인적 의지와 약탈적 행동의 변화, 약탈적 행동을 할 기회의 변화와 연계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한편, 거시경제학의 중요한 가정의 하나로서 “사람들이 물가상승율의 베일을 꿰뚫어 본다.”는 것은 극단적 가정으로 타당치 않으며, 실제 임금계약, 부채계약, 회계부분 등 대부분의 경제행위에서 명목화폐와 실질화폐로의 이행과정상 누락, 즉 ‘화폐착각’이 간과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더구나 화폐베일은 실제거래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밀턴 프리드먼’의 ‘자연실업율’이론을 비판하고, ‘모딜리아니’와 ‘리처드 콘’의 “주가는 물가상승율을 인식하지 못한다.”는 실험결과를 포함해 화폐착각의 무수한 실물경제사례를 설명한다.

이와 같은 야성적 충동 이론을 배경으로 저자들은 오늘의 지구경제가 처한 상황을 진단하고 이들 문제에 야성적 충동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 8가지 질문과 해답을 구성하고 있다. 경제적 불황의 경제사적 고찰을 통한 경제주체들의 자신감 상실의 예, 현재의 경기침체에 대한 가장 압도적인 위협 요인으로서 ‘신용경색’ 진단과 함께 공정성, 부패, 자신감이란 야성적 충동의 모습들을 열거하고 있다.

특히, 우리의 경제정책 측면에서 관심을 집중시키는 부분으로서 중앙은행의 경제에 대한 통제권 측면과 금융위기에 필요한 조치로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의 다양한 도구와 기관에 대한 제안 등은 유용한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시장 전체주의적 기조 속에 은행, 건강보험 등 각종 공공부문 등의 무차별적 민영화를 외치는 신자유주의자들을 맹목적으로 추종하는 한국경제의 일부 원숭이들에게 미국의 은행들이 새로운 정부후원기업으로 통합이 고려되고 있는 등 공기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는 미국의 거시경제정책은 중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보여 진다.

“지나치게 ‘합리적 기대’와 ‘효율적 시장’의 방향에 경도되어 경제위기의 기저에서 작동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역동성”, ‘야성적 충동’을 반영하지 않는 경제모델은 이제 더 이상 오늘의 경제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게 한다는 것이다.

무수한 파생금융상품, 금융시장의 변화를 전통적 규제로는 제어하지 못하는 상황에 처해있다. 그럼에도 어느덧 정부가 규칙을 정하고 심판으로 개입하는 경기에서만 시장의 안정과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는 교훈을 잊어버렸다는 것이다. 아무런 제재가 없는 자본주의 경제는 지구촌 전체에 불어 닥친 금융위기의 원인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경제적 결정은 합리적이지도 이성적이지도 않다는 것이며, 야성적 충동이 작동하는 경제적 결정의 균형과 안정, 효율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개입을 통한 공공선(公共善)이 발휘되도록 통제되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행동경제학 즉, 인간의 야성적 충동을 반영한 새로운 경제모델의 수립과 반영을 요구하며, 은행의 공기업화 등 정부의 적극적 개입과 공공투자의 경제적 선으로서의 주장을 담고 있는 이 저술은 ‘공정성과 부패’의 ‘야성적 충동’을 간과할 수 없는 한국경제에 있어서는 더더욱 중대한 시사를 안겨준다. 대중적 이해를 위해 쓰인 저술인 만큼 수월하고 평이(平易)한 문장으로 케인즈 경제학의 새로운 해석은 물론 오늘의 위기 경제를 진단하는 훌륭한 시선을 제공해 주는 ‘신 케인즈 경제학’의 걸작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50인의 심리학 거장들
Noel Sheehy 지음, 정태연.조은영 옮김 / 학지사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인간 심리에 대한 호기심은 아마 인류의 영원한 주제일 것이다.  유아의 정신 발달에서부터 이성의 심리상태, 타인의 행동양식, 개인의 특질, 사회 및 조직 행동, 소비자 행동에 이르기까지 일상과 관련한 자신과 타자에 대한 이해는 삶의 긴장을 완화하고, 원활한 관계의 형성, 발전적 사회의 구현이라는 측면에서 유용한 수단이기에 그러할 것이다.

