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사전 리뷰를 할 때 카시오 제품만큼 재미없는 것도 없다. 요즘 나오는 상품들에 비하면 너무 단순하다고나 할까. 에이원프로, 레인콤(아이리버)은 물론이고 이제껏 전자사전 본래의 기능에만 집중했던 샤프마저도 컬러 액정에 이미지뷰어, 텍스트뷰어, MP3 재생 등 다양한 기능을 채용하고 나선 마당에 카시오만 유독 외골수로 나가고 있다. 사실, 공부만 하라고 그러는 것 같아 약간 얄밉기까지 하다.

그런데 흥미로운 사실은 컨버젼스와 다기능이라는 거센 바람에도 전자사전하면 본래의 사전 기능에만 충실한 카시오나 샤프의 단순한 모델들이 가장 많은 사용자 층을 확보하고 아직도 큰 인기를 누리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사용자 층을 많이 확보한데는 그만큼 오랫동안 판매해 왔기 때문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런 오랜 기간동안 쌓아온 세밀한 부분까지 배려할 수 있는 노하우를 무시할 수 없고, 전자사전하면 가장 중요한 게 무엇인지를 되새기게 한다.

어학공부는 오랜 시간과 씨름해야 하는 힘든 일 중 하나인데 재미있어 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혹자는 공부는 정말 어려울 뿐만 아니라 방법 자체를 힘들게 해야 한다고까지 말한다. 종이 사전만 볼 수 있던 시절, 화장실에서 사전을 한장 한장 외우며 뜯어 먹으며 공부할 때는 열정과 투지, 성취감 등이 괴로움과 함께 했다. 어쩌면 사전은 엔터테이먼트 기능과 결코 어울릴 수 없는 분야인지도 모르겠다. 더구나 컨텐츠 구성이 깊이 있는 공부를 하려는 대학생이나 대학원생 위주로 되어 있는 카시오 사전에서 MP3플레이어나 이미지뷰어 기능을 찾는다는 것은 쌩뚱맞은 일이다.

다른 제품에서 흔히 말하던 부가적인 각 기능의 성능은 어떠며 사전 검색 중에 MP3플레이어가 안 된다는 둥, 멀티플레이가 되긴 하는데 선곡을 할 수 없다는 둥 열을 내며 쓸만한 거리가 없다. 이러한 기능이 아예 없기 때문이다. 결국, 이전까지는 전자사전이라기보다는 새로운 종류의 멀티미디어기기를 다루는 것 같은 기분이었다면 이번에는 본의 아니게 말 그대로의 전자사전을 의한 리뷰가 되겠다.    

 

예전에 카시오 제품을 처음 보았을 때는 예쁘다는 생각이 거의 들지 않았다. 샤프가 여성적 제품이라면 카시오는 남성적 제품에 비유하며 약간은 투박하다는 느낌이 강했다. 그런데 몇 개의 제품을 사용하며 익숙해져서인지 이제는 나름대로 깔끔하고 멋진 디자인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쩌면 조금씩 디자인이 향상되어 왔는데 너무 예전 이미지만 고수하다가 이제야 생각이 좀 바뀌게 된 것인지도 모르겠다.

이번에는 좀더 단순하고 깔끔해지면서 예전보다 더욱 남성적인 이미지가 풍긴다. 바로 이전 모델의 경우, 그래도 덮개의 겉 표면에 약간의 굴곡을 주어 부드러운 느낌을 살렸었는데 이번에는 그러한 것도 없다. 이런 이미지는 인터페이스나 기능 모든 면에서 또 통일성 있게 잘 어우러져 있다. 그런대도 두께만큼은 11.9mm로 다른 브랜드 제품과 비교해서 매우 얇은 것이 특징이다.

카시오만의 가장 큰 특징은 남성적 이미지라는 것이다. 따로 스위치를 누를 필요없이 덮개를 열어 제치면 곧바로 전원이 켜지고 닫으면 또 꺼지는 단순함부터가 그렇다. 이런 데까지 남성과 여성을 가리기란 뭣하지만 아직까지 남성의 이미지가 여성보다는 튼튼하고, 힘세고, 시원시원한 것이라면 분명히 맞다.

