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웃게 하는 당신 - 성공하는 결혼 이야기
안미경.김재훈.신성용 지음 / 바오로딸(성바오로딸) / 2007년 4월
평점 :
품절


진솔한 대화와 용서,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사랑 - 결혼의 또다른 모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리를 떠난 마카롱 - 트렌드의 탄생과 확산의 미스터리
기욤 에르네 지음, 권지현 옮김 / 리더스북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책을 고르는 분이라면 해제의 "가벼운 일일수록 무겁게 다뤄라" 라는 이야기와 에필로그를 먼저 보셔야 할 것 같다. 트랜드는 어떤 경제적, 사회적 음모가 도사리는 것이 아니며 예측 불가능하다라고 말하고 있다.(순전히 개인의 독서 소감임으로 책의 속내용과 의견이 상이할 수 있음.)  

트랜드의 정의와 역사까지는 박물학 수준으로 읽는 재미가 있었다. 그런데 이후로는 업계 관련자도, 학자도 아닌 평자로서는 많이 어려운 내용이였다. 결국 트랜드에 관해 제기된 여러 학자들의 이론을 이야기하며 기원, 확산, 메커니즘, 예측과 사용을 이야기한다. 또한 제기된 일련의 이론에 대해서 하나씩 각개 격파하고 있으며 딱딱한 이론을 이야기하여 상당히 진지한 자세와 학구적인 문체로 이야기를 이끌어 가고 있다.  

간혹 흥미로운 이야기들 예를 들어 친절한 행간의 녹색 설명글들과 대니얼 벨의 "자본주의 = 효율적 경제+평등 정치+자아실현 문화" 인데 그 갈등의 해결책이 유행(트랜드)라는 이야기, 자본주의가 지속되려면 개인을 만족할 줄 모르는 소비자로 바꿔놓아야 한다는 보드리야르, 트랜드를 따르게 만드는 원인으로 집단에 대한 순응주의, 유행에 따르고 싶어하는 개인의 욕망, 변화에 대한 개인의 행동을 이야기하는 것, 게오르그 지멜의 "약자들은 개인화를 회피하고, 책임감뿐만 아니라 혼자 힘으로 스스로를 지킬 것을 요구하는 자율성도 회피한다" 등등에 잠깐씩 박물학적인 재미를 느끼곤 했지만 저자가 독자를 위해 준비한 지적 세례와 다음 트랜드를 읽어낼 혜안은 더 많은 공부와 트랜드 방면을 비롯한 다방면의 지식이 동원되어야 할 것 같다. 

이 책은 "가벼운 읽을 거리인줄 알았는데, 상당히 진지하고 학구적인 자세로 트랜드를 다뤘다."라고 말할 수 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리를 떠난 마카롱 - 트렌드의 탄생과 확산의 미스터리
기욤 에르네 지음, 권지현 옮김 / 리더스북 / 2010년 5월
평점 :
절판


마카롱=프랑스 과자, 트랜드 관련 진지한 학문적 사회학 서적 안쉬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상실의 시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유유정 옮김 / 문학사상사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파야 청춘이고 (딛고 일서서) 온전히 삶을 이어가는 것이 남은 자의 몫이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도연초.호조키
요시다 겐코.가모노 조메이 지음, 정장식 옮김 / 을유문화사 / 2004년 9월
평점 :
절판


1989년 초여름에 도연초를 처음 접했다.  그 첫머리에 "이렇다 할 일도 없이 지루하고 심심하여, 하루 종일 벼루를 붙잡고, 마음속에 오가는 부질없는 생각들을 두서없이 쓰노라니, 이상하게도 기분이 복받쳐 나도 모르게 미칠 것만 같구나." 라는 글만으로 많은 감동을 받았던 기억이 난다. 그러나 세파에 가슴까지 굳어가는지 젊은 날의 그런 감동을 재현하기는 힘든 건 같다. 

지금으로부터 700년 전(한반도는 고려말 무신정권이 들어서던 시기)에 지금의 교토에 살았던 겐코는 궁정 생활에 익숙하고 정취를 아끼던 문화인이며 출가하여 불교에 귀의한 스님이기도 하였으며  (막부정치를 낳았고. 만화 슬램덩크의 배경이 된) 가마쿠라막부의 칼을 차고다니던 칼잽이 문화를 멀리하며 저물어가는 황실의 옛모습을 흠모하였고 (멋이나 정취를 모르는) 세상과 거리를 두고 관조적인 태도로 은은한 멋을 즐기며 오랜 시간동안 다양한 내용을 도연초 속에 담았다. 호조키는 관조적인 태도와는 대조적으로 세상사의 풍상을 온전히 몸뚱이로 받아낸 노인이 세월을 돌아보며 짧은 시간에 정리한 듯 보이는 글이였다.  

이런 호젓한 멋과 정취를 찾는 현대인들이 블로그에 몰두하는 것과 같은 이유로 겐코는 도연초에 243단의 글을 적어갔던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