그렇다보니 문학작품에서, 인류학, 사회학 등 여타 인문학 분야에서, 기업 경영은 물론 정치⋅경제 분야에서 심리이론이나 심리학적 배경을 발견하는 것은 더 이상 낯선 현상이 아니며, 현대사회의 복잡화와 인간소외는 그 어느 시대보다 심리학의 도움을 요구하고, 이러한 요구는 무수한 대중심리학서의 출간으로 우리에게 다가서고 있다.

그러나 비전문가인 대중독자들이 해당 심리학 관련도서들의 이론적 배경이나 당해 이론의 심리학적 위치, 혹은 비판 이론이나 현상의 유무, 나아가 관련 학자들과 심리학계에서의 견해와 같은 폭넓은 이해를 지니기에는 그 범주가 너무도 광대하여 감히 심리학 전체를 조명할 엄두를 내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50인의 심리학 거장들>은 바로 이러한 광활한 심리학의 개관을 이해하는데 효율적인 구성을 하고 있다.

일례로, ‘사회학습이론’으로 저명한 ‘앨버트 반두라’의 경우, 그의 학문적 성장배경에서부터, 스승인 ‘벤튼’, ‘캔터’의 상호행동주의를 비롯하여, 학습이론가 ‘스펜스’, ‘로저스’, ‘파르쿠하’ 등 그의 이론과 연관 들을 파악케 하고, ‘자기 효능감 이론’에 대한 핵심적 설명, 주요 저술의 소개로 현대 심리학에서의 위치와 이론 간의 영향관계를 전체적으로 조명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또 다른 인물편인 ‘고든 윌러드 올포트’의 경우 그의 ‘성격 5요인설’을 비롯한 인간 특질에 대한 연구내용의 설명은 물론 동문수학한 ‘스탠리 밀그램’, ‘브루너‘, ’메클렌드‘를 비롯, ’쾰러‘나 ’베르트하이머‘ 등 게슈탈트 심리학파와의 조우 등을 통한 그의 이론적 토대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심리학 계보로까지 안내하며, 심리학 이론들의 유관적 발전을 이해케 하기도 한다.

이처럼 이 저술은 현대 심리학에 있어, 중추적인 이론을 구축한 50인의 인물들에 대해 그들 저마다의 주요 심리학 연구 성과와 핵심이론의 설명은 물론 스승과 동료, 제자, 가족관계 등 인적 네트워크의 소개로 서로 연관 짓지 못하던 학자들 간의 이론을 연결 지어 이해할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여준다.

실험심리학, 생리심리학, 발달심리학, 임상심리학, 사회심리학, 문화심리학 등 오늘의 심리학 유형들의 기반이 된 학자와 연구, 이론에 대한 기초적 지식은 물론, 다양한 심리학 용어에 대한 이해까지 일석삼조의 저변(底邊)적 지식을 획득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따라서 심리학 공부에 입문하는, 또는 학문 간의 통섭에 관심을 가지는, 그리고 다양한 분야의 저술에 침투해 있는 심리학 기반의 지식을 필요로 하는 독자들에게 효율적이고 훌륭한 심리학 안내서이자 가치 있는 심리학 참고서가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대어 - 개정판
요시다 슈이치 지음, 김춘미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세상은 점점 사유를 잃어가고 감각적 에고와 타자에 대한 연민을 상실해가고만 있는 듯하다. 세 편의 중단편으로 구성된 이 작품집에서 역시 왠지 모를 황폐함과 애초 진실이란 존재치 않는 피폐화 된 쓸쓸한 세상을 느낀다.

어린 딸아이를 가진 전직 술집여종업원 ‘마미’, 의붓아비가 데려왔던 옛 형제 ‘미쓰오’는 ‘다이스케’와 어떠한 혈연관계도 형성하고 있지 못하지만 한 집에 동거하는 가족의 모습을 하고 있다. 외삼촌의 공사업체에서 건설노동으로 생활하는 ‘다이스케’는 이들의 가장으로 친절과 관심을 보내지만 호응을 얻어내거나 공감의 지지를 받지 못한다. 자기 감정에만 철저한 둔감함, 무지와 무감각이 만들어내는 소통의 어긋남이다. 그래서인지 주인공의 그 무신경에도 불구하고 쓸쓸하고 외로움에 눌린 그의 뒷모습이 작품 내내 측은하게 비쳐진다.