시원시원하다는 것은 액정과 키패드를 들 수 있다. 액정 화면은 바로 이전 모델인 EW-K3500, EW-K2500에 비해 0.5인치 더 넓어진 5인치 크기다. 게다가 한 화면에 들어가는 전체 픽셀수가 76,800에서 153,600(가로480×세로320)으로 2배나 커졌기 때문에 해상도가 그만큼 비약적으로 향상됐다. 이에 따라 한 화면에 19줄까지 한 번에 내용을 표시해줄 수 있으며 획이 복잡한 한자나 일어도 깔끔한 글씨체로 살펴볼 수가 있다.

키패드의 버튼도 이전보다 더 커졌다. 예전 제품도 다른 브랜드에 비해서는 매우 큰 편인데 이러한 장점을 이번에도 톡톡히 살리고 있다. 사전 이외의 기능이 없기 때문에 그만큼 기능키들도 줄고 버튼을 크게 만들 수 있었던 게 아닌가 한다. 게다가 키 배열이나 인터페이스도 사전 중심의 직관적인 편리성을 높였다. 특히, 손이 큰 남성들에게는 유리하겠다.

아직은 전자사전에 대해 매우 비싸다는 거부감을 갖기도 한다. 몇 만원 정도면 구입할 수 있는 종이 사전 한 권과 비교해보자면 사실 그렇다. 더구나 카시오 전자사전은 요즘 나오는 다른 제품처럼 MP3플레이어나 텍스트·이미지뷰어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이 전혀 탑재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런 느낌이 더 강하게 들 수 있다.

하지만 전자사전에 들어있는 사전 하나하나의 가격을 한 번 따져본다면 생각이 바뀔지 모르겠다. 요즘은 예전처럼 종이 사전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예문이나 많이 사용하지 않는 단어 중 일부 컨텐츠를 선별해서 넣는 것이 아니라 통째로 집어넣기 때문에 이러한 가격이 더욱 의미를 가진다. 그만큼 카시오 측에서 컨텐츠 비용에 많은 투자를 했다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물론, 이러한 사전들을 다 살 필요는 없고 꼭 필요한 몇 권만 구입해서 공부하는 것이 더 경제적일 수는 있다. 그러나 카시오의 컨셉이 어느 정도 공부를 마음먹고 깊이 있게 하려는 사람들에 맞춰져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생각해본다. 공부를 열심히 하다 보면 좀 더 다양한 사전을 필요로 하게 된다는 것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일부 사전이 당장은 필요 없을지 모르지만 오랫동안 공부하다 보면 꼭 한 번 사용하게 된다.

그런 측면에서 카시오 전자사전은 영어만 전문으로 공부할 사람이나 영어와 함께 일본어도 깊이 있게 공부하려는 사람으로 나누어 포커스를 맞췄다. 그리고 이에 따른 컨텐츠 구성도 다른 전자사전들보다 돋보이는 부분이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입장에서는 여러 사전을 가지고 다니고 싶어도 종이사전은 몇 권만 가방에 집어넣어도 어깨가 너무 짓눌리는게 사실이다. 그런데 카시오 전자사전을 이용하면 자신의 학습 방향에 맞춘 17종 또는 13종의 많은 사전을 99×144.5×11.9 mm의 크기에 240g의 무게로 전부 넣어서 가지고 다닐 수가 있다.      

카시오 EW-D3700과 EW-D2700은 각각 일본어 컨텐츠를 강화한 EW-K3500과 영어 전문 사전인 EW-K2500의 업그레이드 모델들이다. 두 사전 모두 이전의 시사 엘리트 영한사전, 한영사전에서 시사 e4u 영한, 한영사전으로 바꾸는 등 완전히 새로운 컨텐츠 도입뿐 아니라 기존의 컨텐츠 업그레이드도 보인다. 

EW-D3700은 알찬 국어, 영어 사전은 기본이고 코지엔, 역순코지엔 사전 및 동아 프라임 일한사전, 한일사전, 일본어 한자 읽기 사전, 여행 일본어회화 사전 등 총 17종의 다양한 사전을 담고 있다. 특히, 풍부한 어휘와 알기 쉬운 해설의 코지엔 사전과 코지엔의 수록어를 어구의 마지막 단어를 통해 검색할 수 있게 한 역순코지엔 사전은 다른 전자사전에서는 볼 수 없는 차별화된 컨텐츠라고 할 수 있다.

