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드 아스트라를 보면서 브래드 피트의 눈동자는 지구가 아닌가, 그리고 영화
속 아버지인 토미 리 존스의 눈동자는 우주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고독하고 한 없이 떠도는 존재가 될 수밖에 없는 우주에서 인간의 낙관적인
세포는 점점 소멸해가는 것 같다. 토미 리 존스의 눈동자는 광대하고 넓고 끝을 알 수 없는 고독한 우주를 닮았다
그에 비해 브래드 피트의 눈동자는 전 우주의 고독이 주는 욕망보다 내가
잡을 수 있는 행복이 있는 지구를 닮았다. 중력이 끌어당기고 안간힘을 써야만 움직일 수 있는 지구가 조금만 몸을 움직여도 저항 없이 유영을 할
수 있는 멋진 우주보다 아름답고 살만하다는 것을 기이하게도 마지막 장면 브래드 피트의 눈동자가 말을 하는 것만
같다
제목의 뜻을 찾아보니 ‘별까지”라는 말인데 뜻은 “어려움을 뚫고
별까지”다. 여기서의 어려움은 현재 우리 인간생활전반에 깔린 어려움과는 다른 질을 말하고 있다
영화 속 시대는 지금보다 미래이다. 그것이 멀던 가깝던 지금보다 훨씬 앞선
미래다. 영화 속 태블릿이나 우주해적이나 우주 정거장에서 태어난 사람들이 거기서 죽 커가고 있거나. 그런 먼 미래에도 지구에서 우주의 한
지점으로 가는 건 지극히 어려운 일이다. 간단하게 비행선에 올라 슝하고 갈 수는 없다
영화가 지루하다는 사람도 있는데 나는 푹 빠져서 본 것 같다. 하긴
지루하기 짝이 없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도 뭐지뭐지하며 보다가 풍덩 빠져서 봤다. 반면에 매스커레이드 호텔처럼 코믹과 박진감이 있는 영화는
지루해서 보다가 끊었다. 그러고 보면 인간은 참 알 수 없다
브래드 피트는 참 멋있다. ‘멋있다‘라는 건 배우, 진짜 배우 같다는
말이다. 피지컬이나 말투나 얼굴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그래 보인다. 정말 스크린 속에서만 존재할 법한 사람 같다. 브래드 피트는 영화
‘옥자’도 기획했다. 브래드 피트도 참 알 수 없는 인간이다
그런 알 수 없는 인간들이 모여 사는 지구가 광활한 우주보다 훨씬 낫다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