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D코리아는 2006년 8월 16일 오늘, 새로운 옵테론 프로세서 라인을 발표했다.
오늘 선보인 새로운 옵테론 프로세서는 기존 옵테론의 소켓 939/940 인터페이스를 탈피하고, 새로운 소켓 F를 채용해서 1207핀 규격으로 선보였다.
리비전 F의 새로운 옵테론의 특징은 AM2 인터페이스의 Athlon64와 마찬가지로 DDR2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해서 옵테론 시스템 역시 DDR2로 이전하였으며, x86 기반의 가상화기술(AMD-V)을 내장하고, 경쟁제품대비 낮은 전력소모량을 더욱 낮추었다.
그밖의 내부설계는 기존의 옵테론 프로세서와 완벽하게 호환되는 구조를 취했기 때문에 기존 옵테론 서버 시스템을 새로운 옵테론 시스템으로 교체하더라도 OS나 어플리케이션에 수정이 필요없다. 또한, 차후 동일한 소켓 인터페이스로 쿼드코어와 그 이상의 멀티코어까지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할 예정이며, 2007년 중순경에 선보일 쿼드코어 옵테론의 전력소비량은 현재의 수준에서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날 기자간담회는 AMD코리아의 신형 옵테론 발표와 함께 한국IBM의 옵테론 채용 서버 제품군 발표가 이어졌으며, 이후 간단한 질의응답으로 이어졌다.
Q : 차후 선보일 쿼드코어 옵테론이 현재의 듀얼코어 제품과 동일한 전력소비량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했는데, 어떠한 기술을 채택해서 가능하게 된 것인가
A : AMD는 2003년 처음 옵테론 프로세서를 설계할 때부터 멀티코어를 염두에 두고 디자인했으며, 인텔처럼 하나의 CPU에 다이 두개를 합치는 형태가 아닌 진정한 네이티브 멀티코어이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상당히 기술적인 부분이지만, 이에 대한 특별한 기술명칭은 없다.
Q : AMD 서버가 지금까지는 메인프레임 등의 시스템에는 그다지 많이 채택되지 않았다. 이번 새로운 옵테론을 출시하면서 집중하려는 부분이 있다면 어떤 부분인가. 그리고, IBM이나 기타 파트너사들과의 새로운 마케팅 계획 등은 어떤 것이 있나.
A : AMD 옵테론 서버가 처음 출시될 때에는 인지도나 업체 협력관계 등이 부족해서 기간계 시스템에 많이 채택되지는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이번 출시이후 금융, 공공기관, 교육등의 분야에 집중하고 주력할 예정이다. 신제품 출시에 이은 마케팅은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마케팅을 계획중이지만, 아직 밝힐만한 단계는 아니다.
Q : 리비전 F 옵테론이 기존 옵테론과 다른 점을 알려달라.
A : DDR2 메모리의 완벽한 지원, 가상화 엔진의 프로세서 내부 내장, 그리고 전력소비량을 좀더 낮춘 것이 가장 중점적인 부분이다. 하지만, 경쟁사 프로세서에 비해 우리의 신제품에 전력소비량이 기존 모델에 비해 조금만 낮아진 것처럼 인식되고 있는데, 그것은 우리의 프로세서가 기존 모델부터 전력소비량이 낮았기 때문에 그렇게 느껴지는 것 뿐이다.
Q : 오늘 함께 자리한 IBM 이외에 다른 벤터와의 협력은 있나.
A : 물론 HP나 다양한 벤더들과 파트너로써 리비전 F 옵테론 프로세서 제품을 채택한 서버제품을 준비중이다. 또한, 국내 업체들과도 다양하게 제품을 준비하고 있다.
Q : 전력소비량을 줄일 수 있었던 것은 DDR 메모리에 비해 전력소비량이 낮은 DDR2 메모리를 쓰게 되면서 얻은 이득 아닌가.
A : DDR2 메모리의 전력소비량이 적은 것은 사실이고, 이득을 얻은 것도 사실이지만, DDR2 메모리의 채용은 전체적인 전력소비량을 낮추는데에 일조했을 뿐이며, 기존의 리비전 E에서 리비전 F로 넘어오면서 프로세서 자체의 전력소비량을 줄였다.
출처 케이벤치
----------------------------------------------------------------------------------------------------------------
AMD가 빨리 인텔을 상대할 CPU를 내놓아야 할 텐데... 그래야 인텔의 독주를 막을 수 있을텐데...언제나 AMD는 인텔의 콘로를 상대할 물건을 내놓게 될런지... 지금은 기껏해야 상대하는 CPU가 윈저 3800+정도... 이걸로 지금 인텔의 콘로에 상대해 기존의 AMD유저를 붙잡고 있는데, 성능면에서는 많이 밀리는게 사실이다. 이제는 AMD도 빨리 경쟁을 해야 한다고 본다. 그래야 경쟁으로 인해서 소비자가 이익을 보게 될테니 말이다. AMD도 결코 인텔에 뒤지지 않는 기업임을 알기에 곧 다시 콘로를 대적할 CPU를 공개할 것이라고 본다. 그러면 나는 인텔과 AMD를 비교해서 가격대 성능비가 좋은 제품을 선택하면 될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