코지엔 사전은 가장 많은 일본인들이 보는 일본어 사전으로 일본 국어사전의 대명사처럼 불린다. 내용을 살펴보면 백과사전식 설명으로 생활용어, 시사 등은 물론이고 역사, 인명, 지명까지 수록되어 있어 일본 문화 전반에 대해 쉽게 알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역도산’을 검색해보면 “한국인으로써 일본 프로레슬링…”이라는 해설이 나온다.

▲코지엔, 역순코지엔 사전 검색. 50음도 자판을 통해 히라가나, 가타카나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 코지엔 사전은 일본 국어사전의 대명사로 역사, 인명, 생활풍습, 문화를 방대하게 다루고 있다.

▲ 역순코지엔은 검색어를 어미로 하여 코지엔의 수록어를 찾아준다.

이번 모델에서 새롭게 수록된 역순코지엔은 아직 국내에서는 종이사전으로 찾아볼 수 없는 사전이다. 가장 큰 특징은 일반적인 사전의 검색이 순차적인데 비해 이 사전은 단어를 후방정렬 방식으로 검색해준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를 검색어로 찾아보면, ‘가을비, 아침비, 이슬비, 가랑비…’ 등 비가 끝에 붙는 단어들이 검색된다. 게다가 단어의 활용과 동음이의어까지 검색되며 연관관계에 있는 단어들을 한 눈에 볼 수가 있기 때문에 풍부한 어휘 학습에 도움을 준다. 일본어의 특성상 어원의 의미가 뒤에 있기도 하고, 앞의 요소가 단어를 수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본어를 공부할 때 많이 활용되는 사전이다.

이전의 EW-K2500을 업그레이드 한 EW-D2700은 일본어 학습에 대한 컨텐츠는 모두 제외하고 그 대신 옥스포드 연어(Collocation)사전과 대영영사전을 집어넣었다. 특히, 옥스포드 대영영사전은 이번 모델에서 처음 수록된 것이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유의어사전이나 연어사전은 카시오가 가장 내세울만한 특화된 컨텐츠였다. 비록 지금은 유의어사전은 딕플, 연어사전은 에이원프로 등에서도 볼 수 있게 되었지만 사전의 종류나 그에 따른 컨텐츠 양은 어느 정도 차이가 난다. 영영사전도 딕플에서 랜덤하우스 영영사전으로 채용한 바 있으니 어떤 종류의 사전이 더 자신에게 알맞은지는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 카시오는 대영영사전 및 연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영영사전 모두를 옥스포드 사전으로 채용한 것도 특징이다.



▲  영어사전 전문 사전답게 영영사전뿐 아니라 대영영사전, 유의어사전, 연어사전 등을 탑재했다.

대영영사전은 355,000 어휘 및 68,000의 풍부한 예문을 담고 있다. 게다가 12,000여 백과사전 정의도 다루고 있어서 매우 다양한 내용을 통해 시사, 역사, 인물, IT용어 등 여러 지식을 본토 사고를 가지고 영어로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가 있다. 이번에 실린 사전은 2004년도 판으로 최신 언어자료(Corpus)에 기초했다는 것도 장점이 될 수 있겠다.

그런데 대영영사전이 있는데 또 영영사전을 넣다니 약간 의아할 수도 있다. 아마도 종이사전부터 이렇게 분리해 출판돼 있기 때문인 듯하다. 옥스포드 영영사전도 영어 중상급자 학습자들이 매우 애용하는 사전으로 미국식 영어의 풍부한 용례를 살펴볼 수 있다. 미국식 영어와 영국식 영어의 차이도 기재하고 있어 학습을 위해서라면 오히려 더 유용할 수도 있는 사전이다. 물론, 카시오 전자사전에는 통합검색 기능이 있기 때문에 두 영영사전 모두에서 단어를 간편히 검색해서 의미를 비교해 보는 것도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다.    

유의어사전은 검색한 단어를 대체할 수 있는 비슷한 다양한 어휘 및 반의어까지 찾아준다. 표제어와 가장 뜻이 가까운 단어부터 찾아주기 때문에 정확한 단어를 선택하기 쉽고, 풍부한 예문을 통해 보다 정확한 뉘앙스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게다가 잘못 사용하기 쉬운 단어들은 별도로 상세 설명까지 해놓았다.