15세의 소녀를 성적으로 탐하고서도 죄의식이나 수치감이 없는 녀석, 오히려 이결과로 허드레 공사일로 쫒겨난 조치를 부당하게 생각하는 양태나, 자기감정 표현에 여과란 없는 무분별함, 탁아소 인질사건을 바라보는 표피적 인식능력 등은 선과 악이 쳇바퀴처럼 연속되는 세계, ‘아쿠다가와’의 소설 ‘라쇼몽(羅生門)’의 노파와 하인으로 오버랩되어 기묘한 여운을 던져준다.

한편, 장기입원중인 할아버지의 병원에 병원비를 납부하기위해서만 병원을 방문할 뿐, 할아버지의 입원실을 찾지 않는 ‘나’(소스케)란 인물은 어떤 도덕적 친밀감이나 정감을 발견 할 수없는 인간망종이다. 단지 감각만이 지배하는, 자기 욕구의 충족이란 단선적인 의식 이외에는 별다른 양식을 지니고 있지 않다. 친구의 애인과 비교되는 자신의 여자 친구 ‘지사토’에게 완두콩통조림을 던져대는 폭력의 모습에서 그악스런 탐욕을 본다. 그리곤 자신의 여자 친구와 잠자리를 같이했다는 친구의 ‘정직한’ 고백, 친구의 애인에 대한 노골적이고 집요한 섹스의 요구는 성이란 더 이상 이 세계에선 사랑과는 무관한 어떤 내재적 가치도 없는 듯하다. 그럼에도 여자 친구에 대한 ‘용서’의 갈등은 아주 위선과 모순, 아니 아주 낯설게만 보인다.

또 한편의 주인공 ‘닛타’ 는 자기감정의 유희(遊戱)만을 즐기는 이기적 인간의 전형이다. 여름휴가기간 찾은 해변가 민박집에 아르바이트를 얻는다. 미모의 민박집 안주인의 머릿결을 쓰다듬고, 자신의 벗은 가슴에 여인의 손을 완력으로 갖다 대는 성적유혹을 장난으로 치부한다. 그녀의 성적 긴장을 즐기는 몰염치와 사악함.

순간적이고 일회적인 감정으로 여인을 꾀어내곤 도쿄시내의 중심가에 버리듯 내려놓고 진심 없는 약속을 외친다. 직장에선 실수한 동료의 업무를 차지하곤 경쟁시장에서의 비열한 승리에 평화를 느낀다. 타인과 세상의 온갖 대상에게는 아무런 동정심도 책임감도 연민도 없다. 메마른 근대의 이원적이고 침탈적인 자기중심적 이기주의 팽배함을 목격케 된다.

이렇듯 세 편의 작품에 등장하는 주인공 다이스케, 나(소스케), 닛타와 같은 오늘의 세대가 보여주는 모습은 자기본위(自己本位)적이며, 감각적 욕망을 쫒고, 표피적 인식에 머무는, 그래서 타인과 세상에 대한 이해를 갖지 못하고 소통이 좌절되는 인간들이다. 자신만은 상처받지 않으려는 자기애의 다른 표현인 친절함, 성적배반에 분노를 보이거나, 삼주일이 지나 약속장소를 지나치며 하는 연상도 자기연민이듯이, 타자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포함하는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의 결핍은 궁극적으로 개인들을 더욱 외롭게 한다.

