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생 - 생명진화의 숨은 고리
박성웅 외 지음 / Mid(엠아이디)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상대할 가치 없는 생물
혹은 사라져야 할 생명체로 인식하는 혐오의 대상인
기생충.
기생충이란 단어를
듣자마자 생각나는 건 우리 어린
시절의 채변봉투가 번뜩
생각날 정도로 당시에는 회충, 촌충 등 박멸의 대상으로 당당히(?) 자리 잡고 있었던 터라 쉽게 와 닿는
생물이긴 하네요. 근래에는 연가시 때문에 기생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던 것 같습니다.
우리에게는
박멸해야 할 대상으로만 와 닿는 기생충입니다. 하지만 기생충은
나쁘기만 한 생물이 아니라는 것을 EBS 다큐프라임 <기생>에서 보여줬고, MiD 출판사의 《기생 寄生》 책으로 더 자세히, 방송에서
미처 다 풀어내지 못한 이야기들과 함께 나왔습니다. 우리가 알지 못했던 기생충의 세계를 알고 나면 기생충을 바라보는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될
겁니다.
회충, 구충, 편충,
촌충, 이, 벼룩 외에도 파리, 모기 등 흔히 알고 있던
인간 기생충 외에도
기생 식물이나 정보를 강탈하는 방식으로 기생 생활하는 동물들 등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기생충의 종류가 아주 많습니다.
학자마다 기생충의
정의는 다르긴 하지만, 변하지 않는 핵심은 기생충과 숙주의 관계에 있다고 합니다. 지구 생물의 약
절반가량이 기생생활을 하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과 더불어 기생충이란 무엇인지,
기생충과 숙주의 관계,
기생충과 인간의 관계를 통해 기생충 박멸과 공존의 역사를
보며 기생충의 존재 의미를
생각해봅니다.
『
기생충은 생명, 그리고 우리의 삶에 있어 기본 배경 같은 역할을 해왔다. 이들은 진화의 과정에서 생물의 형질과 특성이 선택되는 데 큰 영향을
미쳐왔으며 지금도 이런 영향은 계속되고 있다. 기생충을 이해한다는 것은 생물 간의 관계를 이해한다는 것이며, 그 관계를 알아가는 것은 우리
주변을 둘러싼 생명 현상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 p25
다큐 프라임
<기생> 촬영의 에피소드가 등장하는데 우리나라 연구 실태 현황, 촬영의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네요.
다큐멘터리 촬영 때
숙주 내부에 있는 자연상태 그대로의 기생충을 촬영하는 것이 힘들었다는데 기생충 연구 역시 살아있는 기생충 관찰의 까다로움을 이야기하며 자가 인체
실험의 역사를 소개하는 파트에서는 기함할 듯 놀라기도 했네요.
남이 일궈 놓은 양식을
그대로 빼앗아 먹는 행위인 기생은 어느 생물, 어느
집단, 어느 사회에서나 공통으로 나타난 지구에서 가장 보편적인 생활방식 중 하나라고 합니다.
박테리아같이 단순한 생명체들에서도 다양한 기생충이 발견될 정도라네요.
기생 생활은 진핵생물을
출현했고, 엽록체를 가진 식물의 등장을 일으켰습니다. 기생충과 숙주와의 공존이 없었다면 현재의 생태계가 형성되지도 않았을 것이라고 합니다.
진화의 원동력이 되고 종의 분화가 일어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도와준 존재 의미로서의 기생충입니다.
기생충과 숙주와의
기발한 공격과 방어 기법들을 보면 헉 소리 날 만큼 놀라울 따름이더군요.
상상만으로도
몸이 근질거릴 지경인 연가시 정도는 우스운
축에 속할 정도로 기상천외한 기생충의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특히 인간을 조종하는 메디나충을 보면서 기생충의 무시무시한 생존전략에
입이 떡 벌어질
지경이었네요. 흥미진진하고 새로운
정보도 많이 알게 되었는데 얼룩말의 줄무늬 비밀은 특히 그럴싸했습니다. 얼룩말 줄무늬가 수면병을 일으키는 체체파리 때문에 생겼다는 가설은
흥미로웠고요, 사마귀에서 탈출하는
연가시의 모습이나 체체파리의
출산 장면 등 신기한 자료가
많네요.
『
기생충은 우리에게 질병을 가져다주지만, 오히려 기생충이 사라지면서 나타난 질병들이 있는가 하면, 역으로 이에 대한 치료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
- p25
톡소포자충의
오해, 돼지 편충을 이용한 크론병 치료 등 면역질환에서 기생충이 오히려 해결사가 될 수 있는 연구 진행 과정도 소개합니다. 기생충 박멸과 더불어
증가하는 질환들을 기생충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다가가고 있는 셈입니다. 백해무익해 보이는 기생충이 치료 역할을 한다 해도 사실상 그동안 우리가
가졌던 부정적인 편견을 물리치는 게 관건이긴 하지만요.
박멸하기 위해 사람이
생태계에 가한 인공적인 개입의 영향을 이야기하는 부분은 많은 생각을 낳게 합니다. 토끼와 점액종바이러스의 생물학적
방제법 에피소드 등 인공적 개입이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은 사례를 소개하며 박멸
대신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다가서야 하는 이유를 알리고 있습니다.
의학 역사상 인간이
의도적으로 개입하며 박멸한 질환은 천연두 단 한 가지라는 사실도 놀라웠네요. 그만큼 끊임없이 공격, 방어의 진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의미겠지요.
기생충과 숙주 사이의 공진화 관계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고 질병 통제를 해야 하는가의 문제로 이어집니다. 한 종을 박멸하면 예측하지 못한
방향으로 생태계가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 때문에 기생충과의 대결은 공존의 관점으로 바라봐야 합니다.
아토피, 알레르기와
관련해서 면역계와 장내 미생물과의 관계에 관한 주제의 책을 예전에 읽었는데 그 때문에 미생물을 바라보는 시선이 달라졌었답니다. 이런 면역계
질환과 관련된 인간의 미생물총 같은
기능을 생태계 내에서는 바로 기생충이 담당하고 있는 거였습니다. 그렇기에 오로지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 아닌 '관리' 역할로 다가가야 합니다. 한 생물 종의 진화는
그와 연계되어 살아가는 생물들도 변화에 맞추어 진화하도록 만듭니다. 기생충이 인간의 역사에
미쳐온 영향은 생각보다 어마어마했습니다. 《기생
寄生》을 통해
기생충은 무조건 나쁜
것이 아니라 생명진화의 파트너이자
숨은 고리인 생태계의 중요
조정자 역할로 바라보는
관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