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 10 11, 서울) 오는 10 18일부터 22일까지 총 5일간 이탈리아 몬자에서 개최되는 세계 최대 게임 축제인 월드사이버게임즈(World Cyber Games, 이하 WCG) 2006 그랜드 파이널이7일 앞으로 다가왔다.

 

올해로 제6회를 맞이하는 WCG는 'Beyond the Game(게임 그 이상)'이라는 슬로건 아래 전세계 e-스포츠 열풍을 주도하는 게임 문화 축제의 장으로 대표된다. 특히 WCG 2006 F1 레이싱 서킷으로 유명한 오토드로모 국립 몬자 서킷(Autodromo Nazionale di Monza)의 빌딩 내에 공식 경기장이 마련되어 스포츠와 게임에 열광하는 전세계 젊은이들의 기대를 집중시키고 있다.

 

WCG 2006은 아일랜드, 사우디아라비아 등 6개 신규 참가국을 포함한 70여개 참가국 700여 명의 선수가 참여함으로써 사상 최대 규모로 개최될 예정이다. 이에 앞서 20명의 한국 대표선수를 포함한 전 참가국 700여 명의 선수들은16~17일부터 이탈리아 밀라노에 위치한 WCG 2006 선수촌인 크라운 프라자호텔 (Crown Plaza Hotel)과 홀리데이인 (Holiday Inn)에 입촌하게 된다.

 

10 18일 개막일에는 F1 경기장 트랙 위에 설치될 야외 특설 메인 무대에서 현지 시간으로 6시부터 개막식 이벤트가 펼쳐질 예정이다. 개막식은 공동조직위원장인 윤종용 부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참가선수단 국기 입장, 선수대표와 심판장의 페어플레이 선언 등의 공식행사와 함께, 이탈리아 최고의 아티스트로 알려진 지아나 나니니(Gianna Nannini), 카르멘 콘솔리(Carmen Consoli), 맥스 가제(Max Gazzè) 의 축하 라이브 콘서트로 현지 관중들과 참가국 대표선수들의 축제가 펼쳐지게 된다.

 

4일간의 토너먼트 대장정은10 19우리나라 대표 선수인 최연성 선수와 불가리아의 이반 벨리코프 (Ivan Velikov) 선수의 스타크래프트 무대 경기를 시작으로, 22일까지의 대회 기간 동안 8개 정식종목 토너먼트 경기 외에 시범 종목인 팡야 및 특별 초청전인 퀘이크4 올스타전, 캐롬3D등 총 1 3 6십 여 경기가 진행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삼성, 마이크로소프트, AMD등의 최신 제품과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전시관과 함께, 미니 레이싱, 일본 레슬링 스모, 인터내셔널 푸드코트 등 관객들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가 준비되어 있어 이탈리아 현지에 e-스포츠의 관전문화와 WCG 만의 다채로운 즐거움을 안겨줄 예정.

 

특히, WCG 2006은 세계 최고의 선수들과 글로벌 게이밍 리그(Global Gaming League) 경기 해설진이 펼치는 무대경기를 통해 관객들에게 선진 e-스포츠의 진수를 보여줄 예정으로, 이탈리아 현지인들에게 무대방송경기의 묘미를 보여주기 위한 이탈리아어 해설도 제공된다. 또한, 한국 온게임넷 위성 생중계를 위해, 전용준, 김창선, 김정민, 정소림 등 국내 최정상급의 게임캐스터와 해설진이 총출동한다.

 

이번 WCG 2006 e-스포츠의 꽃인 방송 중계 및 인터넷 중계를 강화하여, e-스포츠 최초로 토너먼트 메인 무대 경기의 위성 현지 생중계를 시도하여 대회기간 동안 총 18 경기를 한국과 중국에 중계하며, 메인 무대 경기 외에도 각 종목 주요 경기가 중국의 NeoTV닷컴(www.neotv.com.cn), GGL (www.ggl.com), WCG 공식 웹사이트(www.worldcybergames.com)를 통해 실시간 중계한다. 특히, 이탈리아 주관방송사에 유럽 최대의 위성 채널인 스카이 (SKY)가 최근 결정됨에 따라, 이탈리아 내 스카이 채널을 통해 WCG 대회 고지 광고 및 대회 기간 중WCG 하이라이트 프로그램이 방송 예정이다.  

