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또 나왔다. 이것이 대기업의 힘이라는 것인가? 전작과 특별난 것도 없는데 이것저것을 막 출시 하고 있다. 달라진거라면 스피커 내장??? 이정도 인가? 엄청난 물량공세 속에서 과연 뜨는 태양 코원과 지는 태양 아이리버 그리고 다크호스 엠피오와 그외의 기업들은 과연 어떠한 조치를 내릴지.........

 

 그리고 이 K5라는 녀석 알라딘에서 최저가더라는 사실... 역시 알라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우스 역사 그 현장으로'

  마우스가 실제적으로 보편화되기 시작한 것은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윈도우 제품군 출시 이후라 할 수 있다. 그런 이유로 마우스의 역사가 짧을 것으로 예상하기 쉽다. 그러나 최초의 마우스는 1963년도에 제작돼 현재 그 역사가 40년이 넘는다.

 로지텍이 10월을 맞아 창립된지 25년을 기념해 용산 CGV에서 '로지텍 뮤지움' 전시행사를 개최 했다. 이번 전시회는 최초의 마우스와 함께 로지텍의 마우스 변천사를 한눈에 볼 수 있었다.

▲ 로지텍 뮤지움' 전시행사

 1981년 창립되어 PC의 발전과 함께 성장해왔던 로지텍의 다양한 마우스 제품군들이 전시돼 관람객들의 이목을 집중 시켰다.

▲ 최초의 마우스인 앵겔버트 나무 마우스

길이가 10Cm 높이가 5Cm에 이르는 마우스. X축과 Y축 2개의 휠이 돌면서 정보를 기록한다.

▲ 1982년에 제작된 로지텍 P-4마우스

 마우스는 컴퓨터 주변기기로 현재 윈도우 체계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는 기기중 하나이다. X축과 Y축을 기본으로 모니터 상에 표현해주는 대표적인 기능은 예나 지금이나 같다고 할 수 있지만, 다른 부가적인 기능들이 괄목적인 성장을 했다. 이 중 가장 큰 변화라 하면 스크롤 휠의 부착일 것이다. 인터넷 발달과 웹 세상에 살고 있는 지금 스크롤 휠 기능을 마우스에서 지원하지 않는다면 너무 불편한 일상이 되어 버릴 것이다.

 이번에 로지텍에서 출시한 MX Revolution 마우스는 이런 점을 부각시켜  초고속 스크롤링 기능으로 마우스 속도와 탐색 기능을 향상 시켰다. 이 스크롤 휠은 마이크로 기어 프리시즌 이라 불리는 합금으로 만들어졌다. 일초에 최대 7바퀴 회전이 가능하며, 한번 스크롤로 수백의 페이지 파일을 볼 수 있는 프린 스킨 기능을 구현했다. 그 외에 원터치 검색 기능과 도큐먼트 quick-flip 기능,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적합한 스크롤 모드를 자동으로 조정해 주는 기능이 있다.
현재 출시가격은 130,000원대

▲ 로지텍 MX Revolution 마우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객님, 안녕하십니까?
디지털프라이드 코원입니다.


지난 9월에 출시된 iAUDIO F2 제품의 4GB 모델이 11월 초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자세한 출시 일자 및 가격은 별도 공지 예정)

향후 'iAUDIO U3'를 포함한 다른 모델들도 4GB 제품을 추가로 출시할
예정이며, 출시일정이 확정되면 세부내용을 다시 공지해 드리겠습니다.


날씨가 갑자기 쌀쌀해졌습니다.
건강에 유의하시어 항상 행복하고 즐거운 시간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4G... mp3 F2냐 T9냐 PMP A2냐 PD1이냐.....................아놔 이세상에는 왜 희소성........기회비용이라는 놈이 존재해서 항상 갈들을 하게 만드는지 짬뽕나네....열그릇~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시대에 수많은 기생이 그이름을 남겼으나 역시기생은 기생다운 행동을 해야 기생 입니다.한남자에 매달려서 정절을 지킨다면 이미 기생이 아니고 여염집 부녀나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기생은역시 황진이처럼 고결하다는 선사도 넘보고 아름다운시도짓고 이렇게 기생다워야 기생인 겁니다.

