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 . 1 중심잡기 (프라 1일차 )
중심잡기.. 말그대로 프라위에 올라타서 오래 버티기 입니다. 프라를 처음 타본사람은 올라가자마자 바로 떨어지기 일쑤지요.
하지만 계속 시도해 본다면 1초, 2초, 4초, 점점 시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땀 뻘뻘 .. 초공감 ?? 안그래요 ? 경험자 분들 ㅎㅎ)
30분에서 2시간 정도면 ok ~~~~ (아직도 무게 중심잡기 힘드시다는 분들?? 이미 중심은 다 잡혔습니다. 하핫
평지에서는 좀 타는 분들도 가만 있는 상태로는 몇초 못버티죠. 자 다음으로 넘어 가겠습니다. )
어느정도 제자리에서 버틸수 있다면 이제 약간의 경사를 찾습니다.
step . 2 다운힐 (-ㅅ-; ) (프라 1일차 )
제목은 뽀대나게 다운힐.. 그러나.. 다운힐과 전혀다른 ..
자 일단 약간의 평평한 내리막길을 찾습니다. 프라를 가만 놔두면 알아서 굴러가는정도??
뭐 어찌됏던간에 경사에서 프라를 탑니다. 앞에서 연습한 중심잡기로, 이제 실전에 도전합니다.
아직까지 스텝은 머리속에 잠시 잊어주시고..
일단 내리막길에서 중심잡으며 내려오기 연습을 합니다. 다리가 후들후들 거리실겁니다.
1시간 ~
그리고 많은 연습후...
중심만 잘잡아준다면 내리막길이 끝나고 추진력이 다될때 까지 프라에서 떨어지진 않을겁니다.
이렇게 1시간~또는 이상 연습해 주세요.
step . 2-1 스탭 (드디어 스텝 ~~) (프라 2일차) 사실상 스텝 강좌는 아님 .
자신이 운동신경이 없다는 초보분들은 아직도 감이 오지 않으실겁니다. (저 역시 마찬가지.. )
다시 내리막길에서 연습합니다. 이제 어느정도 무게중심을 잡으며 여유롭게 내려오실것으로 압니다.
이렇게 내리막길 그냥 내려오기 마스터를 하세요 !! ( 안너머 지고 얼마나 멀리가냐는 둥,, )
1시간 가량 연습 필요 !!!
step . 3 스탭 ( 3일차)
사실상 3일차지만 배운시간으로 봣을때 약 3시간? 그정도 밖에 돼지 않습니다. * 이러면 하루만에 할껄 왜 수일씩걸려??
초보분께서 프라를 연습하시면 엄청난 정신적 스트레스와 몸의 피로도를 짊어지게됍니다. 즉 몸이 따라주지 않죠
그리므로 확실한 공백을 갖고 , 하는것이죠.
이제 내리막길 내려오기는 잘 하실줄로 압니다.
그러면 이제 본격적인 스텝입니다.
<<동영상 자료에 있는 동영상들은 대부분 고수님들이라 스탭을 보면 앞발과 뒷발을 위아래로 휘젓는 것을 볼수잇을겁니다.
하지만,. 우리는 아직 이것을 할수 없다는거 ~~~
여하튼 이제 스탭입니다. 스탭을 하시면 내리막길에서 어느정도 내려오시는 거리보다 조금더 멀리갈수 있습니다.
초보님들이 쉽게 하실수 잇는 스텝이라면.. 무리는 조금 많이 가지만 , 뱀 처럼 웨이브로 하시는걸추천합니다. S자를 눕힌.;
스텝방법 : 레귤러 기준 ) 내리막길 주행기준 ) 초보들한테 폇다오므렷다 나름대로 고수스텝 사절 ) 좌절할지도모름)
1. 스탭을 할때 먼저 왼발이든 오른발이든 위아래중 하나의 방향을 정해서 움직입니다. ,내리막길에서 추진력으로 내려오고 있는 상태_ 이때 왼발을 기준ㅡ 즉 앞발을 기준으로 했을때, 왼발이 먼저 위로 살짝 내밉니다. 내밀자 말자 왼쪽 발목을 왼쪽으로 꺽어줍니다. 즉. 자신의 왼발을 <-이쪽으로 꺽어주라는말, 그리고 왼발 원위치. 그러면 왼발이 원위치하기전에 오른발을 위로 내밉니다. 그리고 바로 <- 이쪽으로 발목을 틀어주세요. 그리고 오른발 원위치. 다시 왼발입니다. 왼발이 앞에서 뒤쪽으로 빠지게 돼면 그때 이제 발목을 -> 이쪽방향으로 꺽어줍니다. 그리고 원위치. 이때 오른쪽 발도 뒤로 빼주며 ->이쪽으로 발목을 꺽어줍니다. 그리고 원위치. 이렇게 의자에 앉아서 혼자 해보면 꼭 뱀이 기어가는거 처럼 모양이 됍니다.
