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근처 - 2009 제9회 황순원문학상 수상작품집
박민규 외 지음 / 중앙books(중앙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거의 한 해 걸러 '이상문학상 수상집'을 사서 읽었더랬다.
이유는 단 하나, 재미가 담보되어 있었고, 그 재미가 가볍지 않아 뿌듯했기 때문이다.
그래도...상받은, 혹은 받으려다 살짝 미끄러진 작품들은 평범하지 않은 무언가가 있었다.
때로 '황순원 문학상 수상작품집'도 살포시 끼어 보기도 했다. 별반 차이없이 작품성과 재미가 어우러져 있었다.
김훈의 '화장'과 '언니의 폐경'을 만났던 것도 같다. 단편도 장편처럼 둔중한 울림을 실어 나를 수 있다는 데에
약간 전율하기도 했었다.
이 작품집은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로 인기몰이(?)를 하고 있는 박민규의 '근처'를 수상작으로, '위험한 독서'의 김경욱, 은희경, 김애란, 배수아 등의 최종후보작을 싣고 있다. 전반적인 작품들에 대한 느낌은, 음, 긴장감이 대체로 떨어지고, 결론이 무언가 쓰다 만 느낌이랄까? 내가 감수성이 무뎌져서 그런가, 아님 지나치게 자극적인 것들에 닳아 있어 그런지, 왜 예전 이런 수상집을 읽을 때의 그 간질간질한 재미와 명치 끝에서 전해 오는 울림이 없는 것인지 모르겠다. 그래서, 일단 박민규의 작품이 가장 올돌했음을 인정하고, 의외로 김숨의 '간과 쓸개'가 가장 인상깊었음을 고백해야 겠다. 나머지 기성 유명 작가들의 작품들은 현을 팽팽히 당기는 그 맛이 쑤욱 빠져버린 느낌이었다. (단편에서는 긴장감이 이야기를 끌어가는 동력이라고 생각함)
박민규라는 작가에 대해서는 이 단편이 처음이기에 감상 및 평가를 뒤로 미루어 두는 것이 낫겠지만, 대단히 실험적이고 감각적인 전개방식과 문체를 사용한다는 데에 동의한다. 이를테면 대화체를 부호 생략하고(요즘에는 이런 방식이 당연하게 간주되지만), 글자 크기를 확 줄여 버리는 것. 오히려 이런 시도가 역설적으로 대화를, 사람 간의 호흡을 더 돋보이게 한다. 죽음을 앞둔 마흔 살의 미혼 직장인이 타임캡슐을 통해 초등학교 추억들과 맞닥뜨리는 얘기를, 심사위원들은 작위적이라고 조심스런 비판을 날렸지만, 그 세부 전개는 굉장한 리얼리티를 가지고 풀어 나가고 있다. 주인공이 죽음 앞에서 느끼는 감정들이 어찌나 절제되고 사실적으로 표현했는지 꼭 인용해 두고 싶다.
 |
|
|
|
온몸을 파닥이던 붕어의 모습이 떠오른다. 내게도 그런 시간이 있었다. 그 몸부림에 대해선 말하고 싶지 않다. 나는 살아 있는 내 모습을 기억하고 싶다. 바람이 분다. 나는 지금 숨을 쉬고 있다. 멀리서는 보이지 않을 만큼 담담한 모습이겠지만, 더없이 풍만한 감정으로 이 자리에 앉아 있다. <중략>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폭이 넓고 깊은 삶이 흐르고 있다. 나는 기쁘고 기쁘지도 않다. 나는 슬픈데 슬픈 것만도 아니다. <박민규의 '근처'>
|
|
|
|
 |
김사과의 '정오의 산책'은 초반을 풀어나가던 강력한 에너지가 엉뚱한 곳으로 흘러가 버린 듯한 느낌이 들어 아쉬웠다. 이러한 한계는 대부분의 작품에서 드러나고 있었다. 무언가 아주 대단한 얘기를 하고 싶었는데 그 이야기들을 한데 모아 매듭짓는 마무리가 어디론가 날아가 버린 느낌. 그런 면에서 김숨의 '간과 쓸개'는 빛나는 작품이었다. 역시 죽음을 앞둔 노인이 구십의 누나와 한데 누워 (나란히 간과 쓸개가 고장나) 유년의 왜곡된 추억을 교정하며 같이 흐느끼는 마무리는 결론이, 삶과 죽음에 대한 통찰로 열려 있을 수 있는 예증 같아 보여 좋았다.
여간해서는 인터뷰를 사양한다는 박민규의 수상 인터뷰가 아주 좋아서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는 게 솔직한 심정. 그것만으로도 아깝지 않다. 아내를 너무 사랑하고 치매에 걸린 노모 때문에 둘째를 미루고 goole earth에서 현재 상태의 밤하늘을 보여주는 천문 프로그램으로 하루를 시작한다는 그의 얘기는 그것 하나만으로 내러티브가 흐르는 느낌이다. 정말 삶은 이야기가 되려는 경향이 있나 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