 

황진이(1520?-1560?,개성)

 

황진이는 조선 중종 때 개성(송악)의 기생이었다. 그러나 그녀의 정확한 생존연대는 알 길이 없다. 다만 그녀가 1520년대에 나서 1560년대쯤에 죽었을 것이라는 것만, 황진이와 사귄 사람들의 일화로부터 추측할 수 있다.

 

황진이 어머니는 진현금이란 아전의 딸로서 그다지 미인은 아니었다고 한다. 어느날 빨래터에서 빨래를 하는데 마침 지나가던 황진사의 아들과 서로 반하였다. 둘은 정을 통하였지만 결혼은 할 수 없는 사이였다. 이후 진현금은 딸을 낳았는데, 바로 황진이다.

 

세월이 지날수록 황진이의 거침없는 성격과 미모는 돋보이기 시작했다. 황진이가 15세 되던해의 일화이다.황진이가 글을 읽고 있는데 지나가던 상여가 황진이의 문 앞에서 움직이지 않았다. 황진이를 사모하다가 상사병으로 죽은 동네 총각의 상여였던 것이다.황진이가 소복을 입고 밖으로 나가 자기 치마를 벗어 관을 덮어주며 슬프게 곡을 하였더니 그때서야 상여가 움직였다. 사람들은 이일로 인하여 그녀가 기생이 되었다고도 한다.

 

황진이는 첩의 딸로서 멸시를 받으며 규방에 묻혀 일생을 헛되이 보내기보다는 봉건적 윤리의 질곡 속에서 벗어나 자유롭게 살기를 원하였다. 그 결심을 실천하자면 당시 그의 신분으로서는 불가능하였으므로 오직 길이라면 기생의 인생을 걷는 것이었다. 황진이는 부모의 만류를 뿌리치고 기적에 입적하게 되었다. 황진이가 기생이 되자 각지의 내노라 하는 풍류객들이 그녀를 보기 위해 송도에 몰려들었다. 당시만 하여도 전국에 공식적으로 약 3만 명의 기생이 있었다고 한다.

 

당시 개성에는 유명한 학자와 선승이 있었으니, 학자는 곧 화담 서경덕선생이요, 선승은 지족암에서 三十년동안을 면벽참선한 지족선사였다. 지족선사는 생불이라고 불릴 만큼 덕망이 높았다. 황진이는 평소에 두사람을 다 흠모하던 중 한번은 그 인물의 됨됨이를 시험하여 보려고 먼저 화담선생을 찾아가서 수학하기를 청하니 선생은 조금도 난색이 없이 승낙하였다. 황진이는 얼마 동안 선생에게 공부를 하러 다니다가 하루는 밤에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선생의 침실에서 같이 자며 공부하기를 청하니 선생은 또한 허락하였다. 그렇게 수년 동안을 한방에서 동거하는 중에 황진이는 별별 수단을 다 써서 선생을 유혹시키고자 하였으나 선생은 목불과 같이 조금도 동요하지 않았다. 황진이는 이미 여색의 경지를 넘어선 화담 앞에 무릎을 꿇고 정중히 말했다. “역시 선생님은 송도 3절의 하나이십니다.” 화담이 나머지 둘은 무엇이냐고 묻자 “하나는 박연폭포요, 다른 하나는 접니다”라고 당당히 답했다. 그 뒤로 이들 셋은 고려 왕도였던 송악에서 가장 빼어난 것으로 여겨졌다.

