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1월에는 꽤 바빴다. 

수지에 사는 친구를 명동에서 만나 파니니를 먹었고, 시부모님 칠순 문제로 폭발해 버린 친구를 만나 커피를 마셨다. 지지난 주에는 엄마가 김장을 하셨다. 내가 한 일은 없었지만, 아무튼 나도 '엄마 김장을 도와야 한다'고 말하고 다녔다. 지난 주에는 교회에 부흥회가 있어, 저녁마다 온 가족이 출동했다. 


 

 

 

 

 

 

 

 

 

 

 

 

 

 

 

맘 같아서는 이틀이면 강신주님 책을 다 읽을 수 있을 것 같았는데, 생각보다 많이 어렵지 않은데도, 약한 정체 상태다. 마음은 급하고, 책은 쌓여간다.   


2. 대김장 기여도 

'대김장 기여도'라는 게 있다. 내가 지은 말인데, 김장에 대한 기여도를 말하는 것이다. 나는 올해로 결혼한지 12년이 되었지만, 아직도 결혼 2년차 정도의 음식 솜씨를 가지고 있다. 엄마와 어머니는 자꾸 늙어가시고, 내 실력은 늘지 않는다. 

예전에 김장에 대한 내 기여도는 2.2 정도였다. (가끔 장 보는 걸 돕기는 했지만) 대부분은 어머니께서 장을 보시고, 어머니께서 배추를 들이시고, 어머니께서 배추를 절이시고, 어머니께서 양념속을 만드시고, 어머니께서 배추를 씻어놓으신 후에 등장해, 배추속을 넣은 배추를 김치통에 넣어 우리집으로 가지고 왔다. 

하지만, 요근래 어머니 허리 통증이 더 심해지셔서, 2.2의 대김장 기여도를 조금 높여보자 생각했다. 모레가 '김장'하는 날이니 어제 저녁쯤에 시댁에 가면 되겠다 싶어, 신랑에게 말했다. 

"내일 오후나 저녁쯤에 (시댁에) 가볼려고." 
"씻는 거 오늘 아침 일찍 하실 것 같은데. 나 내일 일찍 끝나는데. 내가 아롱이 받아줄 수도 있고." 
"그래?

당신, 김장의 기역자도 모르는 사람. 토요일에 '김장'하기로 했으면, 절이는 것은 당연히 금요일 오후인데, 아침 일찍 절이실거라니. 나는, 착한 나는 오전에 어머니께 전화를 걸었다. 
"어머님, 배추 절이는 거 제가 도우려구요. 언제 하..."
"그래? 그럼 너, 지금 와라."
"에? 네. 그럼 저 좀 준비 좀 하고..." 
"준비할게 뭐 있냐? 얼른 와."

그래서, 시댁에 가서는, 무를 사고, 갓을 사고, 생새우를 사고, 굴을 사고, 떡을 사고(?), 당근을 사고, 대파를 사고, 쪽파를 샀다. 그리고는 양질의 상품, 저렴한 가격 때문에 재래시장을 종횡무진하시는 어머니덕에 이 모든 걸 바퀴 달린 장바구니에 담고 시댁으로 돌아왔다. 너무 무거워 장바구니가 두 번이나 뒤집어졌다. 나는 '어머나' 하면서 웃었다.

그리고는, 갓을 다듬고, 무를 다듬고, 대파를 다듬고, 쪽파를 다듬었다. 배추의 꼭지를 따고, 그리고, 배추를 절였다. 

다음날, 배추를 씻었다. 짬뽕을 먹고, 탕수육을 먹었다. 신문지를 깔고는 배추에 속을 넣었다. 속을 넣은 배추를 김치통에 넣었다. 고추가루, 젓갈로 범벅이된 다라이(다라이~ㅎㅎ)를 씻었다. 어머니께 봉투를 드리고 인사를 하고는 집으로 돌아왔다. 

2013년, 나는 나의 대김장기여도를 2.2에서 4.3정도로 상향조정하려 했는데, 신랑은 6.1 정도 기여할 것을 조심스레 제안했고, 어머니는 7.4 정도를 요청하셨다.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지 않은 단순 노동의 범위에서 내 대김장 기여도는 7.8 정도에 육박한다고 감히 단언한다. 

내가 먹을 김치를, 우리 식구가 먹을 김치를, 시댁 가서 한 것 뿐인데, 주위에서는 모두 '수고했다'고 칭찬하셨다. 김장 다음날 어머니는 내게 전화를 하셔서, "너, 몸은 괜찮니?"라고 물으셔서, 나는 어머니의 이 귀한 말씀을 플랜카드로 만들겠다고, 신랑에게 말했다. 
"내가 이렇게 많이 애썼다니까. 오죽하면, 어머니께서, 어? 알겠어?" 

