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지영 5집 - Thank You I Can Smile Again - Special Edition
백지영 노래 / Kakao Entertainment / 2006년 8월
평점 :
품절


 백지영의 5집, 댄스곡같이 템포가 빠른 곡도 있고, 발라드도 있는데, 이번 앨범은 전 앨범과는 다르게 발라드가 좀 많은 것 같다. 우선 대표곡인 사랑안해는 이미 많이 알려졌고, 백지영의 화려한 컴백에 불씨를 당긴 곡이라서 백지영 자신에게는 더 의미가 있는 곡이지 않을까 싶기도하다. 그래서 스마일 어게인....다시 웃은 백지영에게는 의미 있는 5집이 아닐까 싶기도 한데.... 전과는 많이 다른 느낌의 앨범이라는 생각이 든다. 앨범 전체적으로 신난다기 보다는 좀 분위기 있고, 조용한 노래가 대부분이다 보니까 앨범을 듣는 동안 별로 흥겹다거나 하지 않는것이 이전의 이미지와는 다른 앨범이라고 생각을 해본다... 하지만 백지영이라하면 역시 부담, 대쉬 등등.... 신나는 댄스 노래의 선두주자 였는데 아쉽기도 하다...

 사랑안해 부터 해서, 가지마, 버리기 위해서 같이 이별을 얘기한 발라드노래는 좋기도 하지만 왠지 쓸쓸하기도 하고 EZ Do dance나  Wooha 같이 댄스도 있는데, 조금 듣기엔 거슬리고 백지영의 댄스와는 색깔이 다른 것 같은 느낌의 곡들이고,  이 앨범에서 굳이 백지영의 색깔의 댄스곡을 찾으라고 한다면 그나마 축제란 곡이 이 앨범중에서 가장 백지영 다운 곡이 아닐까 싶다..하지만 이 곡도 그 전 앨범들의 댄스 곡들과 비교하면 많이 아쉽다. 추억의 손톱도 약간 탬포가 빠르나 댄스곡이라고 하기엔 약간 미지근하고, 별로 좋은것 같지는 않다.

 결론은 이 앨범은 전체적으로 이별을 다룬 앨범이라는 것이고, 그리 신나는 앨범은 아니라는 점이다. 그래서 지금까지의 백지영의 이미지를 완전히 벗어난 앨범이었다고 생각이 된다. 발라드곡들 좋기도 하고, 분위기도 있지만, 역시 백지영에게는 빠른 템포의 댄스곡이 정말 제일 잘 어울리지 않은가 싶다.. 그런 곡들이 신나기도 하고, 힘도 나는데, 여기 수록된 댄스곡들은 갈증을 채워주기에는 많이 부족한 듯싶다. 그나마 발라드곡들은 괜찮지만....  다음 번 앨범은 내가 생각한 백지영의 색깔이 다시 나타날지, 아니면 이 이미지로 굳힐지 ........기다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2006년 8월 19일 하늘에 무지개가 떴다. 헐레벌떡 찍느라고 무지개 사진은 폰카로 찍어서 화질이 별로 좋은 편은 아니다. 무지개가 뜬 방향은 남쪽하늘. 하늘이 보랏빛 뿌옇다. 반면 같은시간대의 북쪽하늘은 노을이 지면서 선명한 하늘을 보여준다. 정말 완전 대조적인 하늘이었다. 히뿌옇고, 어두운 동남쪽하늘과 환하고 뚜렷한 북서쪽하늘이....
 근데 궁금한건 왜 항상 무지개는 저 똑같은 방향에서만 생기는 것일까?.... 2003년도 부터 촬영한 무지개 사진이 있는데, 전부다 같은 장소이고, 예전 어릴적 부터 1996년 부터 봐온 사진을 보면 그 현상은 더 또렷하다. 무지개는 항상 저 장소에서만 생겨난다는 사실... 다른 곳에서 무지개를 본적이 없다.  왜 항상 저 장소 일까? 아직까지 궁금하다. 왜 다른 곳에는 무지개가 생기지 않고, 항상 저 장소에서만 생길까.... 저 장소에서만 무지개를 본게 초등학교 때 1번 중학교 때 1번 군대가기전 대학생때 2번 그리고 제대후 1번...이렇게 전부 저장소였다는 사실....왜 지금에 와서야 그것이 의문이 드는지 모르겠지만, 갑작스레 궁금해진다. 무지개만 뜨면 같은 장소라는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라에 따라서는, 또는 도시에 따라서는 그렇게 가로로 되어있는 곳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하면 승차 한계 인원이 그만큼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한 이유로 전철의자를 세로로 길게 만들어 놓은 것인데요, 이렇게 함으로서

