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는 어떻게 쓰는 것인가,는 뭐 예전에도 잘 몰랐지만 지금은 더더욱 모르는 상태가 된 듯하다. 3월은 길었는데 아직 끝나지 않았고 서재 달력에는 고작 3일이 체크되어 있다. 나는 무엇을 했던가. 열심히 읽었고 그러느라 그랬는지 다른 이유가 있었는지 한쪽 눈 상태가 메롱메롱해서 한 이틀 쉬었고 일주일 정도 눈을 아꼈고, 그러다 보니 읽기는 읽었으나 정리하지 못한 책도 있고 쉬엄쉬엄 읽고 있는 두꺼운 책들도 있고 그러느라 머릿속엔 생각만 따박따박 쌓이고. 그러하였다. 그러므로 완독한 책이 몇 없다.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내 이름은 루시 바턴>
이 책을 읽으면서 기억이 났다. 이런 소설을, 쓰고 싶었다. 무엇을 쓰더라도(쓸 수 있더라도) 설명하지 않는 문체, 부러웠다. 그것만으로 좋았다. 리뷰를 쓸 수 있을까? 아마 없을 것이다. 지금으로선 딱히 하고 싶은 말이 떠오르지 않는다. 사랑, 무얼까 싶고 부모자식 관계, 무얼까 싶고. 막 슬프고. 그래서 다음엔 <무엇이든 가능하다>를 읽으려고. 그러려면 일단 책을 사야 하는데... 음...
알리스 슈바이처 <사랑받지 않을 용기>
완독. 몇몇 단어들 거슬리기는 했으나. 두루두루 여러 의제들을 짚어주어 좋았다. 질문을 던질 수 있는 책이었다. 벌써 가물가물.
네이딘 버크 해리스 <불행은 어떻게 질병으로 이어지는가>
제목이 책의 내용을 잘 보여준다. 그런 거 아니야 하고 막연히 의심했었는데 과학적 근거와 관찰/연구 결과로 실제 그렇다는 걸 설명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저자가 어떻게 아동건강센터(웰니스)를 세웠는지 그 과정을 (지나치게) 늘어놓는다는 느낌이 들었으나 그 또한 연구의 결과이기도 하므로 인정하면서 (그런 부분들은) 설렁설렁 읽었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고통과 자잘한 질병들이 어디에서 오는지 역시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와 연결된다는 게 어이없으면서 한편으로는 섬찟하다. 어이없는 건 그러니까 지금 내 성격을 이룬 바탕도, 관계를 형성하는 기술(?)도, 세상을 인식하는 눈도, 그밖의 모든 것도 다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왔는데 질병도 그렇다고 하니 그런 거고, 그래서 자꾸 무서워지는 거. 맞는 말인데 무섭다. 도대체 어디서부터 되짚어서 풀어내고 털어버려야 하는 건지. 털어지기나 하는 건지.
클라리사 에스테스 <늑대와 함께 달리는 여인들>
저자 성을 자꾸 에스테바 라고 쓰고 고치고 있다. 에스테스.
늑대에 대한 선입견도 깨야 겠다는 생각. 늑대 = 나쁜 남자 아니던가. 음흉한. 그것도 다 편견이라고, 그러니까 늑대에 대한. 내 안의 늑대를 찾고 싶어졌다. 있기는 있었나 싶지만 책에서 있다고 하니 되찾고 싶다. 지금의 내 모습, 지금까지의 내 생활, 이런 것들을 돌아보는 계기. 책 속의 설화/신화/구전동화 등을 심리적으로 해석한 것은 좀 마음에 안 들지만. 어째서 페미니즘심리학적 분석은 안 되는가, 뭐 이런 생각도.
제임스 홀리스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마흔이 되었다>
위의 늑대.. 책과 연결해 읽었다. 진짜,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쉰이 되어버렸네. 전자책 대여라 확실히 읽고 나서 내 손에 잡히는 게 없고 그래서 남는 게 없는 건지도. 종이책 만세. 당췌 들쳐볼 수가 있어야지, 전자책은. 게다가 대여는. 아무튼 책의 첫인상은... 깊었다,고 해야 인상깊었다가 되려나. 다시 찬찬히 읽어봐야 할 듯. 읽을 때마다 눈에 들어오는 구절이 다르지 않을까. 일단 오 너무 좋아요,는 아니었다. 역시 유년기의 경험, 어린 시절이 이렇게나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 한번. 나도 내가 누군지 이젠 좀 알고 싶으다.
낸시 프레이저 외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완독,이라고 하긴 좀 불완전하지만 어쨌든 넣어본다. 끝부분 남성학자들 챕터 두 개 빼고 읽음. '낸시 프레이저의 비판적 정의론과 논쟁들'이 부제이다. 그대로다. 여러 학자들이 낸시 프레이저의 이론을 비판하고 거기에 또 프레이저가 반박하는 글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로 남성학자들의 의견이 어이없었고 거기에 '친절히' 설명&반박하는 프레이저의 태도가 조금 답답했는데(왜, 꼭, 그래야 하나 싶기도 해서) 마지막 챕터에서 통쾌하게 밟으면서 내 이론이 짱이야! 하셔서 ㅎㅎㅎ 속이 조금 풀림. 솔직히 다 이해 못했다. 너무 어렵다. 그러니까 대충 이런 이야기인 거지? 이런 상태. 어렵기는 해도 사회적 분배와 인정의 문제에 대해, 정의와 부정의에 대해, 여러 모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였다. 독서모임에서 낭독으로 함께 읽지 않았다면 애저녁에 집어던졌을 책. 몇 년 후에 혹여 다시 읽는다면 조금 더 나은 이해를 할 수 있지 않을까 슬며시.