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런던의 마지막 서점
매들린 마틴 지음, 김미선 옮김 / 문학서재 / 2022년 4월
평점 :
1939년 8월 전쟁 직전 상황이 임박한 시기, 영국 노포크의 드레이튼 출신의 그레이스 베넷은 런던 패딩턴 역에 내린다.
런던에서 살게 될 날만 꿈꿔왔던 그레이스는 런던 거리마다 세련된 옷차림의 시민들 모습에 한 껏 들떠 있다.
그레이스는 <여성과 여성의 삶>이라는 책을 읽으며 사투리를 교정하려고 노력했고 함께 런던에 도착 한 친구 비브는 광고에 나오는 모델들 처럼 화장 법까지 바꿨다.
런던 시내 중심을 벗어나자 광고 전단지 마다 남자들에게 군 입대를 재촉하는 문구와 함께 거리 곳곳 마다 '공습 대피소'라고 적힌 간판이 걸려 있었다.
1차 대전 참전으로 남편을 잃고 외동아들과 함께 살고 있는 엄마의 지인 웨더포드 아주머니의 집에 도착한 그레이스와 비브, 일자리를 찾기 위해 고군 분투 하기 시작한다.
독일 나치군의 폭격이 임박해 질 시점에 그레이스는 방공호 바로 입구에 위치한 서점에 찾아 간다.
[그레이스와 프림로즈 힐 서점의 첫 번째 만남은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았다. 잘 되리 라는 원대한 기대를 품은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주인이 최소한 자신을 맞이할 준비는 되어 있을 거라고 예상 했다.]
그레이스가 찾아간 프림로즈 힐 서점은 폭격에 대비해 이층 까지 검게 칠해져 있었다. 음울한 분위기 속에 서점 내부에 책들은 아무렇게 나 쌓여 있었다.
백발에 짙은 눈썹을 한 우둥퉁한 체구의 서점 주인 에번스, 서점에서 일하고 싶다는 그레이스 말을 단 번에 거절한다.
도시 전체에 짙게 드리워진 전쟁의 기운,당장 일자리를 찾아야 하는 그레이스의 형편을 안타깝게 여긴 웨더포드 아주머니는 내일 당장 8시까지 서점으로 출근하라며 보조 직원으로 채용 된 사실을 알려준다.
서점 주인 에번스가 부인을 처음 만난 곳 '프림로즈 언덕' 그곳에 자리 잡은 서점에 첫 출근을 한 그레이스는 딱 6개월만 버텨보겠다고 다짐한다.
공중에 떠다니는 먼지들을 흡착 한 책 더미를 정리 하기도 전에 손님들이 찾아 오고 그레이스는 난생 처음 듣는 책 제목에 당황한다.
그레이스는 손님이 원하는 존 딕슨 카의 <검은 안경>을 찾는데 혈안이 되고 그녀에게 책의 위치를 알려주는 남자 손님 덕분에 무사히 책을 판매 하게 된다.
매력적인 녹색 눈을 반짝이는 멋진 외모의 남자 손님은 자신의 책을 구입 하며 그레이스에게 <몬테크리스토 백작>책을 추천한다.
어린 시절부터 '프림로즈 힐 서점'에 드나들었다는 남자 손님의 이름은 조지 앤더슨, 서점 수습 사원 그레이스가 앞으로 어떻게 서점을 만들어 갈지 궁금하다는 말을 하며 떠난다.
폭격이 수 일 내로 임박했다는 뉴스가 라디오에서 터져 나오고 런던 시내의 아이들은 정부의 대피 조치로 시골로 이주 한다. 등화관제 명령이 내려지고 도시 전체는 암흑으로 변해 버린다.
아이들이 떠난 도시,어둠으로 가득 차버린 도시에 서점에 찾아 오는 손님은 없자 서점 주인은 그레이스에게 안전한 집으로 돌아가라고 말한다.
온 도시에 공습 임박 경보음이 울려 퍼진 날 그레이스는 서점으로 달려가 등화 관제 용 커튼을 서점에 달며 단 한 권이라도 손님에게 책을 팔기 위해 진열대를 정비하기 시작한다.
