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p.)내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 [김윤나TV]에는 이런 댓글이 덜린 적도 있다.
˝책도 강의도 잘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 가지 이상한 점이 있어요. 작가님은 영상에서 자꾸 웃어요 웃을 필요가 없는 장면에서도 왜 자꾸 웃는지 모르겠어요.˝
그렇다. 나는 적절하지 못한 상황에서 괜찮지 않은데도 ˝괜찮아요˝라고 말했고, 어색한 상황에 처하면 반사적으로 웃었다.
ㅡ 내 마음을 알고 싶다. 내 꿈을 알고 싶다. 내 이야기를 알고 싶다. 알고 싶으면 물어봐야지. 그저 웃고 말거나 괜찮아요 하면서 얼버무리지 말고 쫌.
(8p.)나는 개개인의 말에서 드러나는 삶의 패턴에 ‘말의 시나리오‘라는 이름을 붙였다. 인생을 영화에 비유하면, 우리는 저마다의 시나리오를 가지고 살아가는 것이다. 즉 말의 시나리오란 ‘말이 되풀이해 들려주는 반복되는 삶의 이야기‘인 셈이다.
우리 말은 이미 우리에게 굳어진 말의 시나리오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이때의 말은 대화를 위해 발화되는 말만 의미하지는 않는다. 대화할 때 당신이 머릿속으로 어떤 생각을 하면서 혼잣말을 하는지, 무슨 표정을 짓는지, 어떤 태도를 보이는지를 모두 포함한다. 시나리오는 말로 드러나고, 말은 시나리오를 지속시킨다.
ㅡ 10년 전의 나라면 이쯤에서 책을 덮어버렸을 것이다. 이해하지 못하거나 부정하고 싶은 마음이 컸을테니까. 지금은 오히려 너무 와닿아서 씁쓸할 지경이다. 이제라도 이해해서 다행 아닌가 하다가도 내 나이를 생각하면 울고 싶다. 울면 우는거지 뭐. 울다가 읽다가, 읽다가 쓰다가, 쓰다가 웃다가, 울다가 웃다가 그러다 가면 되지 뭐.
(12p.)나는 코칭을 통해 사람들이 자기 삶의 시나리오를 이해하도록 돕는 일을 한다. 자신이 어떤 이야기를 되풀이하며 살아가고 있는지를 그 이야기 밖에서 바라보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새로운 이야기를 써나가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책에서도 나는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ㅡ 계속 읽어나가는 이유다. 지금이야말로 나에겐 나를 위한 나의 이야기, 새로운 이야기가 필요하다.
(28p.)‘하지 못하는 말들‘은 심리적 영토를 확보하고 그 영토에 주도권을 세우는 일과 관련되어 있다. 선을 긋고, 물러서게 하고, 존중을 요구하는 말을 하는 것은 나를 보호하는 일이기도 하다. 마땅히 해야 할 말을 못하고 돌아설 때 분노는 내면에 쌓인다.
(33p.)예를 들어 ‘사람들은 믿을 수 없다‘는 맥락적 기억을 저장해둔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다른 사람이 조건 없는 호의를 베풀 때 그는 어떻게 반응하게 될까? 그 사람은 ˝고맙습니다. 그렇게 말해줘서 기뻐요.˝라고 말하기가 어렵다.
ㅡ 여기 맥락하고는 상관 없지만 내 경험이니까 굳이 ‘기록‘해두고 싶은 게 있다. ˝고맙습니다. 그렇게 말해줘서 기뻐요.˝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 내가 직접 들어본 적이 없는 건 물론이고, 귀동냥으로도 다른 사람들끼리도 그런 말을 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그래서 언젠가 외국 드라마나 영화에서 그런 대사를 자막으로 봤을 때 어찌나 신선했는지 그 말을 기억해뒀다가 꼭 한 번 써먹어야겠다고 다짐했었다.
어릴 땐 누가 나를 칭찬하면 그저 멋쩍어하고 손사레까지 쳐가면서 되려 칭찬하는 사람을 불편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그렇게 말해줘서 고마워요.˝라는 말을 배운 뒤로는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 노력한다. 그 말을 할 기회, 들을 기회 둘 다.
* 키워드
1. 타인지향 시나리오 Other-Directed Scenario
2. 내부지향 시나리오 Inner-Directed Scenario
3. 자기감 sense of self
4. 심리적 영토
5. 사건-자서전적 기억 EAM, Episodic-Autobiographical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