 

황진이는 이와 같이 서화담을 한번 시험하여 본 뒤에 다시 지족선사를 시험하여 보려고지족암을 찾아갔다. 황진이가 제자로서 수도하기를 청하니 지족선사는 여자는 원래 가까이 할 필요가 없다고 하며 처음부터 절대 거절을 하였다. 황진이는 며칠 있다가 다시 소복 단장으로 청춘과부의 복색을 하고 지족암으로 가서 그 선사가 있는 바로 옆방에다 침소를 정하고 자기의 죽은 남편을 위하여 백일간 불공을 한다고 가칭하며 밤마다 불전에 가서 불공을 하는데 자기의 손으로 축원문을 지어서 청아한 그 좋은 목청으로 처량하게 읽으니 그야말로 천사의 노래와도 같고 선녀의 음률과도 같아서 아무 감각이 없는 석불이라도 놀랄만 하거늘 하물며 감정이 있는 사람으로서 그 누가 감히 귀를 기울이고 듣지 않을까 보냐. 이와 같이 며칠 동안을 계속하여 불공축원을 하니 노선사가 처음에는 무심하게 들었으나 하루 이틀 들을수록 자연히 마음에 감동이 생겨서 그 三十년 동안이나 잔뜩 감고 옆에 사람도 잘 보지 않던 눈을 번쩍 떠서 황진이의 태도를 한번보고 두 번 보니 보면 볼수록 선계의 정념은 점점 없어지고 사바의 욕화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불과 며칠에 황진이와 서로 말을 붙이게 되니 황진이는 예의 그 능란한 교제술과 영롱한 수완으로 그 선사를 마음대로 놀리어서 최후에는 그만 파계를 하게 되니 지금가지 세상에서 쓰는 「망석중 놀리듯 한다」는 말이라든지 「십년공부 아미타불」이라는 말은 그 사실을 일러서 하는 말이다

 

「청산리벽계수야 쉬이 감을 자랑마라, 일도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

 

이 시조는 황진이가 지은 시조로서 몇 백년이 된 지금까지도 세상에서 흔히 부르는 것이다. 그런데 이 노래를 지은 출처에 있어서 또한 재미있는 이야기가 숨어있다. 그때에 왕족중에서 벽계수 이은원이 있었다. 그는 황진이 소문을 듣고, 만일 내가 그 계집을 본다면 침혹은 커녕 천하 요망스러운 년이라고 당장에 호령을 하여 축출하겠다고 장담을 하였었다. 이야기를 들은 황진이는 그가 얼마나 고결한가 한번 시험에 보리라 하고 중간에 사람을 놓아 벽계수를 유인하여 만월대구경을 오게 하였는데 때는 마침 만추시절이라 중천에 월색이 교교하고 만산에 낙엽은 소소하여 누구나 감개한 회포가 일어날 즈음이었다. 황진이는 단장소복으로 숲속에 숨어 있다가 연연히 나와서 이씨의 말고삐를 휘여잡고 위에 적은 노래를 한곡조 부르니 이씨가 월하에서 그 어여쁜 자태를 보고 또 청아한 노래를 들으니 스스로 심신이 황홀하여 정신을 차리지 못하다가 부지중에 말에서 떨어져서 창피를 당했다고 한다.

 

황진이의 연정 가운데 가장 짧았던 건 대제학을 지낸 소세양과 나눈 사랑. 두 사람은 애초 30일을 기한으로 애정생활에 들어갔다. 날을 채운 뒤 소세양이 떠나려 하자 황진이는 시 한 수로 발걸음을 잡아맸다.

 

“달빛 어린 마당에 오동잎은 지고/ 차거운 서리 속에 들국화는 노랗게 피어 있네/ 다락은 높아 하늘과 한 척 사이라/ 사람은 취하여 술잔을 거듭하네/ 물소리는 거문고 소리를 닮아 차가웁고/ 피리 부는 코끝에 매화 향기 가득하도다/ 내일 아침 이별한 뒤에는/ 우리들의 그리움은 푸른 물결과 같이 끝이 없으리라”

 

두 사람의 사랑이 그 뒤 얼마나 지속됐는지는 알 길이 없다. 분명한 건 황진이가 소세양과 헤어진 뒤에도 그리움에 찬 나날을 보낸 점이다.