3. 아롱이 수영반의 S엄마를 만나 

나의 대김장 기여도를 자랑하려 말을 꺼냈다. 
저번주에 시댁에서 김장을 했거든요. 
응, 그래? 나도 이번주에, 김치 한, 230포기쯤 했지. 
네? 김치 공장하세요? 아니, 누가 김치를, 그렇게 많이? 

알고 보니, S 엄마는 동네에서 일 잘한다고, 손 빠르다고 소문난 알뜰 주부로서, 김장 때가 되면, 같은 빌라 사시는 아주머니들이 손에 손을 부여잡고, 부탁 아닌 부탁을 하신다는 거다. 내일 우리 김장이야. 와서 좀 도와줘. 그럼 맘 착하고, 손 빠른 S 엄마는 그 집에 가서는 김치를 착착 해준다는 거다. 이번주에도 40포기쯤의 김치가 남아있다고. 허걱. 

아, 나는 우리집 김치 30포기를 해놓고는 여기 저기 그렇게 자랑을 해대고, 내 사랑하는 알라딘서재에 이렇게 장문의 글을 올리고 있는데, S 엄마는 자기네 김치도 아닌, 남의 집 김치를, 200포기 넘게 해 주고는, 이렇게 환하게, 예쁘게 웃고 있다. 

대김장 기여도 10을 넘어, 14.8을 구가하시는 S 엄마 앞에서 나는 할 말을 잃었다. 


아, 나는 아직도 멀었다. 


댓글(8)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3-11-28 1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김장 기여도보다 더 놀라운 사실은, 단발머리님께서 강신주로부터 배운 단어 '육박하다'를 아주 적절하게 쓰셨다는 데에 있습니다!!!!!

단발머리 2013-11-28 11:12   좋아요 0 | URL
헤헤, 지금 저 칭찬해주시는 거죠?

여보세요, 여러분~
저는 책을 내신 유명 작가님께 칭찬받는 사람입니다, 만세^^

노이에자이트 2013-11-28 14: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라이같은 단어를 쓰면 안 된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어요...일제잔재라고 하면서...방송에서도 못쓰게 하더군요. 저는 정겹더라고요.이제 우리말 단어로 간주해도 좋을 것 같은데...

단발머리 2013-11-29 11:51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노이에자이트님~~
저 사실, 노이에자이트님 방에 자주 갔었는데, 댓글 남길 용기가 없어, 공감만 누르고 퇴장했었는데, 제 서재 방문해주셔서 감사해요^^

저는 이 '다라이'라는 단어가 체화되었나봐요.
쓸때는 아무 생각이 없었는데, 많은 분들이 좋아하시네요. ㅋㅎㅎ
앞으로 자주 뵈어요~~

감은빛 2013-11-28 15: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아까 김장한 얘기를 쓰다가,
'다라이'에서 딱 막히는 거예요.
이걸 우리말로는 뭐라고 해야하는 거지?
대야? 큰 대야?

애 많이 쓰셨네요!
저는 과연 몇의 기여도를 가질 수 있을지 계산 한번 해봐야겠어요. ^^

단발머리 2013-11-29 12:02   좋아요 0 | URL
감은빛님, 안녕하세요~~
저는 쓸 때는 암 생각이 없었는데, 써 놓고 보니, 좀 웃기네요. 다라이^^

제가 님 글 읽고 대김장 기여도 계산 해 놓았거든요. 너무 수고 많으셨어요.
김장 하셨으니, 올 겨울이 든든하시겠어요. (이거, 어머니들 멘트인데...쩝)

따뜻한 겨울, 행복한 겨울 되시기를...

박선영 2013-11-28 17: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글 너무 재미있게 보았어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너무 무거워 장바구니가 두 번이나 뒤집어졌다. 나는 '어머나' 하면서 웃었다.
여기서 빵터졌어요 . .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단발머리 2013-11-29 11:53   좋아요 0 | URL
하핫, 안녕하세요, 박선영님~~

그러게요. 저도 제가 그렇게 웃을 줄 몰랐어요.
사실.......
오늘 아침에 일어났는데, 발목이 좀 아프더라구요. 장바구니 여파가 아직까지...
그런데, 그 때는, 그게 그렇게나 웃겨서 웃었거든요.

박선영님도 즐거우셨다니, 제 맘도 좋아요~~
앞으로 자주 뵈어요^^
 
강신주의 감정수업 - 스피노자와 함께 배우는 인간의 48가지 얼굴
강신주 지음 / 민음사 / 201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감정에 솔직하지도 않고, 용기도 없다. 나도 인정한다. 나는 나약한 사람이다. 나는 다만, 강신주를 읽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드래곤 빌리지 완전도감
대원씨아이 편집부 지음 / 대원씨아이(단행본) / 2013년 10월
평점 :
절판


드래곤 빌리지를 완전 해부한다. 아롱이가 이 책을 읽는동안, 나도, 아들도 완전 행복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다락방님, 알라딘 직원설'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져... 