참고로 이렇게 하면 발목에 심한 무리를 주고 실질적인 스텝이라고는 말할수 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걸토대로 깨우쳐나가기때문에//
꼭이렇게 하라는건 아니지만 도움이 되시라고 특별 스탭강의를 해봣습니다.
저는 매일밤마다 야간주행하면서 수백여명의 사람들 시선을 받아가면서,자동차 라이트를 받아가며 정말 피나는 연습을 했습니다.
(공부를 그렇게 하지 , 아놔 갑자기 왠 공부이야기 , 공부는 학교에서 , ~~ 붸붸 ~~ 이상 공부를 싫어하는 레나였습니다. )
여하튼 전 내리막길에서 출발하여 또 그까지 걸어가고를 출발하고를 수백번 반복햇습니다. (미련한 놈ㅋ_+))
그리고 이제 동영상 자료등의 스탭을 흉내 내보는겁니다.
처음에는 흉내내다가 나를뻔도 했고, 수십번 가다가 뛰어내렸고 , 그랬습니다. 하지만 계속,.. 못깨달아도 상관없습니다.
계속 하시다 보면 알아서 스텝을 깨닫을 겁니다. 이제 스탭을 시도 했을 이무렵부터 #안다리 쫄깃 # 이라는 고통이 찾아옵니다.
3일차,, 스탭에 대해서 깨달으셧다면 이제 스윙을..
스탭 FAQ
1. 님 다리가 벌어져서 균형이 흐틀리는데요? 답: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그렇습니다. 다리가 긴장을 해서 그캄. 훈련이살길
2. 님 스텝 안만 해도 안돼는데요? 답: 끝까지 안돼면 절찾아 오십시오. (나도 아직 쌩초보 ㅋㅋ)
step. 4,스윙 (스윙이래봐야 엉덩이 씰룩씰룩 ?? ) (4일차 )
이제 서서히 내리막길 내려오면서 그 추진력으로 스탭 아닌 스탭을 조금씩 할수 있을꺼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 불안정한 스탭은 그냥 중심만 잡고 있으면 그 추진력으로 가는 거리와 비슷한 거리를 갑니다.
(너무 실망하지 마시길..)
스윙은 스텝을 하면 알아서 익혀 지니 넘어가도록 하겟습니다. (아놔 또 무책임 ㅈㅅ )
step . 5 평지 주행 ( 4일차. )
이제 조금씩 스텝에 대해 많은 것을 깨닫았을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제 부터가 실전 입니다. 본격적인 스탭을 배워보고 그리고 평지주행,.. 출발부터 배워보도록 하죠.
(뭐 벽밀고 가는거 그런거 좋지만 저한테는 안맞다는.. )
일단은 출발기본자세를 잡습니다. 여기서 !!!!! 출발할 지점을 거의 평평한 평지에 아주 약간의 내리막이면 연습하기 좋습니다.
아주 약간의 오르막이면 출발불가능.
출발기본자세는 다 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앞에서 설명이 빠졋는데.
프라를 눕혀 놓고 . ( 아놔 이상한 표현 ) ;; 암튼 간에 아스팔트에 살짝 눕혀놓고
눕힐때는 사포 부분이 본인 쪽이 아닌 본인이 바라보는 쪽으로 놓습니다. 그리고 뒷발로 누워있는 프라를 살짝 밟으며 -ㅅ- ;
(세게 밟으면 움직임;; ) 살짝 밟고 앞 꿈치 ; 엄지발가락으로 땅바닥에 지탱합니다. 누워있는상태 고대로 고정 .
그리고 앞발은 누워있는 프라를
깨워서 굴러갈수 있게 땅바닥에 세웁니다. 그리고 몸을 좌우로 부드럽게 흔듭니다. (출발하면 안됌.)