 

서경덕이 죽고 난 후 황진이는 서경덕의 발걸음이 닿았던 곳을 두루 찾아다녔다고 한다. 금강산, 지리산, 속리산, 묘향산을 막론하고 그의 체취가 남아 있는 곳이라면 마다하지 않았다. 나이도 서른을 훨씬 넘기고 있었다.

 

여러 곳을 두루 구경하고 집으로 돌아와 여독을 풀고 있는데, 담 밖에서 남자의 노랫소리가 들려왔다. 소리를 듣자니 분명 서울의 풍류객 이사종이겠다 싶어 집으로 불러들였다. 그리고 며칠을 함께 보냈다. 이사종이 함께 살자며 설득하자 황진이는 망설이다가 40세가 되는 6년 동안만이라고 다짐을 받았다. 6년이 지나자 이사종은 그녀를 붙잡았으나 황진이는 살림살이를 정리하고 송도로 돌아갔다.

 

황진이는 이와 같이 일생을 지내다가 사십 내외에 불행히 병에 걸려 죽었다. 그는 죽을 때에 집안 사람들에게 유언하되 『나는 평생에 여러 사람들과 같이 놀기를 좋아하였은 즉 고적한 산중에다 묻어주지 말고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대로변에다 묻어주며, 또 평생에 음률을 좋아하였은 즉 장사지낼 때에도 곡을 하지 말고 풍악을 잡혀서 장례를 지내달라』하였다. 그의 무덤은 몇 백년 전까지도 송도 대로변에 있었다. 천하의 호협 시인 백호 임제 같은 이는 평안도사로 부임하던 길에 일부러 제문을 지어가지고 그의 무덤에까지 가서 제를 지내 주었다가 그것이 언관에게 말썽거리가 되어 그 일로 좌천까지 된 일이 있었다.
(출처 : '조선 최고의 기생 황진이' - 네이버 지식i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출처 : 실버픽셀

 

DSLR 이나 SLR 처음 접하면 렌즈기호를 모릅니다.
브랜드별 렌즈에 쓰인 글자의 의미입니다.

 

▷각종 렌즈에 쓰인 글자의 의미... 
1. 캐논(Canon)

⑴ EF(Electric Focus)
전기적인 방식으로 초점을 맞춘다는 의미로 캐논의 AF 렌즈 앞에 붙는 이름이다. 참고로 EOS는 Electric Optical System의 약자이다. '에오스' 라고 발음되는 EOS는 그리스 신화에서 빛의 여신을 뜻한다고 한다.
⭇ EF 100mm F2 USM

⑵ USM(Ultra Sonic Motor)
초음파 모터, 렌즈를 구동시키는 모터로 대구경렌즈나 초망원렌즈에 적합한 링 USM과 렌즈의 소형화를 가능케 한 마이크로 USM 2종류를 사용했다. 초음파 모터를 이용하면 렌즈를 구동시키는 기어를 줄이거나 없앨 수 있고, 소음도 평균 43dB 정도로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포커싱 속도도 무척 빠르다.
⭇ EF 200mm F1.8L USM

⑶ L(Luxury)
호화, 사치품이라는 뜻으로 이름 그대로 대단히 사치스러운 렌즈다. 각종 특수재료와 기법(예를 들면 비구면 렌즈라든가 초저분산 유리, 특수코팅, 초음파 모터 등)의 기술을 동원해 만든 고급렌즈다. 대단히 우수한 성능으로 전문가들의 절대적인 찬사를 받고 있다. (L 렌즈에는 광각과 광각계 줌렌즈에는 비구면을, 망원과 망원 줌에는 초저분산 유리(UD: Ultra-low Dispersion)를 쓰고 있다. 물론 초음파 모터도 함께 쓰인다.
⭇ EF 20mm F2.8L USM