연어사전은 한 마디로 가장 원어민다운 영어를 구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전이다. 다른 사전처럼 검색한 단어의 뜻이나 비슷한 말, 반대말 등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 단어와 자주 쓰이는 단어나 구문 등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세상’을 검색하면 ‘어머나 세상에’가 나오지만 ‘세계’를 검색한다고 ‘어머나 세계에’라고 나오지는 않는다. 이를 통해 표면적 의미만으로 단어들을 묶으며 공부했을 때 가장 많이 실수하는 일명 콩글리쉬 구사를 예방해주며, 영어 초보자들에게 원어민들의 언어 습관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전자사전의 선택을 결정짓는 주요 요인으로 ‘얼마나 실용적이고 편리한 디자인인가’, ‘얼마나 컨텐츠를 잘 구성했는가’까지 살펴봤다. 이중에서도 가장 확연하게 종이사전과 구별되는 부분은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종이사전에는 또 한 가지 없는 것이 있는데 바로 디자인과 연계된 기능이다.

많은 사람들이 사전을 이야기할 때 컨텐츠의 중요성을 말한다. 종이 사전으로 보자면 여타 종이 책들과 마찬가지로 내용이 100%에 가깝게 중요한 것도 사실이다. 그 누구도 책 속의 내용보다는 표지 디자인이나 글꼴 등으로 먼저 평가받기를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전자사전은 우선 기기로 볼 것인가, 이것도 일종의 책으로 볼 것인가에 따라 약간 사정이 달라보인다. 두산동아와 에이원프로가 전략적 제휴를 맺으며 각각 컨텐츠와 기기 부분을 맡아서 ‘에이원프로 프라임 AP350’이라는 전자사전을 만들었을 때 이 사전의 진정한 주인이 누구인지도 한 번쯤 생각해볼 문제다.

그런데 누가 주인이고, 무엇이 더 중요하고를 떠나 전자사전을 사용하는 이유 중 상당 부분은 기기가 갖는 편리성에서 찾을 수가 있다. 이미 이야기했지만 1.1cm에 불과한 두께와 수첩만한 크기에 20종 가까운 사전을 통째로 가지고 다닌다는 것부터가 매우 행복한 일이다. 여기에 튼튼한 외관 및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저전력 설계 등은 이미 디자인 부분에서 살펴보았던 카시오 전자사전의 일반적인 편리성이다.

 

 

전자사전에는 상당히 많은 수의 사전들이 수록되어 있다. 이미 EW-D2700의 컨텐츠 내용에서도 살펴보았듯이 영영사전만 두 가지가 될 수도 있다. 그런데 한 곳에 이렇게 많이 집약하고도 사전마다 따로따로 검색해야 한다면 여간 비효율적이고 디지털의 장점인 멀티와 통합이란 기능을 제대로 못 활용하는 셈이다.

단어 및 예문, 숙어 등을 통합해서 검색하는 기능은 카시오 전자사전에서만 볼 수 있는 기능으로 사전 찾는 시간을 매우 단축시켜줄 뿐만 아니라 여러 사전을 동시에 펼쳐놓고 공부하는 것처럼 다양한 검색을 간편하게 해줘서 학습 능률도 향상시켜준다.

▲ 통합검색 기능 : 영어와 일본어, 국어 등으로 검색어를 입력하면 탑재한 사전들에서 전체적으로 사전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통합검색은 예를 들어 'study'을 입력하면 영한, 영영, 유의어, 일일 사전(일일사전은 EW-D3700모델의 경우만) 등에서 그 단어를 쭉 보여준다. 게다가 미리보기 기능이 있기 때문에 커서를 위아래로 이동시키며 간편하게 각 사전들이 담고 있는 내용들을 비교해가며 살펴볼 수가 있다. 특히, 다른 언어로 표현하는 의미들을 한번에 살펴볼 수가 있기 때문에 외국어를 공부하는 데는 매우 유용하다.

▲ 통합검색 중에는 미리보기 형태로 보여주기 때문에 동시에 여러 사전을 살펴볼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시프트 키를 한번 눌러주고 통합검색을 하면 예문 및 숙어도 통합검색을 할 수가 있다. 통합검색의 업그레이드 버전이라고 할 수 있는데 통합검색에서는 영어뿐 아니라 국어와 일본어(일본어는 EW-D3700모델의 경우만)도 지원했던 것과는 달리 예문/숙어는 영어만 지원한다.