러시아워때 그만큼 수송능력이 커지게 됩니다. 승강장 및 열차를 길게 만들어

사람이 많이 타게 하거나 배차간격을 줄이는 데는 한계가 있으니까요. 서울의

지하철은 세계에서 몇째 안에 들 정도로 수송능력이 많고 배차간격도 짧은 편에

속하지만 근무지가 특정지역에 많이 집중되어 있어 자가용 위주의 교통 시스템을

만들기 어렵고, 소득이 낮은 사람들이 직장에서 먼 곳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정 구간의 혼잡도가 그만큼 높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혼잡도를 기록하는 곳이 일본의 도쿄와 한국의 서울인데요, 일본의 도쿄는

지하철은 많아도 장거리 출퇴근자가 워낙 많아 혼잡을 피할 수가 없는 것인데요,

서울은 아마 그 다음 갈 것으로 판단됩니다. 심지어 도쿄에는 세로로 길게 되어

있는 좌석이 접이식으로 되어 있어 러시아워때는 완전히 접어놓고 승객 전원이

서서 가도록 되어있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사실 소득이 낮은 사람들일수록 회사

에서 가까운 곳에 사는 곳을 선호합니다. 그러나 회사가 한쪽으로 몰려 있고

도시 규모가 커지다 보면 자가용 위주의 시스템을 만들기 어렵고, 그러다 보니까

회사 가까운 곳에 살지 않으면 출퇴근 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워지다 보니 소득

이 높은 사람이 회사 가까운 곳으로 몰리게 되어 그 지역의 집값을 올리게 되고

그러다 보면 자연히 소득이 낮은 사람들이 먼 곳으로 쫒겨나는 형태를 가지게 되

기 때문에 대중교통이 발달하더라도 러시아워의 혼잡을 피하기는 어렵게 됩니다.

서울의 회사들을 주택지역에 분산시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직장 부근에 거주하

도록 할 수만 있다면 교통문제는 해결된 거나 다름 없겠지만, 그러한 것이 불가

능하다면 대중교통의 수송능력을 높이는 것이 그나마 차선책으로 쓸 수 있는 방법

이겠지요. 외국의 지하철이 좌석이 가로로 되어 있는 경우는 그만큼 특정지역의

근무지 집중도가 낮아 소득이 낮은 사람이 가까운 곳에 거주할 수 있는 경우가

많은 경우라고 할 수 있는데요, 미국 LA의 경우가 대표적인 경우라 할 수 있지요.

LA는 도시 주변에 산타모니카, 노스리지, 가든그로브, 리버시아드, 얼바인 등

여러 위성 도시들이 있는데 서울에서처럼 이 지역 주민들의 대부분이 LA 다운타운

으로 출근한다면 도시 규모에 비해 빈약한 대중교통으로 수용이 가능할까요?

아마 출근시간에는 시 전체가 거의 마비될 겁니다. 물론 LA도 교통체증이 상당한

수준이기는 하지만, 근무지가 많이 집중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나마 이 정도 수준

을 넘지 않는 것이지요. LA 다운타운이나 윌셔가 등에도 고층빌딩이 많이 있기는

하지만 이것들을 다 합쳐도 서울의 테헤란로 수준에 불과합니다. 그만큼 근무지

가 집중되어 있지 않았다는 뜻이지요. 그러니까 고소득층이 일부러 멀리 사는 경

우가 많고 때문에 저소득층이 회사 가까운 곳에 살기가 그만큼 용이하게 됩니다.

적어도 자가용을 이용하지 않고 출퇴근을 하는 사람들의 90% 이상이 통근거리가

10km를 넘지 않습니다. 서울에서 지하철로 출퇴근하는 사람들 중에 직장에서

10km 이내에 집을 가진 경우가 과연 몇 %나 될까요? 아마도 30% 에도 못 미칠

것입니다. 물론 일본 도쿄는 그보다 더 낮을 거고요. 열차 수송능력이 조금만

떨어져도 러시아워때 혼란이 그만큼 커진다면 그게 그거일수는 없겠죠?

