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깅을 하고 항상 어린 시절 살던 동네로 돌아온다. 그 동네의 모습은 이제 거의 남아 있지 않지만 그 동네를 지나칠 때면 기시감이 화악 든다. 그래서 매일 조깅을 하면서 돌아서 그 동네를 지나친다. 아직 군데군데 어린 시절의 동네 모습이 남아 있다. 살았던 집과 동네는 전부 허물어지고 아파트가 들어섰지만 방송국으로 올라가는 골목에는 아직 오래된 집들이 있다.
동네가 사라지는 모습을 매년 조금씩 지켜봤다. 어릴 때 다녔던 교회도 있고 성당도 있다. 내가 졸업한 초등학교도 있다. 하지만 모습은 많이 변했다. 작고 그림 같았던 교회와 성당은 재건축을 통해 거대해졌고 요새 같아졌다. 초등학교의 운동장은 사라졌고 건물이 앞뒤로 더 늘어났고 저녁 8시 이후에는 교문을 닫았다. 교문이라고 하지만 허리께 오는 바리케이드를 쳐 놓는 상태다.
유월의 저녁에 더욱 기시감이 든다. 어린 시절에 뛰어 놓던 나의 작았던 동네. 골목을 뛰어다니며 목청껏 부르던 친구들. 골목에서 시끄럽게 놀다 보면 야간을 하고 온 회사원 아저씨가 조용히 하라고 소리를 지르곤 했다. 컴퓨터도 업고, 게임기도 없었지만 골목에서 뛰어다니며 노는 건 재미있었다. 그래서 매일 저녁 시간에는 엄마에게 끌려 집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여름으로 가는 길목의 유월이 되면 낮이 길어진다. 노을도 더 붉어지고. 그래서 동네가 예뻐졌다.
밤이 오기 직전까지, 아버지가 회사에서 퇴근하기 직전까지 동네에서 뛰어놀았다. 그러다 보면 동네 골목을 지고 저 멀리 노을이 붉게 진다. 오렌지 빛이 황홀하게 보였다. 동네 슈퍼마켓 앞 평상에 앉아서 스노볼 같은 걸 가지고 노는 장면이 떠오른다. 정확하게 스노볼은 아니고 작은 상자 안에 작은 바다가 있고 그 위에 배가 떠 있어서 흔들면 파도 위에서 배가 휘청휘청하는 스노볼이었다. 나는 그걸 앉아서 가지고 놀고 있다.
코가 간질간질할 만큼 햇살이 좋은 봄날에 빛을 받으며 그렇게 앉아서 놀던 골목이 있던 동네를 매일 조깅을 하며 스쳐 지나온다. 동네 근처 아직 마당이 있는 집을 지나칠 때면 담 밖으로 비어져 나온 각종 나무에서 나는 허브향이 좋다. 이런 향을 맡을 수 있는 시기는 일 년에 4, 5월 달 정도밖에 안 된다. 유월이 되면 거리에 심어 놓은 아카시아 향이 나고 밤꽃 냄새가 풍긴다. 그것도 나쁘지 않지만 오래된 동네의 오래된 집에 심어 놓은 나무에서 나는 허브 향은 나는 어린 시절로 되돌려 놓는다.
어린 시절로 되돌아가는 느낌은 언제나 좋다. 특히 고단하기만 한 어른의 생활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누군가는 그런 소리 집어치우라고 하지만, 지금 행복해?라고 물었을 때 나 지금 행복해,라고 대답할 수 있는 어른은 썩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럴 때 행복했던 어린 시절을 떠올리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선거가 끝났다. 막상 선거가 끝나고 새로운 세상이 열리면 그동안 SNS에 올렸던 정치풍자 같은 글들을 올리기 전의 시시한 글만 올리고 지내야지 했지만 쉽게 되지 않을 것 같다. 어른이 된 4, 50대는 늘 불안해하며 지낼지도 모른다. 선거가 끝나고 20대 누군가가 SNS에 4, 50대를 향한 글을 올렸다.

이 글을 읽고 뭉클하지 않을 4, 50대가 있을까 싶다. 24시간 중에 잠깐 어린 시절로 돌아가서 행복한 꿈을 꾸는 건 다음 날을 보내는 동력이 될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