▲ 이번 모델에서는 숙어 및 예문까지 통합검색이 가능하다. 이때는 [표시전환]키로 미리보기를 하단에 위치시키는 것이 보기 편하다.

예문이나 숙어 중 원하는 타입을 선택해 단어를 입력하면 관련된 영한, 대영영, 영영, 연어 사전(대영영, 연어사전은 EW-D2700모델의 경우만) 등에서 예문/숙어를 쭉 나타낸다. 예문 및 숙어는 단어와 달리 글이 길기 때문에 표시전환 기능을 이용해 미리보기를 하단에 위치시키는 것이 보기 편하다. [설정] 키를 눌러 ‘예문/숙어 즐겨찾기 사전 등록’ 메뉴로 들어가 먼저 검색되는 사전을 선택해놓을 수도 있다.

예문 미리보기 기능은 카시오 전자사전을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접하게 되는 미리보기 기능을 예문에 적용한 기능이다. 지금까지 전자사전은 종이사전과는 달리 예문을 보려면 예문 아이콘을 체크하고 [엔터] 키를 또 눌러 새 창으로 따로 보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하지만 카시오 전자사전은 검색 내용에 들어가 [예문·해설]를 눌러주기만 하면 해당 뜻과 함께 예문을 한 화면에 동시에 볼 수가 있다. 종이사전의 장점을 어느 정도 살려줬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상하 방향키를 이용하면 예문을 스크롤하며 볼 수 있다.

▲ 줌 기능을 이용하면 글자 크기를 12, 16, 24도트 등으로 바꿔줄 수 있다.

예문 미리보기 기능이 종이사전의 장점을 살려놓은 것이라면 표시전환 기능은 줌 기능과 함께 전자사전만의 장점이라 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줌 기능은 다른 전자사전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지만 줄 간격까지 조절해주는 표시전환 기능은 카시오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이다.

▲ 무조건 12, 16, 24도트로만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한자의 경우에는 48도트로 곧바로 변환시켜줘 한 획씩 확인하기 편하게 만들어준다.

종이사전은 한번에 해설 및 예문까지 많은 문장을 볼 수는 있지만 많은 사전들이 글씨가 너무 작고 줄 간격이 좁아 보기에 갑갑하고 어려움을 느끼기까지 한다. 하지만 카시오 전자사전은 [줌] 키를 눌러 글씨 크기를 3단계로 확대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표시전환] 키를 눌러주면 줄 간격을 3단계로 조절할 수 있고, 마지막 단계에는 괘선까지 그려줘 읽기에 편하게 만들어준다.

▲ 표시전환 기능을 이용하면 줄간격을 넓히거나 괘선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 사전 검색 중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점프 기능을 이용해서 다시 검색해볼 수 있다. [점프]키를 눌러 해당하는 단어를 체크해주고 [엔터]를 누르면 검색할 수 있는 사전들 목록이 표시된다.

점프 기능도 전자사전의 빠른 검색과 활용도에 날개를 달아주는 기능이다. 단어의 뜻을 찾다가 검색한 의미풀이나 해설 부분에서 모르는 단어가 나타나면 바로 다시 사전 검색을 할 수 가 있다. 영한사전에서 영어단어의 의미를 보다가 모르는 국어단어가 나타나면 곧바로 국어사전에서 찾아볼 수 있는 등, 여러 사전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점도 매력이다.

다른 브랜드의 전자사전들도 대부분 채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사용 방법이 약간씩 다르고 연속 사용할 수 있는 횟수에서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어떤 사전은 정작 검색어 자체는 점프 기능을 통해 곧바로 여러 다른 사전으로 검색해 볼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카시오 전자사전은 사용 방법이 비교적 간편할 뿐만 아니라 횟수와 사전부의 제한 없이 무한대로 멀티 점프 기능이 가능하다. 시프트 키를 누른 뒤 [점프]키를 눌러 영어단어만 검색하게 해줄 수도 있다. 

다른 브랜드의 전자사전들도 대부분 채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사용 방법이 약간씩 다르고 연속 사용할 수 있는 횟수에서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어떤 사전은 검색어 자체는 점프 기능을 곧바로 이용할 수 없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카시오 전자사전은 사용 방법이 비교적 간편할 뿐만 아니라 횟수와 사전부의 제한 없이 무한대로 멀티 점프 기능이 가능하다. 시프트 키를 누른 뒤 [점프]키를 눌러 영어단어만 검색하게 해줄 수도 있다. 

