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코어2 익스트림은 펜티엄 D의 쌍둥이 모델

 필자는 첫 페이지에서 코어2 익스트림이 코어2 듀오의 펜티엄 D 버전이라고 설명을 하였다. 펜티엄 D는 펜티엄 4 다이 두 개를 붙여 놓은 붙여 놓은 것이며, 코어2 익스트림 역시 코어2 듀오 다이 2개를 붙여 놓은 것이기 때문이다. 펜티엄 D와 코어2 익스트림의 차이점을 굳이 찾으라면 하나의 다이에 몇 개의 코어가 있느냐 하는 것이다. 코어2 듀오는 기본적으로 2개의 코어가 하나의 다이에 집적되어 있기 때문에 총 4개의 코어가 2개의 다이에 나눠져 있는 형식이다.

 아래의 사진을 보자

▲ 펜티엄 4의 다이 사진

 이 사진은 펜티엄 4의 다이 사진이다. 실행 코어와 아래쪽에는 1MB의 L2 캐시가 위치해 있음을 볼 수 있다.

▲ 펜티엄 D의 다이 사진

 위의 사진은 펜티엄 4 2개를 붙여 놓은 것으로써, 하나의 코어 부분은 하나의 다이에 놓여 있는 형태이다. 두 개의 코어가 분리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구성은 코어2 익스트림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를 간략하게 일러스트레이션 하면 아래의 이미지와 같다.

▲ 펜티엄 D 다이 구성

 짙은 녹색 부분이 패키지를 뜻하고 가운데의 검은색 부분으로 다이가 나누어져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코어는 각각의 코어에 붙어 있는 버스 인터페이스(Bus Interface)를 통해서 하나의 FSB 대역폭을 나눠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은 L2 캐시의 자원을 서로 공유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는 FSB를 더욱 넓히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별도의 아키텍쳐를 만들어 내야 하지만, 별도의 아키텍쳐를 만들 정도라면 단순하게 2개의 다이를 붙이는 방법을 사용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쳐의 어드밴스드 스마트 캐시

 코어2 듀오가 출시 되었을 때 전면에 내세우던 5개의 주요 기능 중  어드밴스드 스마트 캐시(Advanced Smart Cache)라는 것이 있다. 이는 하나의 L2 캐시를 두 개의 코어가 공유함으로써 FSB 병목 현상도 없애고 캐시의 데이터를 2개의 코어가 서로 공유하여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는 내용이다. 실제 이 기능은 프로세서의 처리 능력을 높여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그러나 코어2 익스트림에서는 각각의 다이에서만 이 기능이 효과를 볼 뿐 역시 펜티엄 D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그대로 떠 앉고 있다는 단점을 그대로 물려 받았다.

 그러나 이런 구조적 약점보다는 응용프로그램에서의 쿼드 코어 지원 부분이 더 중요하다. 일반 데스크탑 사용자의 주요 활용도인 게임에서는 이제서야 듀얼 코어를 지원할 뿐 쿼드 코어까지는 지원을 하지 않는 실정이다.

  일부 인코딩이나 렌더링 소프트웨어, 수학적 알고리즘 게산 소프트웨어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2개 이상의 멀티 쓰레드를 지원하도록 만들어졌기 때문에 상관없지만, 이는 워크스테이션 급에서나 활용하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이를 증명하기라도 하듯 해외 벤치마크 사이트에서 코어2 익스트림의 성능이 코어2 듀오보다 우수하게 나온 것들을 보면 대부분이 이에 속한다. 

 따라서 인텔 쿼드 코어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적인 문제보다는 쿼드 코어를 지원해줄 응용프로그램의 지원이 더욱 절실한 문제로 다가오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코어2 쿼드의 위치는 어디로?

  코어2 익스트림의 위치

 코어2 익스트림 QX6700의 포지셔닝부터 설명을 해야할 듯 하다. 코어2 익스트림 QX6700은 제품명에서 볼 수 있듯이 eXtreme 급에 속한다. EXtreme은 인텔 데스크탑 프로세서 중 최상위 그룹에 속한다. 이 제품의 가격은 이미 뉴스를 통해서 알려졌지만, 인텔의 전통에 따라 999달러가 될 확률이 유력하며, 현재 999달러의 코어2 익스트림 X6800은 가격 인하를 하거나 메인스트림급 쿼드 코어가 출시될 때 인하를 하게 되지 않을까 한다.