⑷ IS(Image Stabilizer)
렌즈의 흔들림으로부터 안정된 이미지를 얻기 위하여 렌즈의 흔들림이 발생할 때 정교한 흔들림을 추적, 자이로스코프 센서가 작동하여 불안정성을 중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렌즈를 말한다.
⭇ EF 75-300mm F4-5.6 IS USM

⑸ TS-E(Tilt & Shift for EOS)
대형 카메라의 틸트, 시프트 효과를 이용할 수 있는 특수렌즈다. EOS용 렌즈이긴 하지만 AF는 되지 않으며 광학적으로도 매우 우수한 렌즈로 현재 3가지가 발매되고 있다. ⭇ TS-E 45mm F2.8

Ⅱ. 니콘(Nikon)
⑴ Ai(Automatic Indexing)
니콘 렌즈에 표기되어 있는 것으로 촬영 전까지 렌즈 조리개가 개방 상태를 유지하다가 촬영 순간 자동적으로 해당 조리개 수치만큼 자동적으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AF 카메라 출시 이후 나온 수동렌즈를 비롯한 모든 AF 렌즈에 이 이름이 따라다닌다.⭇ Ai AF Nikkor 85mm F1.4D (IF)

⑵ Nikkor
니콜, 니콘에서 만든 렌즈에 따라붙는 이름으로 단순히 니콘에서 제작한 렌즈라는 의미의 상표라고 한다.

⑶ ED(Extra-low Dispersion)
초저분산의 의미로 망원렌즈에서 발생하는 색수차를 줄이기 위해서 수차가 매우 적은 특성을 가진 특수 유리를 가공하여 만든 렌즈를 말한다. 여기에 쓰이는 형석이라는 광물질이 이상적인 초저분산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이것은 천연광물로 구하기도 쉽지 않고 견고하지 못해서 가공에 어려움이 많다. 때문에 현재는 형석의 광학적 특성을 모방한 인공형석으로 ED 렌즈를 제조하며 보통 망원렌즈 중 1∼4매 정도를 삽입하여 제조한다. 비슷한 용어로 AD(Anomalous Dispersion, 미놀타), UD(Ultra-low Dispersion, 캐논), LD(Low Dispersion, 탐론), SD(Super-low Dispersion, 토키나), ULD(Ultra Low Dispersion, 미미야) 등으로 제각기 다르게 부르는데 그 특성도 아주 조금씩 틀리다고 한다. ⭇ Ai AF Nikkor ED 180mm F2.8D (IF)

⑷ D(Dimension 차원)
니콘의 새로운 3차원 8분할 측광을 지원하는 렌즈의 명칭으로 니콘의 F5, F90기종에서 이 D렌즈를 사용할 경우 노출측정에 있어 거리정보를 읽어 노출값을 결정해주는 기능이 있다. 이전 렌즈는 비록 명칭하지 않기도 하지만 S 렌즈라고 말한다. 이것은 Segment의 약자로 기존 5분할 측광을 지원한다는 뜻이다.
⭇ Ai AF Nikkor 85mm F1.4D (IF)

⑸ AF-I(Auto Focus-Internal motor)
모터내장형 렌즈를 말하며, 캐논의 렌즈처럼 초점을 구동시키는 모터가 렌즈 내에 내장된 형태의 렌즈이다. 최근 니콘은 대구경 망원렌즈의 초점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모터를 내장한 렌즈를 선보이고 있다.
⭇ Ai AF-I Nikkor ED 400mm F2.8D (IF)

⑹ AF-S(Auto Focus-Silent motor)
저소음 모터내장형 렌즈로 역시 캐논의 렌즈처럼 소음이 극히 적은 모터(USM)를 내장한 렌즈이다. 기존의 AF-I형 렌즈에 소음이 극히 적은 초음파 모터로 대체시켰다. 현재까지 4종의 대구경 망원렌즈가 AF-S 형태의 렌즈로 개조되었으며, 앞으로 계속해서 늘어날 전망이다. 최신형 F5 와 100% 호환이 가능하다. ⭇ Ai AF-S Nikkor ED 400mm F2.8D (IF)