그 판단은 님께 맡기겠습니다...
이의제기 내용추가 (2004-10-11 13:13 추가) 이의제기 내용보기
U턴하는 것이 아니라 양방향으로 달리기 때문에 그렇게 좌석을 배열했을수도 있을 겁니다. 그런데 미국 LA같은 경우는 좌석의 절반은 진행방향으로, 절반은 역방향으로 가로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U턴을 하지 않고도 양방향 운행을 무리없이 할 수 있는데요, 사실 LA같은 도시는 대중교통만으로 장거리 출퇴근을 한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자가용을 소유할 수 없을만큼 소득이 낮은 사람이 직장 부근에 거주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사실 소득이 낮은 사람들이 회사에서 먼 곳에서 사는 주된 이유는 회사 가까운 지역이 대부분의 사람에게 비슷하고, 그 지역의 주거비가 상대적으로 비싼 것이라고 할 수 있지요. LA도 만약 코리아타운 등의 집세가 비싸고 오렌지카운티 등의 집세가 싸다면 오렌지카운티까지도 지하철이 생기지 않았겠나 생각됩니다. 그런데 실제 방세는 코리아타운이나 오렌지카운티나 거의 비슷하거나 오히려 오렌지카운티 쪽이 비싼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아마도 생활에 여유가 없는 사람이라면 집세가 비슷할 경우 회사에서 가까운 곳과 먼 곳 중에서 어느 쪽을 택할 것인지는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쉽게 알 수 있을 겁니다. 미국에서도 뉴욕이나 시카고의 경우는 도심지역의 주거비가 비싸 소득이 낮은 사람이 먼 곳에 거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곳은 좌석이 세로로 되어 있기도 하고, 지하철의 양도 거의 서울 수준입니다. 그리고 외국의 지하철도 모두 양방향으로 문이 열리게 되어있는 점 알아두시기 바랍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인

---------------------------------

개인적으로 많이 궁금했던 부분이었는데, 사실인지는 모르겠으나 한가지 가능성은 생긴거 같다. 이래서 그렇게 했을 수도 있겠다는 것.. 확증이 아닌 다음에야 100% 수긍을 하지 않지만, 이래서 그럴수도 있겠구나 싶기는 하다. 하지만 좀 뻘쭘하기는하다. 가만히 있으면.... 바로 앞사람의 얼굴이 보이기에,  책을 보거나 음악을 들으며 눈을 감거나, 자거나..... 이럴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5번 주자 : npscan

'게임리그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스타크래프트'

 

'반면에 대회조차 열리지 않고 외면받는 워크래프트'

 

'이것이 바로 한국에 현실'

 

 

일단 기본적으로 3와 2D의 차이점을 말해야겠죠.

 

아무래도 워크는 3D다 보니 화려한 그래픽이 정말 멋집니다.

 

반면에 스타크래프트는 화려함은 사실 찾아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워크는 스릴이 없죠. 스타에서는 마린 한마리로 럴커를 잡는

 

정말 아슬아슬한 장면들이 많지만

 

워크는 움직임이 다소 느리기 때문에 아슬아슬한 장면이 나와도

 

그리 스릴넘치게 느껴지진 않습니다.

 

또 워크는 아이템을 먹고 살수도 있죠. 이걸로 게임의 판세가 갈라지기도 해서

 

몇 워크 유저들은 불만을 사서 접기도 했습니다.

 

스타는 뭐 아시다시피 그냥 먹은만큼 자신이 뽑아내기에 달렸으니 ...

 

그리고 최종적으로 한국인이라면 스타크래프트 쪽에 재미가 더 있을 겁니다.

 

워크는 사실 유즈맵 비중이 많이 큽니다. '카오스'라는 게임이 있는데

 

워크 유저중 대부분이 이걸 즐기고 밀리의 비중이 실질적으로 낮고

 

스타의 경우에는 '저글링블러드,젤다,폭탄피하기'를 제외하고는

 

크게 높질 않습니다. 새로 계속해서 나오니까요. 요즘에는 '타입문'이라고 나왔는데

 

또한 스타는 스릴이 넘치며 운보다는 실력쪽의 비중이 큽니다.

 

워크가 아이템으로 인한 운으로 게임이 갈리는 것이 비하면요.

 

게다가 워크는 마법이며 아이템이며 소환 동물이며 많이 복잡하지만

 

스타는 쉽게 금방 익힐 수 있습니다.(워크 유저들에겐 ㅈㅅ하지만)

 

저는 스타를 권하고 싶네요. 계속해서 망한다,망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최고의 게임리그도 진행중이며 명실상부 최고의 게임이 아닙니까

 

반면에 워크는 유렵쪽에서 활발히 인기몰이를 하며 한국에서는 외면받는 현실.

 

대세를 따르세요. 물론 워크도 재미있습니다. 하지만 익히기가 심히 어려우실 겁니다.