 익스트림 급보다 한 단계 낮은 코어2 쿼드 Q6600의 경우에는 올해 만나볼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인텔은 코어2 쿼드 Q6600을 2007년 1분기 발표로 예정하고 있다. 코어2 쿼드 Q6600이 메인스트림급에 속한다고는 하지만 - 쿼드 코어 시리즈 중에서 메인스트림급이지 인텔의 전체 데스크탑 프로세서 라인업에서 메인스트림급은 절대 아니다 - 적어도 코어2듀오 Q6600보다는 비쌀 것이며, 필자의 예상으로는 코어2 익스트림 QX6700과 코어2 듀오 E6700 사이가 되지 않을까 한다.

 이 외에 코어2 듀오 E6300과 E6400과 같은 급의 코어2 익스트림에 대한 정보는 아직 발표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아쉽게도 명확한 위치를 알 수가 없다. 하지만 코어2 듀오 E6300, E6400의 다이를 각각 두 개씩 묶어서 코어2 익스트림이 출시되지 말라는 법은 없다. 역시 만들어내기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텔에서는 코어2 익스트림 Q6600 미만의 제품을 출시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 코어2 듀오를 출시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보급형 라인에 쿼드코어 제품군을 배치한다는 것도 인텔로써는 모험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한가지의 이유는 경쟁사인 AMD가 아직까지는 보급형 쿼드코어 플랫폼을 준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AMD는 11월에 출시하는 4x4가 쿼드코어 프로세서가 아닌 듀얼 코어의 듀얼 프로세서 개념이기 때문에 플랫폼이라는 단어를 수식어로 사용한다. 11월 14일 발표가 되는 AMD의 4x4 플랫폼에서 사용되는 프로세서는 애슬론64 FX 70/72/74이며 더구나 소켓 F 1207핀 프로세서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메인보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코어2 익스트림에 비해서 매우 불리한 점이 된다. 이런 상황에서 무리하게 자사의 라인업에 무리를 줄만한 코어2 익스트림 Q6300/Q6400(가칭)과 같은 것들을 출시할 필요는 없다고 보여진다.

 [뉴스] AMD, 11월 4x4 프로세서 본격 출시

 계속되는 무어의 법칙

 그런데, 듀얼 코어가 나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벌써 쿼드 코어가 출시되나. 듀얼 코어 프로세서가 이제는 일반화 되고 있다고 하지만 전체 데스크탑 사용자 중에서 과연 듀얼 코어가 얼마나 보급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과반수나 넘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필자만 해도 지인들이나 일가 친척 PC의 대부분은 싱글 코어, 그것도 요즘 출시되는 프로세서 기준으로 볼 때 거의 단종이나 최하위 제품들이 대부분이다. 그래도 잘 사용하고 있다. 물론 필자의 개인적인 주변 상황일 뿐 이게 전체를 대변하지는 못할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해서 공감을 하는 독자도 있을 것이고 그렇지 않는 독자도 있을거라 본다. 그러나 인텔의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인 고든 무어의 뜻을 받든 것인지는 몰라도 무어의 법칙은 이번에도 어느 정도 맞아 떨어졌다. 무어의 법칙이 무엇인지 굳이 설명을 하지 않아도 잘 알겠지만, 가끔 이를 명확하게 알지 못하는 독자가 있을 것 같아서 다시 한 번 언급을 하고자 한다.

 무어의 법칙이란, '반도체의 성능이 18개월 마다 2배씩 증가한다' 라는 것이 아니라 '반도체의 집적 밀도가 18개월 마다 2배씩 증가한다'이다. 트랜지스터의 수가 2배 늘었다고 해서 성능이 반드시 2배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18개월마다 2배씩 증가'라는 부분은 옳은 표현이 아니다.

 왜 이 법칙이 맞아 떨어질까? 앞 페이지에서 필자는 인텔이 듀얼 코어를 출시한 것이 2005년 5월이라고 언급을 한 적이 있다. 여기에 18개월을 더하면 2006년 11월이 된다. 정확하게 일 단위까지 맞출 수는 없으니 그냥 18개월이라고 해두자. 펜티엄 4에서 펜티엄 D로 바뀌면서 같은 다이 2개를 붙였으니 반도체 집적수는 2배가 된다. 간단히 표로 정리해 보면,

제품명 출시연도 트랜지스터 수
펜티엄4(프레스캇) 2004년 1월 1억 2500만개
펜티엄D(스미스필드) 2005년 5월 2억 3000만개
코어2듀오 2006년 6월 2억 9100만개
코어2 익스트림 2006년 11월 코어2듀오 2배 수준

 위의 표에 나와 있는 프로세서도 코어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수가 다르다. 펜티엄4가 처음 발표되었을 때인 2000년 11월에 출시된 윌라멧은 4200만개의 트랜지스터가 사용되었지만 노스우드는 5500만개가 사용되었다. 윌라멧과 노스우드의 차이는 L2 캐시양의 차이이며, 마찬가지로 노스우드와 프레스캇은 512KB와 1MB의 L2 캐시 차이가 나는 만큼 트랜지스터의 차이도 발생한다.