▲ 암기가 필요하거나 자주 검색할 것 같은 단어들은 단어장에 정리해두면 매우 효과적이다.

 

 

----------------------------------------------------------------------------------------------------------------------

 이번에 이 전자사전을 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리뷰다. 정말 자세히 잘 해 놓은 것 같고....2700 딱 2%앙쉬운게 발음이 안된다는건데.....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사전 나쁘다고 하는 상품평이 없어서 정말 믿음을 가지고 구입을 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자사의 콘솔 게임기인 XBOX 360의 HD DVD 드라이브를 번들화하지 않을 것이라는 발표를 한지 얼마 지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번복하고 HD DVD 드라이브의 번들화를 발표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HD DVD 외장 드라이브의 가격(이하 영국기준)은 당초 말했던 199 달러 내외가 아닌 371달러로 무려 172달러나 높은 가격이며, XBOX 360과 HD DVD 외장 드라이브의 패키지 가격은 746달러라고 GameIndustry.biz는 전하고 있다.

이렇게 HD DVD 드라이브의 가격이 높아진 이유는, 블루레이 드라이브나 HD DVD 드라이브의 픽업 장치에서 핵심을 이루는 청색 레이저 다이오드의 수급 문제 때문이라고한다.

 출처 케이벤치

------------------------------------------------------------------------------

 사고 싶은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이크로소프트가 구글, 야후의 온라인 검색 사이트 대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검색 엔진을 공식 출범했다.

‘라이브 서치(Live Search)'라 명명한 새 버전의 검색 엔진은 MSn, 윈도우 라이브 서비스를 통해서 제공되기 시작했으며 위 사이트들은 전 세계적으로 월 평균 4억 6500만명이 방문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부사장 크리스토퍼 페인은 라이브 서치의 출범은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 사업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이정표라고 밝혔고 이는 단지 시작이며 지속적으로 검색 서비스 분에서 투자를 해서 웹에 있어 새로운 차원의 개인화 서비스와 웹 사용시 개인별 제어기능을 부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새 검색 엔진을 장착한 라이브닷컴 (www.live.com)은 새로운 디자인으로 제목을 제외하고는 검색 질의 창 하나만을 장착하고 새롭게 선보였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뉴스, 이미지, 비디오, 블로그등의 다양한 인터넷 정보와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검색 엔진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여러 휴대용 컴퓨터 기기와 호환성을 제공하며 지도, 위성사진 검색도 강화되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작년부터 윈도우 라이브 서비스를 테스트해오고 있다.

출처 케이벤치

----------------------------------------------------------

 새로운 것이 나오는군 드디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1주일간의 50% 스트레스 후

 이 테스트 시스템에 운영체제는 한글 윈도우 XP sp2를 설치했다. 물론 설치과정 내내 위와 같이 CPU 쿨러의 팬은 제거된 상태이며, 케이스 내부 앞뒤로 부착되어있는 120mm 팬은 동작시킨 상태이다. CPU 팬만 제거한 것으로도 소음은 엄청나게 줄었다.

설치된 시스템을 CPU-z와 Sandra를 통해 간단히 사양을 확인해보자.

▲ CPU-Z CPU 정보

▲ Sandra 시스템 정보

테스트 시스템의 바이오스 설정에서는 각종 전압은 기본값을 선택했으며, EIST(Enhanced Intel SpeedStep Technology)는 disabled로 설정했다.

테스트시스템에는 온도변화추이를 살펴보기 위해 디지털 박막온도계를 설치했다. CPU 코어 위에 온도센서를 설치할 수는 없기 때문에 CPU 측면에 최대한 밀착시켜서 센서를 설치했으며, 또 하나의 온도센서는 케이스 한가운데에 두어서 내부온도를 측정했다.

이 시스템에 전원을 인가한 뒤 약 1시간 이후 idle 상태의 온도는 다음과 같다.