 

국내 주관방송사 온게임넷은 실시간 위성 생중계를 통해 이탈리아 현지에서 진행되는 최연성, 전상욱, 박성준 (이상 스타크래프트), 해커피케이 (Hacker P.K., 카운터 스트라이크), 이성덕 (워크래프트3) 선수 등의 경기를 19일부터 22일까지 매일 오후 7시부터 새벽 1시까지 장장 6시간에 걸쳐 한국 팬들에게 생생히 전달할 예정이다. 한편, 중국에서도 NeoTV의 위성 중계를 받아 GTV SiTV등 방송 채널에서 중국어로 그랜드 파이널을 중계할 예정이다.

ICM김형석 대표이사는 "WCG는 전세계 젊은이들의 세계적인 게임축제의 장으로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e-스포츠 관전문화를 전세계에 전파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각국에 있는 WCG 팬들을 위해, 최초로 위성 중계 방송 시도 및 인터넷 실시간 중계도 강화하여, 전세계 게임팬에게 영어, 이태리어, 중국어, 한국어 등 4개국어로 WCG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어 의의가 크다." 라고 말했다.

 

WCG 2006은 월드와이드 스폰서인 삼성전자와 프리미어 스폰서인 마이크로소프트 및 AMD, 오피셜 스폰서인 ATI와 싱크마스터 (SyncMaster)가 후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날 각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CD는 직경이 12cm이고 74분 2초 분량의 자료를 담을 수 있다. 그러나 1978년 필립스에서 처음 발표된 제품은 60분을 담을 수 있고 크기도 지금보다 5mm가 작았다. 여기에서 한가지 의문을 가질만 하다. 60분이라는 시간은 딱 한시간이므로 기억하기도 좋고 CD-ROM의 용량이나 자료가 저장된 위치를 계산하기도 편하다. 그런데 왜 74분 2초라는 복잡한 녹음시간을 가지도록 만들었을까? 여기에는 한가지 일화가 있다.

 

당시 필립스사는 최초로 CD를 발표한 후에 기술적인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서 소니사와 손을 잡을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1982년에 요즘 사용하는 음악용CD규격인 CD-DA라는 규격을 제정하고 상품화에 성공한다. 이 규격은 다음해 ISO에서 인가를 받아 ISO-9660 '레드북'이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이 규격이 '레드북'으로 불리는 이유는 ISO-9660규격서의 표지가 빨간색이기 때문이다.

 

당시 이 회사는 녹음시간의 결정을 위해서 베를린필의 카라얀에게 자문을 구했다고 한다. 카라얀이라면 20세기 최고의 지휘자 준 한명으로 유명한데 이 사람이 제안한 시간에 따라서 60분이었던 음악CD의 녹음시간을 74분으로 정했다고 한다. 카라얀이 74분을 제안한 이유는 베토벤의 '합창'교향곡 연주시간에 맞추기 위해서였다. 60분으로 정하게 되면 그 유명한 '합창'교향곡을 처음부터 끝가지 다 듣지 못하고 중간에 판을 갈아 끼워야 한다 이렇게 되면 한창 고조되던 음악감상의 흥취와 열기는 사라지고 말 것이다. 이 때문에 60분이던 CD의 녹음시간을 74분으로 늘렸고 CD-ROM은 이 규격에 의해서 약 682메가바이트의 자료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만약 베토벤의 합창 교향곡이 그렇게 긴 음악이 아니었다면 CD-ROM의 저장용량은 처음 정한 60분 분량인 523메자바이트 정도로 정해졌을 것이다.