 그러나 우리가 짚고 넘어갈 것은 같은 펜티엄 4라도 트랜지스터 집적도가 18개월 동안 2배로만 되어 있는지의 여부이다. 코어2 익스트림과 펜티엄D(스미스필드)는 2배를 넘는 수준이니 펜티엄 D 스미스필드(펜티엄 D 820) 18개월 전인 펜티엄4 프레스캇을 보면 1억 2500만개로 두 배에 조금 못미치지만 그래도 비슷하게 했으니 인정을 하도록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데스크탑 최초의 쿼드 코어 프로세서

 프로세서에서 데스크탑과 워크스테이션, 서버의 기준이 애매모호해 지고 있는 느낌이다. 듀얼 코어가 출시된 지 2년이 채 되지 않아서 이제는 4개의 코어를 갖고 있는 쿼드 코어 프로세서가 등장한다.

 인텔에서 출시하는 이 데스크탑 최초의 쿼드 코어인 코드명 켄츠필드(Kentsfield)는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쳐 기반인 코어2듀오의 펜티엄 D 버전이라 설명을 하면 가장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싱글 다이(single die)의 멀티 코어 체제인 코어2듀오와 달리 인텔이 멀티 다이(multi die) 구조를 채택한 이유는 무엇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만들기 쉽기 때문이다. 한 개의 다이에 4개의 코어를 집적하여 4개의 실행 코어가 하나의 L2 캐시를 공유하는 아키텍쳐를 만들기까지 인텔은 1년여의 시간이 걸렸다. 처음 스미스필드가 발표된 2005년 5월 말과 코어2듀오가 발표된 2006년 5월 말 사이에는 1년의 시간이 있지만, 이는 겉으로 드러난 시간일 뿐 실제 네이티브 듀얼 코어라 할 수 있는 코어2듀오의 개발 기간은 기존 스미스필드나 프레슬러(presler)와 함께 시작을 했을 수도 있으며 그보다 더 오래 됐을 수도 있다.

 만약 처음부터 인텔이 스미스필드나 프레슬러라는 과정을 건너 뛰고 펜티엄4에서 바로 코어2듀오로 이동을 하려고 했다면 경쟁사인 AMD에게 듀얼 코어 시장 뿐만 아니라 앞으로 있을 멀티 코어 시장을 모두 내주었을 지도 모른다.

 2개의 다이를 붙여서 듀얼 코어로 만드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지만 싱글 코어 멀티 칩 체제보다는 쉽게 만들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제품들로 시장을 형성하고 나서 시간을 벌어 둔 뒤에 보다 완벽한 쿼드 코어 이상의 제품을 선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유야 어찌하든 인텔에서 데스크탑용 쿼드코어 프로세서를 처음으로 발표하는 것은 변함이 없는 사실이다. 처음으로 선보이는 코어2 익스트림 QX6700은 FSB 1066MHz에 동작클럭은 2.66GHz로 기존 코어2듀오 E6700과 동일한 동작 클럭을 갖고 있지만 L2 캐시의 크기가 2x4MB로 두 배이다.

▲ 코어2 익스트림 QX6700 CPU-Z 정보
▲ 코어2 익스트림 QX6700 CPU-Z 캐시 정보

  L2 캐시 사이즈를 표기할 때 2x4MB라고 표기하는 것은 기존 펜티엄 D 계열에서 사용하던 방식으로, 이는 각각의 다이에 분리된 캐시가 있으며, 한쪽 다이의 캐시를 액세스 하기 위해서는 노스브릿지(또는 MCH)를 거쳐서 움직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품명  인텔 코어2 익스트림 QX6700
동작클럭  2.66GHz (개별 코어)
FSB  1066MHz
제조 공정  65nm
L1 캐시  4x64KB (32KB 데이터, 32KB 명령어)
L2 캐시  2x4MB
TDP  130W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이리언 Vs. 프레데터 [기프트카드] - [할인행사]
폴 앤더슨 감독, 새너 레이선 외 출연 / 20세기폭스 / 2005년 1월
평점 :
품절


 세상에는 여러 종류의 게임들이 존재한다. 야구 농구 축구.....또는 태권도 복싱 등등... 하지만 각 분야에서 그들끼리만의 세계에 지루해진 사람들은 항상 갈망한다....이것이 다른 것과 붙는 다면 어떻게 될까? 과연 지금 이 종목은 최강인가? 그런 생각을 항상할 것이다. 그래서 나온것이 K-1이 아니던가. 여러 종목의 강자들이 모여서 어느 것이 더 강한지 겨루어 보는 K-1...바로 이것이 올스타 격인 그런 것이 아닐까 싶다.

