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p. 용어집을 뒤져 보았다. 균근균은 식물과 사활을 건 소통 관계를 구축한다. 이와 같은 동반자 관계에 진입하지 않고서는 진균도 식물도 생존할 수 없다.

내가 찾은 유별난 버섯 세 종류 모두는 진균 중 균근균에 속하는 자실체였는데, 이들은 토양에서 수집한 물과 양분을 동반자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만들어낸 당분과 교환한다.

양방향 교류. 공생

졸음과 싸워 가며 그 단어들을 다시 읽어 보았다. 식물 입장에서는 뿌리를 더 기르는 것보다 진균의 생장에 투자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데, 진균은 벽이 얇고 셀룰로스와 리그닌이 없기 때문에 훨씬 적은 에너지로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108p.
과학자들은 최근에 균근균이 식용 작물 생장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식물이 접근할 수 없는 희귀한 무기질, 영양분, 그리고 물에 진균이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무기질과 영양분이 충만한 비료를 더하거나 땅에 물을 대면 인공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는 있으나 그렇게 하면 진균은 없어지고 만다. 식물이 스스로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진균에 에너지를 투자할 이유가 없어지는 경우, 식물은 자원의 흐름을 끊어 없애 버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머니 나무를 찾아서 - 숲속의 우드 와이드 웹
수잔 시마드 지음, 김다히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읽다가 밑줄 치면서 읽고 싶어서 주문함.
‘우리 행성의 또 다른 지적 생명체, 나무‘ 라는 문구가 와닿음. 제목도 그렇고, 나무에 관한 책이라고 생각했는데 읽다보니 인간과 삶에 대한 이야기임. 술술 읽힘. 재미있음. 추천함. 긴 명절 앞두고 막막한 분들께 특히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2p.

수목의 특징


1. 지구상에 있는 생물 중에서 가장 큰 생물은 나무다.


가장 큰 세쿼이아는 키가 116m에 달하며, 몸체를 지탱할 수 있는 견고한 수간(樹幹, trunk)을 가지고 있다. 직경이 가장 큰 나무는 멕시코 오악사카(Oaxaca) 지방에서 자라는 낙우송류로서 밑동지름이 15m에 이른다. 



2. 수목의 두 번째 특징은 다년생 식물로서 수명이 길다는 것이다. 


국내에서 장수하는 수종으로 주목, 향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팽나무, 회화나무, 왕버들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수백 년을 살아가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나이가 많은 나무는 미국 네바다주 해발 3,500m에서 자라는 롱가에바잣나무로서 2012년에 5,068년 된 개체가 발견되었다.



3. 세 번째로 수목은 긴 세월을 살아가기 위해 생식생장(개화와 결실)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다. 


1년생 식물은 열매를 맺고 죽지만, 나무는 성숙할 때까지 기다린 후 꽃을 피우되, 꽃과 열매 생산에 적은 에너지를 투여함으로써 다음 생장과 월동을 위해 에너지를 저장한다.



4. 네 번째 특징은 죽은 세포를 많이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동물은 대부분의 세포가 살아 있으며, 몸체가 커지면 이에 비례하여 호흡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1년생 식물도 대부분 살아 있는 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호흡을 많이 한다. 반면 수목은 몸체가 커지면 수간의 목부조직(2차 목부에 해당)에 죽은 세포(예: 도관, 가도관, 섬유세포)를 많이 만들어 몸을 지탱하고, 일부 살아 있는 세포(예: 유세포)에서만 호흡하면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절약한다. 결국 고목의 가지가 죽고 잎의 양이 즐어 광합성을 적게 하더라도 자기 몸을 지탱할 수 있게 된다.



5. 다섯 번째, 수목은 오랜 세월을 살아가기 위해 여러 가지 저항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한발이나 추위, 산불, 태풍 등에 대한 저항성과 병균과 곤충의 피해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많은 적설에 견딜 수 있도록 곧추선 원추형의 수관(樹冠, crown)을 지니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세쿼이아는 2천 년을 살면서 수피가 최고 70cm까지 두꺼워져, 경쟁하는 주변 나무들이 산불에 타 죽는 상황에서도 견딜 수 있다.



*

수목의 특징 하면 떠오르는 것은 수명이 길다, 움직이지 못한다, 인간과 반대로 호흡한다, 광합성을 한다 정도였는데 이렇게 수목생리학 책에 있는 글을 읽었더니 오오~ 뭐랄까. 굳었던 머리가 말랑말랑 리듬을 타는 느낌이랄까. 신선한 공기를 마시는 듯 상쾌하다. 특히 세번째 특징, 긴 세월을 살아가기 위해 생식생장에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다는 말이 새롭게 느껴진다. 아무렴 그렇지 그렇구말구. 쿠하하하하. 돌아가고 싶다. 돌아가는 길이 꼭 하나만은 아니라는 걸, 기억하자. 내가 두 발 묶인 나무가 아니라는 것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목생리학 - 전면개정판
이경준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부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3p.) 수목생리학은 수목이 어떻게 자라는지 연구하는 학문" 이다. 자연상태에서 수목은 인간보다 키도 크고 수명도 길다. 그런 수목이 어떻게 자라는지 연구한다는 건, 기록 즉 글쓰기가 아니고선 불가능한 일이다. 글쓰기 글쓰기 하는 이유가 이런 거구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모크 & 피클스 - 이균 셰프가 그리는 음식과 인생 이야기
에드워드 리 지음, 정연주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77p. 피클은 사랑 이야기와 매우 비슷하다. 둘 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잘 되지 않을까봐 걱정이 되지만 인내심을 가지면 언제나 해피엔딩이 기다리고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눈덮인 장독 뚜껑을 열고 살얼음 낀 김치 한 포기를 꺼낼 때 얼마나 손이 시려웠는지 생각나서 울었다. 돌아가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