(출처 : 'CD크기와 베토벤 교향곡 9번의 관련성?' - 네이버 지식iN)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키노 2006-10-20 00: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읽은 책에서의 내용과 달라 조금 언급합니다^^;; 원래 필립스가 염두에 두었던 시디의 크기는 11.5센티미터였습니다. 이 크기가 고안된 것은 기존의 카세트테이프의 대각선 길이가 11.5센티미터였기 때문입니다. 콤팩트한 사이즈를 고려하다보니 카세트테이프의 콤팩트한 크기를 기준으로 삼았던 것입니다.

그리고 시디의 재생시간이 74분으로 된 것은 필립스의 자회사인 폴리그램이 그 당시까지 출시되었던 '합창'음반들의 연주시간을 조사해 보았는데, 푸르트뱅글러의 74분짜리 연주가 가장 긴 연주라는 결과가 나옴에 따라 74분을 약간 넘기는 12센티미터 규격의 시디가 제작된 것입니다(출처;소리의 문화사/살림/김토일 저). 지식검색에서는 간혹 틀리는 내용들이 있던데. 이것도 조금 내용이 틀린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문학仁 2006-10-20 1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런가요.^^;
 

코미디와 드라마, 거기에 ‘조폭’ 액션영화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일본 역시 코믹 드라마와 공포영화가 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일본의 공포영화는 몇 가지 점에서 한국영화와 차이점을 갖는데, 일본을 대표하는 톱스타들도 줄줄이 공포영화에 출연하고 있으며(최근 한국 공포영화도 인식이 바뀌면서 톱스타들이 앞 다퉈 출연하고 있지만) 음향효과와 특수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부각되지 않았던 시나리오가 탄탄해지면서 거액의 예산을 들인 블록버스터급부터 저예산 독립영화까지 실로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다. 당연히 동 장르의 작품이 많은 만큼 관객들의 눈높이도 올라가게 돼 일본의 공포영화는 한국의 그것에 비해 참신한 소재와 재미, 그리고 공포감을 안겨줄 수 있었다.

 Quality Check

 Picture ★★★  Sound ★★★☆

Title Spec

 감독

 오치아이 마사유키

 출연

 사토 코이치, 키무라 타에

 등급

 15세 이용가

 러닝 타임

 98분

 출시사

 KD미디어

 비디오 포맷

 애너모픽 와이드스크린 1.85:1

 오디오 타입

 돌비 디지털 5.1, 2.0

 언어

 일본어

 자막

 한국어

 지역 코드

 3번

이런 일본영화의 공포는 할리우드마저 마비시킨 듯하다. 대표적인 작품인 <링>, <주온>이 할리우드에서 리메이크되기 시작한 것. 아예 할리우드판 <링 2>에서는 <링> 시리즈의 감독인 나카타 히데오가, <주온>의 할리우드 리메이크작인 <그루지>에서는 오리지널판의 감독인 시미즈 다카시가 연출을 맡았다. 작년에는 나카타 히데오 감독작인 <검은 물 밑에서>가 <다크 워터>란 이름으로 리메이크되기도 했다. 미이케 다케시 감독의 <착신아리> 역시 인터미디어와 카도카와서점의 공동제작 형식으로 리메이크 제작 중이라고 한다.

이에 고무된 일본의 명 프로듀서인 이치세 다카시게는 일본 호러의 세계 공략을 목표로 공포영화 대표 감독 여섯을 모아 ‘J 호러 시어터’를 출범시켰다. J 호러 시어터는 공포영화를 전문으로 한 영화사로, 2004년 <감염>(오치아이 마사유키)과 <예언>(츠루타 노리오), 얼마 전 국내 개봉한 <환생>(시미즈 다카시)을 선보였다.