알라딘서재에서, 다락방님과의 따뜻한 추억 하나 없는 사람 어디 있을까. 나도 말하기 어려운(헉, 말하기 어려운?) 아니, 다락방님과의 비밀이라 간직하고 싶은 몇 개의 추억이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나는 몇 번, 두 번 아니면 세 번 정도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다락방님은 일반인 아니야. 알라딘 직원이 분명해." 

나의 이런 추측은 명확한 근거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렇게 많은 책을 읽으면서, 이렇게 양질의 리뷰를 작성하면서, 이렇게 술을 많이 마시면서, 이렇게 남동생과 눈물 쏙 빠질 진솔한 대화를 나누면서, 이렇게 이쁜 조카와 놀아주면서, 직장을 다닐 수는 없는 거였다. 

적어도, 나의 정신적, 육체적 용량에 근거해서는 그렇다. 다락방님의 새 책, [독서공감, 사람을 읽다]에서는 작가 소개가 이렇다. 

아침이면 출근하기 바쁘고, 저녁이면 한잔으로 하루를 마무리하는 평범한 회사원이다. 출퇴근길 지하철이 소설을 읽기엔 최고의 장소라고 여긴다. 

아니었던 것이다. 다락방님은 알라딘 직원이 아니라, 알라딘 서재를 평정한 후 이를 쑤시고 있던(ㅋㅎㅎㅎ) 마태우스 서민 교수님으로부터 알라딘 서재 평정자로 지목받은 평범한 직장인 이유경씨였던 것이다.  
 


2. 내 솜씨를 탓하다 

나는 훌륭한 글을 쓰는 사람이 아니고, 알라딘 서재에서 유명한 사람도 아니다(아무렴).
그저 서재 하루 방문객이 50명, 아니 30명만 넘어도 무척이나 좋아라 하는 사람이고, 공감이 (4)개만 넘어가도 무척이나 행복해하는 사람이다. 

그런데, 다락방님 책이 나오고는 그런 생각이 들었다. 

내가 조금 유명한 사람이라면, 내가 알라딘서재에서 글빨 좀 날리는 사람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그럼, 나는 다락방님의 책에 대한 근사한 페이퍼를 쓸 수 있을텐데. 

이 책이야말로 지금 우리가 읽고 싶어하는 그런 책이다. 사람에 대해 알고 싶은가, 소설속에서 찾아지는 인간의 참 모습을 여기,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다, 하면서 말이다. 

처음으로, 내 글솜씨를 탓했다. 멋진 글을 쓸 수 있다면, 근사한 서평을 쓸 수 있다면, 내게 그런 솜씨가 있다면 참, 좋을텐데. 그렇다면, 다락방님의 책에 대한 근사한 서평을 쓸 수 있을텐데. 

그러다가, 마음을 고쳐 먹었다. 

근사한 서평이 안 된다면 콩깍지 서평을, 멋진 서평이 안 된다면, 진솔한 서평을 써보자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내가 유명해지는 건 지금 내가 할 수 없는 일이고, 앞으로도 그렇기 요원하지만, 콩깍지 서평을 쓰는 건 지금 가능한 일이니까. 

12쇄까지 쭈욱 달려가실 다락방님을 응원한다! 


내게 좋은 책을 추천해주었을 뿐 아니라, 이제 직접 좋은 책을 내신 이유경 작가님께, 

 

엄청나게 큰 화이팅을 전한다. 

다락방님, 화이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1. 어제는 11월 18일 월요일 

신문에 월요일마다 책 관련 기사가 나온다. 나는 월요일만 신문을 읽는다. 한 달에 한 번 혹은 두 번씩 강신주님의 칼럼이 실린다. 강신주님 칼럼이 아니면, 고미숙님. 둘 다 챙겨서 본다. 

칼럼 제목은 <내 서재 속 고전>. 어제 칼럼은 "온몸으로 노래하고 산다는 것, 시인이 된다는 것". 강신주님이 사랑해 마지 않으시는 김수영 시인과 [김수영 전집]에 대한 이야기다. 

 

 

 



 

 

 

 

 

 

 

 

 

 

 

 

어른이 되었음에도 계속 아이로 남으려고 발버둥치는 존재들, 그들이 바로 시인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이 자신의 심장 박동 소리를 담은 글들이 바로 시라고도 이야기한다. 여기까지는 괜찮은데... 