앞꿈치로 지탱하고 잇던 프라는 당연히 가만 있을거고 앞발에 프라는 움직입니다.
그리고. 온몸의 무게 중심을 앞발의 위치로 쏟아 붓습니다. *출발 ) 동영상 자료 게시판에 가보면 출발하는 동영상있을겁니다.
그거 보시면 이해가 바로 될듯.
이제 평지출발.. !!! 하지만 처음 출발로는 바로 될수 없다는거..
수십번 반복해줍니다. ( 수백번까지는 아님). 그리고 말했드시 경사가 좀있는!!! 내리막같은데는 실력이 안늘고
아주 낮은 경사에서, 즉 프라를 가만 나두어도 안움직이는. 그런 위치에서 스타트를 합니다.
그리고 출발하자 마자 추친력으로 앞으로 가게 될때
앞에서 배운 스탭을 조금씩 사용하실 겁니다.(본능적) 그리고 그 과정을 몇번 반복하시면 평지 출발이 가능하실겁니다.
연습 1시간이면 몸에 익혀짐.
step .5 평지주행 마스터로 가는길.. ( 4일차 )
이제 어느정도 평지 출발과 허접한 스탭으로 10미터 20미터는 가실껍니다.
하지만 약간의 오르막을 만나면 주행불가능. 돼도록이면 평평한 평지에서 하시는걸 추천.
아스팔트 추천. ( 우레탄? 그 매끈한거 비추. 힘이 좀더듬; )
지속적으로 연습합니다. 이맘때쯤이면 안다리 쫄깃의 고통을 포함한 만병의 고통이 찾아옵니다. 심하면 두통까지 -ㅅ- ;
하지만 그 고통들이 프라를 타는데 필요한 근육과 원동력이 된다는거, ,, ~~~
(5일차)
이제 스탭에도 약간의 변화를 줘야합니다. 부드럽게 스탭해도 프라는 나가게 돼있습니다. 하지만 스탭을 이상하게
한다면 다리에 엄청난 피로가 오고 , 그것이 익숙해져버리면 바꾸기 힘든것도 스탭이죠.
이때쯤이면 이제 고수분들의 스탭을 따라하셔도 별무리없이 가능하실 껍니다. (안돼도 계속 따라하세여 !!!! )
(동영상 자료, 혹은 전체글에 스탭이라고 적으시면 많은 분들이 강좌를 해놓았으니.. ( ㅈㅅ 패스임 ;; ㅎㅎ )
그리고 이제 고수분들 스탭따라하시면 자동적으로 약간의 스윙도 나올것입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체력이 딸려서 못타겠다라는 그런 말의 이유도 아실겁니다.
주행 3시간이면 오케바리, 넌 마스터야 우하하히;;
step . 보나스 - 스핀 -ㅅ- ;
저도 아직 스핀을 못합니다마는..
동영상 관찰결과 ,,
레귤러 기준.. <<<<<<<<< 이쪽방향으로 갑니다. 너무 빨리 ㄴㄴㄴ
그리고 가다가 뒷발. 즉 오른발을 뒤로 싹 빼주면서 , 이때 왼발은 고정, 그리고 바로 오른발을 고정 , 왼발을 시계방향턴 !!!
그리고 스핀 성공 0ㅅ0 ( 0ㅅ0 )) ( 말이야 쉽지 그게 돼나 ? 이러는 분들 꽤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
다시한번 저의 초짜탈출기를 끝까지 읽어주신 여러분들께 감사 드리며
모두 안전 주행합시다.
ps. 땀을 흘리지 않은자.. 그대들은 모를것이다. 진정한 성취감을.. ??? ?
프라는 알아간다기 보다는 꾸준한 연습을 통해 자신을 깨달아 간다고 말을 해드리고 싶네요.
좋은밤 돼시길 ~ ~
출처 : 네이버 프리라인 동호회 "프리라인 스케이트"
------------------------------------------------------------------------------------------------------
프리라인은 전국적으로 활성화가 되지도 않아서 탈장소가 마땅히 없는게 흠이지만 나름의 매력이 강한 스케이트다. 위의 방법대로 한번 프리라인을 시도해보는것도 좋을 듯하지만, 최고의 방법은 역시 끝없이 무한반복! 계속 타보는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