 컴퓨터 게임도 마찬가지이다. 예전에 스트리트파이터나 킹오브 파이터 나 X맨 등등 여러 격투 게임들이 존재해 왔다. 오랜 세월이 흐른뒤에 역시 이들도 생각을 하게 되었을 것이다. 과연 다른 것들과 붙으면 누가 더 강할 것인가?? 그래서 요즘엔 거의 복합적인 캐릭터가 나오는 대전 게임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예전에 제이슨 대 프레디 란 것을 본적이 있다. 역시 한 무리의 우두머리끼리 붙는 것이 참으로 재미있는 경기가 아닐까 싶다. 솔직히 이들이 붙는 영화들은 스토리상으로는 별 내용이 없다. 다만 액션을 중요하게 보는 것이다. 장수들끼리 1:1의 경기를 보는 것이다. 그것만으로도 재미가 있지 않을까 싶다. 실제로 두 영화들이 두 거물들이 붙는 영화이지만 스토리를 약간 집어넣으려 했었다. 그렇지만 솔직히 그건 그리 큰 비중을 차지 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다. 눈에도 안들어 온다고나 할까.? 그런 잡스런 스토리 보다는 이런 올스타 격인 대결 영화는 역시 두 거물들의 엄청난 격투신과 화려한 볼거리만 제공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물론 스토리역시 좋으면 더욱 좋겠지만 솔직히 이런 영화는 스토리에 치중하기가 어렵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내가 지금까지 가장 강한 외계생물이라 여겨왔던 에이리언....그리고 게임에서나 봤었던 프레데터... 최강은 변했지만 역시 둘다 엄청난 외계생물임에는 틀림이 없는 것 같다. 실제로 이러한 외계생물들이 존재한다면....인류의 멸종은 행성 충돌이 아니라 이런 외계생물의 침략으로 되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에이리언이나 프레데터가 딱 한마리만 지구에 떨어져도 정말 엄청난 파장이 일어날 것이다.

 지금까지 두 편의 올스타 전이 나왔는데, 앞으로 이런 영화가 더 나와주면 좋겠다. 별 다른 생각없이 그냥 단순 액션적인 흥미만으로 부담없이 감상할 수 있는 영화라고 생각을 한다. 다음엔 터미네이터 VS 매트릭스가 되려나... 기계들의 전쟁 과연 승자는 누가 될까?ㅋㅋ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iAUDIO T2


※ iAUDIO F2


※ COWON D2

<스펙 및 기기>


<동영상 재생>


<터치 인터페이스>


<동영상 정지 중 화면>


<FM라디오 중 화면>


<문서 선택 화면>


<음악 재생 터치 인터페이스>


<메뉴>


<DMB :: 안테나는 이어폰을 꽂아 사용>






<각 면들 밑면 SD카드 슬롯이 특징>


<스펙>

※ COWON N2



enfun 프로슈머 페스티벌의 COWON 부스 입니다.

새로 D2가 소개 되었구요. 색상은 흰색과 남색(N2와 패밀리 룩인듯.) 이 있었구요.

동영상 30프레임에 SD카드까지 지원하여 엄청 좋은 제품이 될 듯 합니다.

물어본 봐로는 아직 개발 중이라 하며 가장 큰 특이점은

DMB 수신에도 안테나가 필요 없이 이어폰 선으로 수신이 되는 점이었습니다.

그리고 다른 특이점은

터치스크린으로 조작하는 인터페이스(조작키가 거의 없습니다.)

SD카드 지원, 30프레임 동영상 재생 등이며,

나머지 기기는 F2, T2, N2가 소개되어있었습니다.

(색상은 사진 찍는 기술이 부족 하고, 조명때문에 조금 다르게 나왔습니다. D2는 N2의 색상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출처 코원 아이오디오 게시판.

--------------------------------------------------------

 정말 완벽한 기능에 터치스크린 확장슬롯, 44시간의 재생시간....DMB에 완벽한 D2..

문제는 이제 가격대.... 과연 얼마에 책정이 되련지는 모르겠으나..

가격이 중요한데.... 가격만 싸다면 어케 될지 모르는 엄청난 놈임에 분명한듯.

U10하고 비슷하다고 생각될수도 있는 D2는 나온다면 현존하는 최강의 스펙에

제발 가격만큼은 최강이 되지 말기를.....................................

아 정말 마음에 든다. D2.... 코원의 야심작...과연 알라딘 Gift에도 출시가 될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marine 2006-11-16 02: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가격이 문제네요

문학仁 2006-11-17 10: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제품의 대박 여부는 가격이라는 말이 나돌고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