⑺ DC(Defocus Image Control)
일부 구성 렌즈의 이동으로 초점면을 제외한 전후 흐림을 조절할 수 있는 렌즈로 보통 렌즈에서 피사계 심도는 조리개를 통해서 그 범위를 조절하나 DC 렌즈는 범위뿐만 아니라 피사계 심도의 적용위치, 피사체 앞과 뒷 배경의 피사계 심도까지 지정해서 조절 할 수 있다.

Ⅲ. 펜탁스(Pentax)
⑴ SMC(Super Multi Coating)
다층막 코팅, 렌즈의 각종 수차와 왜곡, 난반사를 방지하고자 렌즈 표면에 7겹의 특수 코팅을 한 렌즈로 팬탁스의 거의 모든 렌즈들은 SMC 렌즈들이다.
⭇ SMC A 50mm F1.2

⑵ M(Manual)
전형적인 수동렌즈를 말하며 메뉴얼 노출과 조리개 우선 자동노출을 지원한다. ⭇ SMC M 50mm F1.4

⑶ A(Automatic)
메뉴얼과 조리개 우선은 물론 셔터 우선 자동노출과 프로그램 자동노출을 지원한다. 80년대 초반부터 A 시리즈 렌즈가 출시되었는데 Aperture 의 약자라고도 한다. ⭇ SMC A 50mm F1.4

⑷ FA
펜탁스의 신형 AF 렌즈 명칭이다. 이전 버전의 AF로 F형 렌즈가 있었다.
⭇ FA 50mm F1.4

⑸ *
* 표시는 펜탁스 렌즈 중에서도 고급형 렌즈에 붙는 표시다.
⭇ FA* 85mm F1.4 (IF)

⑹ AL(Aspherical Lens)
비구면 렌즈로 광각에서의 구면수차를 줄이기 위해 렌즈의 곡면을 비구면(구면이 아닌)으로 깍아서 만든 렌즈다. 다른 메이커에서는 AS(ASpheric)렌즈라고도 하며, 니콘은 별다른 명칭없이 사용하고 캐논은 L 렌즈에 속해있다.
⭇ FA* 28-70mm F2.8 AL

Ⅳ. 미놀타(Minolta)
⑴ xi zoom
미놀타의 xi 기종(7xi, 9xi)을 위한 자동렌즈로 모터에 의한 자동 줌과 자동 초점이 가능한 렌즈로 xi 시리즈 출시 당시 5종의 렌즈가 발표되었다.
⭇ AF Zoom xi 28-80mm F4-5.6

⑵ High Speed AF
말 그대로 고속 AF를 가능하도록 설계된 렌즈다. 보통 대구경 망원과 망원 줌 렌즈에 적용되고 있다. ⭇ High Speed AF 200mm F2.8G APO

⑶ G
어디에도 정확하게 G를 설명한 부분은 없으나 Gallant 혹은 Glorious로 말하는 사람들이 있으며, 렌즈의 금테 띠를 보고 Gold라고 추측하기도 한다. 아무튼 캐논의 L 렌즈와 마찬가지로 고급 렌즈를 통칭하는 말이다.
⭇ AF 85mm F1.4G

⑷ APO(Apochromatic)
색수차를 유발하는 주요색인 3색(빨강, 파랑, 녹색)의 색수차를 보정한 렌즈를 말한다. 비슷한 용어로 2색 보정 렌즈인 Achromatic이 있는데 하셀블라드용 칼 자이스 렌즈에 쓰이고 있다. ⭇ AF 200mm F2.8G APO

DC : Defocus Control 연초점 조절 기능이 있는 렌즈

(출처 : '각종 렌즈에 쓰인 글자의 의미' - 네이버 지식iN)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