J 호러 시어터의 첫 작품인 <감염>은 제목으로 유추할 수 있듯 바이러스에 차례로 감염되어가는 사람들을 그린 작품. 뒷부분에 큰 반전이 있어 더 이상 자세히 설명할 순 없지만 본 작품은 O-157과 조류 인플루엔자 같은 바이러스에 의해 야기되는 공포를 테마로 했다. 그 바이러스는 아무도 본 적 없는 것으로, 정체불명에 내장을 녹이고 피를 녹색으로 흘러내리게 하는 무시무시한 질병이다. 작품의 배경은 경영부실로 어려움에 처한 어느 병원. 하지만 많은 공포영화들이 그러하듯 조속히 대처해 상부에 보고하기보다는 스스로 바이러스를 파헤쳐 유명해지고 싶어 하는 인물이 등장하면서 차례차례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경제적 어려움에 봉착한 탓에 환자를 닥치는 대로 받아들이지만 의사와 스태프의 손이 부족하고 시설도 열악해 제대로 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러던 와중에 화상환자를 수술하다 실수로 환자를 죽음에 이르게 하고(칼슘과 칼륨을 헷갈려 잘못 주사한다는 말도 안 되는 설정), 그 자리에 있던 간호사들과 의사들은 어차피 죽을 환자였다며 사건을 은폐하려고 한다. 하지만 또 다른 의사는 이것을 빌미로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를 위험을 무릅쓰고 연구하자고 하고 약점을 잡힌 의사와 간호사들은 어쩔 수 없이 녹색 액체가 흐르는 환자를 진료하다 하나둘씩 감염되어 죽게 된다. 이 병은 의식으로부터 감염된다고 말하는 의사의 말과 함께 영화는 뜻밖의 반전을 향한다.

어찌 보면 <감염>은 의사와 병원의 윤리 부재를 얘기하는 것처럼 보인다. 정신질환자 할머니를 옆에 방치한 채 서로의 비밀을 주고받는 의료진, 환자의 혈관을 제대로 짚어내지 못해 환자의 팔에 수십 번씩 주사를 놓는 간호사, 제대로 봉합을 못해 맹연습을 하지만 연습을 해도 늘지 않는 의사의 봉합 실력, 사용한 주사기를 소독해 재사용하려는 간호사의 모습 등 일본의 의료사고와 그 병폐를 공포영화에 적절히 믹스했다는 인상이다. 하지만 지나친 과장과 매너리즘의 연속으로 현실감이 결여돼 보이는 것은 못내 아쉬운 부분이다. 아무리 낡은 병원이라지만 도저히 병원 같지 않은 어둡고 음침한 세트와 항상 불이 꺼져 있는 병원, 환자와 보호자, 심지어 의사와 간호사도 거의 보이지 않는 병실과 복도의 풍경은 영화보다는 연극에 가깝다는 느낌. 스타급 배우들이 다수 출연하지만 안타까운 시나리오가 배우들의 연기를 가리는 듯한 인상을 감상 내내 지울 수 없다.

일본에서의 평가도 그리 높지 않은 <감염>은 국내에서도 별 재미를 못 본 탓인지 DVD 패키지에 흥행 성적이 고스란히 반영됐다. 한 장으로 발매된 DVD에는 약 30분 분량의 메이킹 영상과 2004년 7월 28일 제국호텔에서 가진 제작 발표 기자회견을 담은 5분 30초가량의 영상, 4분 40초 분량의 미상영 신과 예고편만이 서플먼트로 수록돼 있다. 오치아이 감독의 차분한 해설을 통해 영화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메이킹 영상은 감독이 갖고 있는 공포영화에 관한 생각들을 엿볼 수 있어 흥미롭다. 감독은 지나치게 리얼리티를 강조하다 보면 (관객들이) 사건현상에 있는 것 같은 착각을 갖게 돼 이야기를 보기 전에 눈을 돌리게 되고, 특수분장이 나오는 장면에서 눈을 돌리게 되기에 ‘저건 어딘가 인형 같은데’, ‘저건 특수분장 같은 걸’ 하는 식으로 관객에게 도망칠 길을 만들어 주고 싶었다고 해명(?)한다.