 출처 네이버 지식인

--------------------------------------------------------------------------------------------------------------------

  워크 와 스타의 비교가 이렇게 올라와서 스크랩을 해보았다. 워크와 스타를 비교해보면 우선 한국에는 스타유저가 많은것이 사실이고, 정말 스타크래프트 뽕뽑는 게임이다. 정말 오래 생명을 유지 하고 있다. 이제는 질릴 때가 되었는데도 말이다. 스타는 과거 재미있었지만, 솔직히 워크래프트가 훨씬 재미있는 게임이라고 생각한다. 더 진보된 게임이기에.... 스타도 재미있지만 게임들이 많이 진화될 이 시점에서는 오히려 너무 단순하다고 할 수 있겠다. 워크는 여러 아이템들이 있어서 더욱 화려한 게임을 할 수 있고, RPG의 재미...바로 영웅을 키우는 재미또한 느껴 볼 수 있기에 개인적으로는 워크래프트를 더 좋아하고 스타는 이제 잊어버린지가 5년이다. 솔직히 너무 오래간다. 스타크래프트는 고전게임이라고 해도 전혀 손색이 없을 만큼 오래 된 게임인데,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긴것 같다. 이제는 좀 바꿔야 할 때가 된 것 같은데... 하긴 인기가 있으니까 아직 수명이 있는 걸테니..... 그래도 이건 좀 심한것 같다. 게임이 너무 비정상적으로 오래가는 것 같아서... 게임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져야 하지 않을까? 스타를 대신할 게임은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국내 LCD모니터 시장에서 17인치보다 19인치 제품이 더 많이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쇼핑포털 다나와(대표 성장현, 손윤환, www.danawa.com)가 다나와를 통해 판매된 LCD 모니터 판매량을 분석한 결과 지난 7월 처음으로 19인치 LCD 모니터 판매량이 17인치 제품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19인치 제품이 17인치 제품의 판매량을 앞서면서 대형화로 흐르는 LCD 모니터 시장에서 세대교체가 일어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17인치 제품은 올 1월 56% 정도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며 34% 수준의 19인치 제품과 22% 포인트의 격차를 보였으나 상반기 LCD 모니터 가격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이 강화된 19인치 제품의 공세에 밀려 시장 점유율이 계속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 1월부터 7월까지 17, 19인치 모니터 시장점유율 변화 추이 (다나와 판매집계 결과) >

 

 

이 같은 점유율 변화는 LCD 모니터의 전반적인 가격하락과 그에 따른 17, 19인치 제품간 가격차 감소 때문으로 풀이된다.

 

연초에 17인치 제품의 평균가격은 약 28만 3000원, 19인치 제품은 37만 9000원 수준으로 9만 6000원 정도의 가격차가 있었지만 6개월간 제품별 가격하락이 이어지면서 17인치는 20% 정도 하락한 22만 7000원, 19인치는 약 25.6% 하락한 28만 2000원 정도의 평균가격을 형성하면서 가격차가 5만 5000원 정도로 줄어들었다.

 

또, 최저가 모델의 경우 가격하락폭이 더 커, 19인치 최저가 제품은 연초보다 약 30% 정도 하락한 18만 ~ 19만원 대를 형성하며 인치당 만원 수준에 이르렀다. 17인치 제품의 최저가가 14만 ~ 15만원 수준으로 가격차는 약 4만원 정도다. 현재 19인치와 20인치 제품의 가격차가 9만원 이상임을 감안할 때, 매우 근소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제품간 화면 크기에 따른 가격차가 크지 않은데다가 19인치 제품도 큰 부담 없이 살 수 있는 가격이어서 소비자들이 화면크기가 더 큰 19인치를 선택, 모니터 시장의 무게 중심이 이동한 것으로 분석된다.

 

< 17, 19인치 LCD 모니터 평균 가격 동향 >

 

 

한편, 와이드 모니터에 최적화된 ‘윈도우 비스타’의 내년 초 출시를 앞두고 하반기 20인치 이상 화면크기의 대형 와이드 모니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최근 20인치 와이드 모니터의 최저가가 20만원 대에 진입하면서 19인치 제품과의 가격차가 8만 ~ 9만원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연초 17, 19인치 제품간 가격차 9만 6000원보다 작은 정도로 가격경쟁력이 있다는 평가다.

 

이에 따라 17인치 제품을 누르고 LCD 모니터 시장의 주력 제품으로 부상한 19인치 모델이 하반기엔 새롭게 20인치 모델과 모니터 시장을 놓고 뜨거운 쟁탈전을 벌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다나와 정보팀 / 윤제필(yjp7925@danawa.com)

출처 다나와

==================================================================

 이제는 19인치도 아니다. 조금있으면 20인치 이상이 대세가 될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24인치를 구입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