아침 11시 15분 영국 수상 처칠은 특별 담화 방송에서 공식적으로 전쟁을 선포한다. 마침내 독일과 전쟁을 시작하게 된 영국, 그레이스와 비브는 웨더포드 아주머니와 그의 외아들과 함께 생필품을 챙겨서 방공호로 대피한다.
방공호로 대피하는 시민들과 달리 서점 주인은 어디에도 대피 하지 않은 채 책더미 속을 헤집으며 책들을 정리하고 있다.
사이렌이 울리고 사람들의 이동이 줄어 드는 시기에 서점으로 찾아 온 손님, 조지 앤더슨은 그레이스에게 찾아 달라며 책 목록이 적힌 종이 쪽지를 건넨다.
그레이스가 종이 쪽지에 적힌 폭풍의 언덕-오만과 편견-두 도시 이야기-프랑켄슈타인을 찾아내는 동안 조지 앤더슨은 <오만과 편견>책을 슬쩍 끄집어 낸다.
그가 말하는 독서란' 마치 기차나 배를 타지 않고 어디론가 가는 것 같아요. 새롭고 놀라운 세상이 펼쳐지는 거죠. 당신이 태어나지 않은 곳에서 살아 보는 것이고, 다른 누군가의 관점에서 다채롭게 색칠한 것을 볼 기회가 되기도 해요. 실제로 실패를 겪지 않고 배울 수 있어요. 어떻게 하면 성공할 수 있는지...'
책이란, 무언가로 채워지길 기다리는 어떤 빈 공간이 있는 곳을 간접적인 경험으로 채워주는 곳, 서점 <프림로즈 힐>은 절체절명의 전쟁에 휩싸인 순간에도 문학의 힘을 믿고 마법 같은 세상, 희망으로 가득 찬 내일을 꿈꾸는 곳이 된다.
조지 앤더슨은 자신이 가장 아끼고 사랑하는 책 <몬테크리스토 백작>을 그레이스에게 선물로 준다.
남자들은 전쟁터로 떠나고, 도시 곳곳에 무시 무시한 폭격으로 불에 타오르고,사람들은 방공호에서 라디오에 귀 기울이고 책을 읽었다.
대 공습이 점차 격렬해지며 등화관제와 공습에 시달리는 동안, 그레이스는 자신이 속한 지역사회를 한데 묶어주는 이야기를 통해 전쟁의 공포, 죽음의 그림자를 떨쳐 버린다.

[첫 두 문장을 읽을 때에는 혀가 꼬였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실수를 알아차렸을까 불편한 마음을 의식했다. 그리고 저 멀리 어딘가에서 폭탄이 터져 굉음이 그레이스의 마음을 마구 어지럽힐 때에는 어디까지 읽었는지 잊어버리기도 했다. 대공포가 불을 내뿜자 그레이스는 목소리를 더 높였다. ]
1945년 프림로즈 힐 서점이 무너지고 5월 8일 마침내 전쟁은 끝이 났다.
푸르른 창공 아래 도시는 다시 예전 처럼 활기를 대 찾고 거리 곳곳 마다 사람들은 함께 울고 웃으며 하나 둘 씩 집으로 고향으로 귀환하는 이들을 맞이한다.
전쟁의 폐허 속에서도 책을 읽었던 그레이스 '런던의 마지막 서점'에서 싹을 틔워 나갔던 사랑, 조지 앤더스 진정으로 책을 사랑하는 이들,죽음의 순간에서도 살아 남아 상실감과 슬픔을 딛고 사랑과 웃음으로 가득 채워 나간다.

[책은 우리를 하나로 묶어 줍니다. 그 안에는 사랑이 깃들어 있고 우리를 모험의 세계로 데리고 가기도 합니다. 역경의 시대에 근사하게 시선을 분산 시켜 주고요. 우리에게는 언제나 희망이 있다고 상기 시켜 주기도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