그렇다. 온몸을 던지고 온몸을 노출해야만, 비로소 가능한 삶의 현장에 온몸으로 밀고 들어가야만 한다. 그럴 때 정직한 리듬이 나올 테니까. 그래서 우리 시인 김수영도 <시여, 침을 뱉어라: 힘으로서의 시의 존재> (1968. 4)라는 명문에서 말하지 않았던가. "시작은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고 '심장'으로 하는 것도 아니고, '몸으로 하는 것이다. '온몸'으로 밀고나가는 것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온몸으로 동시에 밀고 나가는 것"이라고. (한겨레신문, 2013년 11월 18일 월요일)

온몸을 던지고 온몸을 노출해 삶의 현장을 온몸으로 밀고 들어갔던 시인 김수영. 그런 김수영을 사랑하는 강신주. 그도 온몸을 던져 온몸을 노출해 삶의 현장을 온몸으로 밀고 들어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지식과 지혜를 자신을 치장하는 데 쓰지 않고, 타인을 위해, 공동체를 위해 내어주고 있다. 

아무리 생각해봐도... 

나는 상대를 잘못 골랐다. 


내가 사랑하는 이 남자는, 


정말, 

 

너무 부담스럽다. 


 


2. 오늘은 11월 19일 화요일 

나는 예약판매되는 책을 사 본 적이 없다. 이번에 강신주님 [강신주의 감정수업]이 처음이었는데, 이게 이렇게 고생스러운 일인지 몰랐다. 

 

 

 

 

 

 

 

 

 

 

 

 

 

 

아무리 기다려도, 책 출간일인 11월 18일이 오지 않더니만, 이제는 발송예정일인 11월 19일이 왔음에도 나는 아직 책을 만나지 못하고 있다. 당연한 일인데도, 아... 

기다려도 오지 않는 강신주여.
기다려도 오지 않는 현대택배 아저씨여. 



3. 강신주의 보조개 

벙커 라디오에서 진행되었던 <강신주의 다상담>이 지난달 마지막 강연을 마쳤다. 님도 보고, 강연도 들으러 가고 싶었지만, 강신주님 열강에 거의 매회 12시에서 새벽 2시 넘어 끝나는 강의를 들으러 가기가 좀 어려웠다. 어떤 분의 홈피에서 마지막 강연날의 모습을 담은 사진으로 아쉬운 마음을 달래본다. 

가까이 하기에 부담스럽지만, 내 심히 사랑하는 강신주님의 사진이다. 언론에 공개되는 사진은 대부분 카리스마 작렬이기에, 나는 귀여운 걸로 골라봤다. 

 

 

 

 

 

 

 



나는 항상 그가 섹시하다고 생각했는데, 등산바지에 보조개는 아무래도 귀여운 포스라고 하겠다. 

지적이고, 섹시한데다가, 귀엽기까지...  


아, 나는 상대를 잘못 골랐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13-11-19 13: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사진은 ㅎㅎ 정말 사람 좋은 아저씨로 나왔네요. 저 모습만 보면 과격하고 센 표현을 한다고 아무도 생각하지 못하겠어요. ㅎㅎ

저는 신간 소개가 토요일마다 실려요. 그래서 신문은 토요일 것만 읽어요;;

단발머리 2013-11-19 13:30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마지막 사진 너무 마음에 들어요.
보조개에 쏘옥~~
돌직구가 팍팍!!

나는 월요일, 다락방님은 토요일이 신문 DAY!!

순오기 2013-11-21 00: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상대를 잘못 골랐다~ 너무 부담스럽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랑하는 이 남자~~~~~~~~ 이런 고백 너무 좋아요!ㅋㅋ
난 신문도 칼럼도 안 보고,
오로지 단발머리님 페이퍼로 강신주를 만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남자가 슬슬 좋아질려고 하네요.^^

단발머리 2013-11-21 13:16   좋아요 0 | URL
하핫~~ 저의 솔직하고도 솔직한 고백이지요.
좋은데, 부담스럽고,
사랑하는데, 약간 무서운....

순오기님도 강신주를 좋아하신다면야 전 완전 환영입니다^^
한 마음, 한 뜻으로~~

2013-11-21 00:07   URL
비밀 댓글입니다.

단발머리 2013-11-21 13:19   좋아요 0 | URL
아하..... 너무너무 감사해요.
제일 감사한 것은 대한민국에서 손 꼽을 정도로 너무나도 바쁘신 님께서, 제 생각을 해 주신것이요.
왜 그럴까, 이게 왜 이럴까, 이렇게 제 생각 해주신게 너무 좋아요.

그렇게 한 번 해 볼께요.
그래서 만약 제가 ㅅㄱㅍㄱㄷ이 된다면, 그건 오로지 님의 지도와 안내, 그리고 저에 대한 사랑 때문일거예요.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