애너모픽 와이드스크린 1.85:1로 발매된 영상은 채도가 약간 빠진 듯한 영상으로 화려하지 않은 소프트함이 특징이다. 디지털 노이즈는 거의 눈에 띄지 않고 필름라이크한 질감이 강조되지만 선예도가 낮아 최근의 할리우드 블록버스터 작품에 길들여진 이들에게는 다소 흐릿한 영상이라는 인상을 줄 듯싶다. 돌비 디지털 5.1(448kbps)채널과 2.0(192kbps)채널로 수록된 사운드는 영상과 달리 전체적으로 음 분리가 잘 돼 있다. 게다가 시기적절하게 서브우퍼를 울려주어 영화의 분위기를 한껏 고조시켜준다. 프런트 스피커를 적극 활용한 대사 출력도 돋보이는 대목으로 센터 스피커에 의지하지 않아 이동음과 공간감이 보다 확장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이크로소프트가 드디어 인터넷 익스플로러 7(IE7)의 정식판을 공개했다.

IE7은 이미 베타버전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탭브라우징을 지원하고, RSS 지원, 피싱 차단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좀더 편리해지고 깔끔해진 인터페이스와 탭브라우징, 검색창으로 인터넷 사용이 훨씬 편리해졌으며, 최대 12페이지까지의 모아찍기 기능 제공 등 강화된 프린팅 기능으로 오프라인으로 이어지는 사용 역시 훨씬 편리해졌다.

아직까지는 영문판만 공개된 상태이며, 설치가 가능한 윈도우 버전은 윈도우 XP SP2와 윈도우 XP Pro X64 edition, 윈도우 서버 2003 X64 edition, 윈도우 서버 2003 SP1, 윈도우 서버 2003 ia64 edition 등이다.

새로 공개된 인터넷 익스플로러 7 영문판은 정식 버전의 OS에만 설치가 가능하며,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삭제가 가능하다.

프로그램은 케이벤치 다운로드센터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

 오~~~~~~~~~~~~~~~~~~~~~~~~멋진데... 왜 항상 새로운 버전만 나오면.... 이렇게 멋있어 보일까?? 비스타나오면 완전 죽음일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4시간동안 따뜻하게 성능최강 손난로 마블러스+지포오일
시퀸스
평점 :
절판


 군대에 있을때 이 지포 난로 물려 받아서 병장내내 잘 쓰고 나올때 다시 물려주었던 지포 손난로... 솔직히 군대는 정말 춥기에 따뜻해 질만한 건 무엇이든 있으면 좋은법이다. 최고의 겨울 용품은 핫팩 이지만 1회성이라는 점에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데, 이 지포 손난로는 지포라이터 쓰는애들꺼 기름 빌려도 되고, 기름하나 있으면 오래 쓰니까 꽤 괜찮게 썼었다. 또 괜시리 불장난 하는 재미(?)도 있었고.... 지포 기름에 정말 불이 잘붙어서 바닥에 뿌려서 불붙여 보기도 하고, 손에 붙여보기도 하고, 별짓다해봤는데..ㅋㅋ 정말 붙하난 잘 붙어서 지루한 생활에 약간의 활력소가 될수도..... 걸리면 큰일나겠지만..ㅡ..ㅡ;;

  군부대에 선물하기 솔직히 쉽지만은 않다고 생각을 한다. 이런 화기 물품은 부대장허락이 있어야 사용된다고 해서 실질적으로 사용해서는 안되는 물품이기때문... 다 알아서 사용하고, 검사가 빡센 부대가 아니라면 상관이 없겠지만, 아마 대 놓고 사용하기는 힘들것이다. 불시 내무 검사때 압수당한것만 해도 한달치 월급정도가 되었을 정도....

 이것 뿐아니라 무엇이든지 따뜻한것은 다 환영을 하게 될 군대에는 선물이 된다면 해주어도 좋은 제품이 될것이다. 그런데 이거 생각보다 뜨겁다. 그냥 맨살에 대면 화상을 입을 수도 있다. 헝겁에 싸서 보온을 해야 좋을 것이다. 이제 다시 겨울이 와가는 구나.... 정말 몸도 마음도 얼어붙을 군대겨울 나도 이 손난로나 동생들한테 보내줄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알라딘기프트팀 2006-10-19 09: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본 제품은, 손난로 파우치(주머니)가 함께 배송됩니다.
주머니에 넣어 사용하시면,
화상의 우려가 없으며, 연료도 절약되오니,
사용에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