▲ idle 상태의 온도

이 상태에서 CPU에 부하를 주는 테스트용 어플리케이션인 Stress Prime 2004를 실행해서 두개의 코어중 하나에 100%의 CPU 사용량을 만들었다. 두개의 코어 중에서 하나에만 100% 부하를 주기 때문에 전체적으로는 50%의 부하인 셈이다. 사실 Sandra의 버닝테스트로 각각의 코어에 50%씩을 주어서 테스트하려 했지만, Sandra의 경우 지속적인 부하를 주지 못하고 일순간 부하가 10%대로 떨어지는 현상이 계속 발생해서 지속적인 부하를 유지해주는 Stress Prime 2004를 선택하게 되었다.

위의 상태가 50% 부하를 가하기 시작한 시점이다. 윈도우 작업관리자의 CPU 사용율에는 총합 50%를 사용하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이 상태로 약 1주일이 흘렀다.

▲ 50% 부하로 180여시간이 흐른 뒤

아직까지는 무사히 버티고 있다. 첫번째 관문은 패스한 것이다. 이 때의 온도는 다음과 같았다.

▲ 50% 부하 1주일 후의 온도

케이스 내부 온도(左)는 별다른 변화가 없고, 프로세서에 근접해둔 온도계는 idle 상태보다 약 9℃가량 상승했지만, 별다른 시스템상의 문제는 없다.(이 온도는 프로세서의 절대온도가 아님을 재차 밝혀둔다. 단지 프로세서의 온도변화 추이를 지켜보기 위해 온도센서를 최대한 깊게 위치해서 상대적인 온도변화를 확인하는 용도일 뿐이다. CPU쿨러의 팬을 제거하고 50% 부하를 줄 때의 CPU 온도가 62도라고 생각하면 안된다.)

자, 1단계 관문을 통과했으니 다음 관문은 프로세서 부하 100%를 주는 단계이다. 이 단계의 결과는 1주일 후에 이 글에 추가페이지로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다시 한번 강조하지만,

※주의※
이 테스트는 실제 PC사용환경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 제조사나 메인보드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사용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서의 사용이 프로세서나 메인보드, 그리고 각종 주변기기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조사가 권장하지 않는 사용법이기 때문에 사용도중 고장을 일으켜도 각 제조사는 보상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 위와 같은 사용환경을 이용할 사용자들은 이점 유의해서 신중하게 선택하길 바란다.


출처 케이벤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CPU에도 스트레스를 좀 줄까?

여러분중에 조만간 코어2듀오 프로세서로 업그레이드를 준비하시는 분이나 이미 코어2듀오로 이동하신 분들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어떤 기대를 가지고 코어2듀오를 구매하셨는지?

물론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단순히 최신제품이기 때문에 이왕 살거 가장 최신으로 사는게 남는 것이라는 생각으로 구매했을 수도 있고, 성능향상의 차이가 궁금해서 모험을 했을 수도 있고, 리뷰 등으로 확인한 성능 중에서 특정부분의 향상된 성능이 필요해서 업그레이드했을 수도 있다.

만일 필자가 현재 코어2듀오로 업그레이드한다면? 필자는 낮아진 전력소비량에 많은 기대를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전력소비량이 낮아지면 TDP(Thermal Design Power)가 낮아진다는 것이고, 이것은 바로 발열량 하락을 의미한다. 발열량이 하락하면? 쿨링솔루션 파워를 낮출 수 있다는 의미로 이어지며, 이것은 필자가 바라는 궁극의 가정용 PC 시스템인 무소음 PC에 한발 더 다가서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코어2듀오의 TDP는 어느정도 낮아졌을까? 다음은 코어2듀오(코어2익스트림 포함)의 최저클럭 모델과 최고클럭 모델, 그리고 펜티엄D 최저클럭 모델과 최고클럭 모델의 비교표이다.

 

모델명

코어2듀오
E6300

코어2익스트림
X6800

펜티엄D
805

펜티엄D
960

동작클럭

1.86GHz

2.93GHz

2.66GHz

3.60GHz

버스 스피드

1066MHz

1066MHz

533MHz

800MHz

L2 캐시

2MB

4MB

2MB

4MB

공정

65nm

65nm

90nm

65nm

TDP

65W

75W

95W

130W

코어 전압

0.850~1.3525V

0.850~1.3525V

1.25~1.4V

1.3V

사양만 놓고 보면 엄청난 차이가 난다. 우리가 일전에 진행한 코어2듀오 리뷰에도 잠깐 언급했지만, 기존 펜티엄D나 펜티엄XE의 발열량은 엄청나며, 코어2듀오의 발열량은 상당히 줄어들었다. 우스갯소리로 인텔의 프레스캇 코어 프로세서를 '프레스핫'이라고 불리우던 굴욕에서부터 벗어난 것이다.