<사요나라 사요나라(原題:さよなら溪谷)>, <사랑을 말해줘(原題:靜かな爆彈)>, <악인(惡人)>등 그 플롯은 비록 달리하지만 외로움, 공허함, 그리고 사랑에의 희망, 다양한 소통의 형태에 대한 ‘요시다 슈이치’만의 고유한 추구가 인간의 또 다른 특질로 그려진 감각적인 작품이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천년의 금서
김진명 지음 / 새움 / 2009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의 사학계와 주류를 자처하는 사학자들, 무비판적인 대중들을 향한 각성의 촉구라 할까? 소설은 긴장감과 속도감을 두루 장착하고 우리의 상고사(上古史)에 대한 추적의 발길을 내 닫는다. 미모의 한 여교수의 미스터리(mistery)한 죽음은 이내 자살로 수사가 종결되지만, 그 주검의 모습은 왠지 석연찮은 의구심을 남긴다. 사서삼경에 노끈을 묶어 앉은 채 죽어있는 시체는 상처하나 없이 너무도 고요하게 죽어있다.

종결된 사건을 홀로 수사하던 반장은 죽은 여교수의 오랜 지기인 물리학자 이정서로부터 타살의 증거를 확인한다. 죽은 자의 컴퓨터에 남아있는 이메일에서 사학자인 동료 한은원 교수와의 별자리에 대한 서신을 발견하게 되지만, 공교롭게도 중국에 갔다는 한은원 교수의 행방까지 묘연하고, 사건은 종 잡을 수 없는 방향으로 치닫는다. 무대는 중국으로 이어지고, 추리의 형식을 갖춘 이 작품은 독자들을 어느덧 주연배우로 부상한 이정서의 두뇌와 함께하게 한다.

은원의 행방을 쫒으면서 이내 그녀가 우리의 사라진 역사 3,000년을 찾고 있었음이 드러난다. “대한민국이 왜 대한민국인지, 한국인이 왜 한국인인지, 한반도가 왜 한반도인지, 도대체 그 한(韓)이라는 글자가 어디서 왔는지를 설명할 수가 없”는 우리의 역사인식에 대한 각성으로 이어진다. 중국 사학계의‘하상주 공정’(이속에는 동북공정을 포함하고 있음)의 역사왜곡이 자리 잡고 있으며, 나아가 한국의 상고사에 대한 흔적을 말살하려는 악의가 숨겨져 있음을 고발한다. 일본인들이 축소시켜놓고 고조선을 신화로 둔갑시켜버린 역사를 답습하는 안일한 우리의 사학계에 대한 자성의 일침이랄 수 있다.

소설은 더욱 박진감을 더하여 쫒고 쫒기는 스피디한 전개를 갖는다. 은원이 남긴 짧은 메모를 따라 그녀의 자취를 찾는 정서는 고조선 이전 동북지역의 문명국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고, 황하문명과 동시에‘요하문명’이라는 중국의 문명과는 다른 문명이 한반도에서 발아하였음을 들려준다. 소설이라는 허구의 형식을 띠고는 있으나 작가가 서문에서 밝히고 있듯이 이미 이 소설은 서지학(書誌學, bibliography)적 근거는 물론 고등과학원의 천문학의 실험까지 포함하는“확고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사실성이라는 매혹적 재미를 더한다.

은원이 규명하려는 우리의 상고사에 대한 추적이, 고조선 이전에 이미 동국(東國)에는 오성취루(五星聚婁)라는 천체물리에 대한 관측의 결과를 남길 정도의 문명국인 한(韓)나라가 있었음을 언급한 중국 후한(後漢)시대의 학자‘왕부(王符)’의 저술에 있었음을 알아낸다. 이를 방해하는 중국 당국과 정서, 은원의 숨 막히는 대결은 역사라는 진중한 소명의식과 병행하여 작품을 풍성하게 하여준다.
아마 시경(詩經)을 읽다보면 한혁(韓奕)편에 언급되는 한후(韓候)에 대해 한번쯤은 혹 우리나라의 전신이 아니었을까 하는 의구심을 가져본 적이 있을 터이다. 또한,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단군세기>에 대한 진위에 대한 논란에 대해서도 작가는 우리들의 사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깨우고 있다.
플롯구성이나 확고한 주제의식에 더해 서사의 재미까지 놓치지 않는 이 작품은 우리들이 놓치고 있는 천년의 금서(禁書)에 대한 역사적 재인식을 멋지고 슬기롭게 녹여내고 있다. 5천년 역사에서 신화로 치부되거나 부정된 대한민국의 잃어버린 역사의 비밀이 여기에 있다. 재미있다! 그리고 지혜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