성능은?

코어2듀오의 성능은 이미 리뷰를 통해서 자세히 알아보았다. 성능확인은 아래의 링크를 이용하자.

[리뷰] 코어 아키텍쳐로 무장한, 인텔 코어2 프로세서 (7월 26일자)

그렇다면 정말 코어2듀오는 발열량이 줄어들어서 쿨링 시스템을 한단계 낮출 수 있고, 그만큼 소음을 줄이고도 아무런 문제없이 쓸 수 있는 것일까?

우리는 이 부분을 짚고 넘어가보기로 했다.

필자의 테스트 계획은 간단하다. 코어2듀오 테스트 시스템을 완전 조립된 상태에서 동작시키되, 발열에 대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쿨링솔루션을 하나씩 제거해가면서 프로세서 스트레스 강도를 높여가는 것이다. 그 끝은 시스템이 다운되거나 문제없이 한달이 되는 시점까지로 잡았다.

테스트에 사용할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프로세서

Intel Core2Duo E6300

메인보드

Intel DP965LT (P965)

메모리

삼성 DDR2 PC5300 1GB (512MBx2)

그래픽카드

NVIDIA GeForce PCX 5750

하드디스크

Seagate Barracuda 7200.9 80GB

파워서플라이

Seventeam ST-420BKP-02F

케이스

GMC H60 風

테스트 시스템을 사진으로 자세히 살펴보자.

무언가 색다른 모습이다. 그렇다. CPU 쿨러는 리테일 쿨러이지만, 쿨러 상단에 응당 붙어있어야 할 팬을 제거했다. 이것이 필자가 원한 1차 과제이다. 물론 CPU 쿨러만큼이나 소음의 주범인 메인보드 칩셋쿨러는 애초에 없는 모델이다.

▲ CPU 쿨러의 팬을 제거했다.

그래픽카드에도 별도의 쿨링팬이 부착되어있지만, 그래픽카드의 발열은 이번 테스트와는 별개이며, 그래픽카드의 발열로 인해 시스템 동작이 영향을 받으면 코어2듀오 발열관련 테스트에 방해가 되기 때문에 그래픽카드의 쿨링솔루션은 손대지 않고 기본상태로 그대로 둔다.

메모리에서 발생하는 열도 있겠지만, 가장 보편적인 상황재현을 위해 히트싱크가 없는 일반 삼성 메모리모듈을 두개 사용했다. 대부분의 PC 사용자들이 이런 형태의 메모리를 두개 내지 네개 사용할 것으로 기준을 잡았다.

하드디스크는 S-ATA 타입 Seagate Barracuda 7200.9 한개를 사용했다. 그 앞쪽에 보이는 케이스 전면팬 120mm는 일단 함께 동작시키기로 했다.

현재까지 알아본 바로는 두개의 쿨링팬이 작동하게 되어있다. 하나는 그래픽카드의 쿨링팬이며, 또 하나는 케이스 전면부 120mm 팬이다. 여기에 후면부 120mm 팬 역시 동작시킬 예정이며, 파워서플라이에 있는 120mm 팬은 선택의 여지없이 동작시켜야 한다. 별도의 분해/조작과정이 없으면 파워서플라이의 팬은 중단시키지 못하며, 파워서플라이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안했을 때 이 팬을 정지시키면 파워서플라이 자체의 문제로 시스템이 다운된다.

이렇게 테스트 시스템 준비가 끝났다. 실제 시스템 동작시 측면 커버는 물론 닫는다.

※주의※
이 테스트는 실제 PC사용환경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 제조사나 메인보드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사용환경이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환경에서의 사용이 프로세서나 메인보드, 그리고 각종 주변기기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제조사가 권장하지 않는 사용법이기 때문에 사용도중 고장을 일으켜도 각 제조사는 보상의 책임을 지지 않는다. 위와 같은 사용환경을 이용할 사용자들은 이점 유의해서 신중하게 선택하길 바란다.

 

출처 케이벤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